• 제목/요약/키워드: wild type

검색결과 2,378건 처리시간 0.041초

극한환경에서 분리한 고온성 Bacillus sp. TR-25에 위한 내열성 $\alpha$-amylase의 생산 (Thermostable $\alpha$-Amylase Production by Thermophilic Bacillus sp. TR-25 lsolated from Extreme Enviroment)

  • 노석범;손홍주;이종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0-38
    • /
    • 1997
  • 내열성 {\alpha}$-amul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각종 분리원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55$^{\circ}C$ 이상에서 생육하고 가장 내열성 {\alpha}$-amulase 생산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동정한 결과 thermophilic Bacilus 속으로 추정되었다. 균체생육과 효소생산의 최적온도는 60~$65^{\circ}C$였고, 초발 pH8.0에서 가장 높은 효소생산능을 보였다. {\alpha}$-amulase 생산에 가장 양호한 탄소원은 soluble starch, dextrin, prtato starch, corn starch 등의 다당류이었으며 glucose, fructose 등의 단당류에서는 효소생산이 미약하거나 억제를 받았다. {\alpha}$-amulase 생산에 가장 중요한 질소원은 yeast extract이었따. 0.1% $CaCl_2{\cdot}2H_2O$, 0.001%의 Tween-80의 첨가는 {\alpha}$-amulase 생산성을 증가시켰다. 본 공사균이 생산한 조효소액의 특성을 검토해 본 결과, 8$0^{\circ}C$에서 최적 효소활성을 보였으며, 10$0^{\circ}C$에서도 23%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적 pH는 5.0이었다. $Ca^{2+}$은 효소활성 증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공시균으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를 중온성 BAcillus subtilis KCTC 1024에 형질전환시킨 결과, transformant는 wild type에 비하여 약 2배의 효소활성이 증가되었다.

  • PDF

박테리오파아지 T7 의 기능에 관한 연구;복제단백질간의 단백질 상호작용 (Funcyional Studies on Gene 2.5 Protein of Bacteriophage T7 : Protein Interactions of Replicative Proteins)

  • 김학준;김영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5-192
    • /
    • 1996
  • 박테리오파지 T7 gene 2.5 단백질은 single-stranded DNA 결합 단백질로 박태리오파지 T7의 DNA복제, 재조합, 및 수선에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Gene 2.5 protein은 T7의 DNA 합성과 성장에 필수적인 단백질이다. Gene 2.5 Protein이 중요시 되는 이유는 이 단백질이 T7의 다른 복제 필수단백질인 T7의 다른 복제 필수단백질인 T7 DNA polymerase 와 gene 4 protein(helicase/primase)와 서로 상호작용할 것으로 제안되었기 때문이다. (Kim and Richardson, J. Biol. Chem., 1992;1994). 이 단백질의 단백질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domain은 carboxyl-terminal domain일 것으로 여러 실험에서 대두되었기에, 이 domain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야생형과 변이체 gene 2.5 단백질들을 각각 GST에 융합한후 fusion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이 융합 단백질들의 carboxyl-terminal domain이 T7 복제 단백질들과 상호작용을 조사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affinity chromatography로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아생형 GST-gene 2.5 융합단잭질(GST-2.5 (WT))는 T7 DNA polymerase 와 상호작용을 하였지만. 변이형 융합단백질(GST-2.5$\Delta$21C)는 interaction을 하지 못했다. 이 결과는 carbohyl-terminal domain이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GST2.5(WT)는 gene 4 protein(helicase/primase)와 직접 상호작용을 하나. GST2.5$\Delta$21C는 상호작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ene 4 proteins와의 상호작용에도 gene 2.5 protein의 carboxyl-terminal domain이 직접 관여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gene 2.5 protein은 박테리오파지 T7 의 유전자 목제 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관혀아며, 특히 gene 2.5 protein의 carboxyl-terminal domain이 이러한 상호작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domain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EGF 수용체에 의한 Akt/PKB의 tyrosine 인산화에 대한 연구 (Direct tyrosine phosphorylation of Akt/PKB by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 배순식;최장현;윤성지;김은경;오용석;김치대;서판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185-191
    • /
    • 2007
  • Akt/PKB는 세포의 증식, 분화, 사멸, 혈관신생 등 매우 많은 생리활성 조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는 Akt/PKB의 tyrosine잔기의 인산화가 $Thr^{\308}$ 인산화에 필수적임을 밝혔다. COS-7 세포주에 EGF를 처 리하면 Akt/PKB의 tyrosine 잔기에 인산화가 촉진되었으며 이러한 인산화 촉진은 Akt/PKB에 myristoylation site를 이용해 세포막으로 이동시키면 더욱 더 증가하였다. 특히, 분리된 Akt/PKB와 EGF 수용체를 이용해 인산화 반응을 실시하면 tyrosine잔기의 인산화뿐만 아니라 $Ser^{\473}$에 대한 인산화도 증가하였다. 더욱이 tyrosine잔기에 인산화 된 Akt/PKB는 활성화된 EGF 수용체와 직접적인 결합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예측되는 tyrosine 잔기인 $(Tyr^{\326})$을 Alanine으로 치환하면 정상 Akt/PKB뿐만 아니라 활성화된 Akt/PKB의 EGF에 의한 $Thr^{\308}$ 인산화가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EGF 수용체에 의한 직접적인 Akt/PKB의 tyrosine 인산화는 EGF에 의한 많은 생리활성 조절기전의 또 다른 기전이라 볼 수 있다.

애기장대의 염해 저항성 관련 유전자의 기능적 선별 (Functional Screening of Plant Genes Suppressed Salt Sensitive Phenotype of Calcineurin Deficient Mutant through Yeast Complementation Analysis)

  • 문석준;박수권;황운하;이종희;한상익;남민희;박동수;신동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2013
  • 작물의 생산성 증가를 위해 염해 저항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물의 염해 저항성에 관련된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선별방법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애기장대의 cDNA 라이브리를 염해감수성 효모인 cnb 돌연변이체에 삽입하여 염해 감수성 표현형을 회복하는 콜로니를 선발하였다. 이 선별방법을 통하여 34종의 cnb 돌연변이체의 염해 감수성을 회복하는 콜로니를 선별하였으며,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CaS와 AtSUMO1, AtHB-12 등 9종의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 이들 유전자 중 CaS의 발현이 염해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염해 처리에 의해 CaS의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aS 발현억제 형질전환체는 100 mM 염처리에 의하여 뿌리생장이 저해되었다. 또한 150 mM 염처리에 의하여 CaS 발현억제 형질전환체의 잎에서 백화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CaS 유전자가 효모와 식물에서 염해 저항성에 중요한 유전자임을 증명하였다.

벼의 칼슘-의존성 단백질 카이네즈 유전자인 OsCPK11의 기능적 분석 (A Functional Analysis of OsCPK11, a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 (CDPK) Gene in Rice)

  • 이수희;이정은;필립 데이;사이몬 길로이;김성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33-1244
    • /
    • 2017
  •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s (CDPKs)는 칼슘 이온을 매개로 한 신호전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벼(Oryza sativa)에는 29개의 CDPKs가 확인되었지만 그들의 기능은 완벽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OsCPK11 유전자에 초점을 맞춰 그것의 기능적인 특징을 조사하였다. 벼의 어린 잎, 성장한 잎, 꽃에서 OsCPK11 유전자의 조직-특이적 발현이 확인되었고, 지베렐린이 처리된 벼의 호분층에서도 이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s-17이 삽입된 oscpk11의 표현형에서 돌연변이체 각각의 키는 야생형과 구분되지 않았지만, 영과의 수나 무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덧붙여 많은 돌연변이체 낟알의 배젖에서 white belly materials이 확인되었다. OsCPK11의 cDNA가 cloning되었고, 약 60.5 kD인 OsCPK11 단백질이 GST affinity chromatography와 SDS-PAGE에 의해 얻어졌다. 아미노산 서열 분석을 통해 OsCPK11이 전형적인 CDPKs의 구조적 특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OsCPK11유전자의 기능과 식물에서 칼슘 이온을 매개로 한 신호전달 경로에 CDPK 역할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이다.

miR-375 down-regulation of the rearranged L-myc fusion and hypoxia-induced gene domain protein 1A genes and effects on Sertoli cell proliferation

  • Guo, Jia;Liu, Xin;Yang, Yuwei;Liang, Mengdi;Bai, Chunyan;Zhao, Zhihui;Sun, Box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103-1109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screen and identify the target genes of miR-375 in pig Sertoli (ST) cells and to elucidate the effect of miR-375 on the proliferation of ST cells. Methods: In this study, bioinformatics software was used to predict and verify miR-375 target genes.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used to detect the relationship between miR-375 and its target genes in ST cell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of rearranged L-myc fusion (RLF) and hypoxia-induced gene domain protein 1A (HIGD1A) was performed on porcine ST cells, which were transfected with a miR-375 mimics and inhibitor to verify the results. Dual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interactions among miR-375, RLF, and HIGD1A. The effect of miR-375 on the proliferation of ST cells was analyzed by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MTS). Results: Five possible target genes of miR-375, including RLF, HIGD1A, colorectal cancer associated 2, POU class 3 homeobox 1, and WW domain binding protein 1 like, were foun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PCR suggested that mRNA expression of RLF and HIGD1A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iR-375, indicating that RLF and HIGD1A are likely the target genes of miR-375. The ELISA results revealed that RLF and HIGD1A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miR-375 protein level. The luminescence results for the miR-375 group cotransfected with wild-type RLF and HIGD1A vecto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miR-375 group co-transfected with the blank vector or mutant RLF and HIGD1A vector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RLF and HIGD1A are target genes of miR-375 and that miR-375 inhibits ST cell proliferation according to MTS analysis. Conclusion: It was speculated that miR-375 affects cell proliferation through its target gen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esticular tissue.

D. melanogaster에 있어서 P Element를 이용한 rosy 유전자의 형질전환 (P Element-Mediated Transformation with the rosy Gene in Drosophila melanogaster)

  • 김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40-347
    • /
    • 1995
  • D. melanogaster를 대상으로 두 종류의 P element construct, 즉 Pc[(ry+)B]와 p[(ry+)$\Delta$SX9]을 사용한 형질전환 실험을 통하여 자율적 및 비자율적인 P element construct간의 vector로써의 효율성을 분석했다. 자율적인 P element 내에 rosy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Pc[(ry+)B] construct를 진정 M 계통형인 ry506 돌연변이 계통에 주입시켰다. 또한 비자율적인 P element 내에 rosy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p[(ry+)$\Delta$SX9] construct와 전이효소의 공급원으로써 p-$\Delta$2-3hs$\pi$ helper plasmid를 역시 같은 계통의 ry506 돌연변이 계통에 주입시켰다. Dechorination 방법에 의해 총 1143 embryo를 대상으로 microinjection 한 결과, 모두 35 계통의 형질전환된 정상형의 눈을 가진 계통을 얻었다. P element construct를 주입시킨 전체 1143 embryo 중에서 약 20% 정도가 성체로 부화되었으며, 부화된 개체 가운데 약 40% 정도가 눈 색깔이 거의 정상형과 같은 G0 transformant 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식력을 가진 G0 transformant의 약 40% 만이 G1 transformant로 나타남으로써 모두 35 계통의 transformant를 얻었다. 따라서 G0 단계에서 나타난 형질전환 현상에는 반드시 rosy transformant의 염색체 삽입에 의해서 만이 아니라 세포질내에서도 construct내의 rosy 유전자의 발현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형질전환율에 있어서는 Pc[(ry+)B]와p[(ry+)$\Delta$SX9] construct 간에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실험 목적에 따라 자율적인 P element 또는 helper DNA를 이용한 비자율적인 P element를 효과적인 vector 로 선택 이용함으로써 특정 유전자를 곤충집단내로 침투 및 고정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사철느타리버섯 원형질체내에 표고 핵의 전이 (Intergeneric Transfer of Isolated Nuclei from Lentinus edodes into Protoplasts of Pleurotus florida)

  • 유영복;신평균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111-126
    • /
    • 1996
  • 표고 Lentinus edodes의 균사체로부터 핵을 분리하여 사철느타리 Pleurotus florida 원형질체에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전이하여 속간(屬間) 핵전이체(核轉移體)를 16균주 얻었다. 주된 핵전이주는 합핵체(合核體) synkaryon 또는 이질핵체로 꺽쇠연결체 clamp connections가 없었다. 그러나 톱밥배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저온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꺽쇠연결체를 가진 균사가 다시 생장하여 사철느타리와 유사한 자실체를 형성하였으나 갓색택은 다소 달랐다. 꺽쇠연결체 형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광, 온도, 배지의 영양, 배지의 생리적 상태로 나타났다. 핵치환체(核置換體) reconstituted cell는 꺽쇠연결체를 가진 표고와 유사한 균총형태로 자실체도 표고와 거의 유사하였다. 핵융합체(核融合體) nuclear hybrid는 이질배수체(異質倍數體) heteroploid로 균총생장이 빠르고 benormyl 첨가배지에서 균총분리가 나타나며 꺽쇠연결체와 자실체를 형성하지 않았다. 동위효소 esterase, leucine aminopeptidase 분석결과 핵융합체는 전혀 새로운 벤드양상이었으나 합핵체는 사철느타리의 주된 밴드를 형성하면서 양친에 없는 다소의 새로운 밴드를 형성하여 구분되었다. PCR에 의한 RAPD 벤드의 크기는 0.25-4.0 Kb였으며 유전유사도 분석으로 5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표고와 핵치환체, 핵합체 p669, 사철느타리와 12 핵합체, 핵융합체 p674, 핵융합체 p678이었다. 합핵체의 담자포자로 2 핵전이체를 유전분석한 결과 원영양형(原營養型) prototroph과 영양요구형(營養要求型) riboflavine으로 분리되었는데 그 비는 1 : 1, 1 : 2였다.

  • PDF

감자 건부(乾腐) Fusarium roseum ‘Sambucinum’ 변이체(變異體)의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에 미치는 아미노산(酸) 영양(營養) (Amino Acid Nutrition on Growth and Reproduction of Potato Dry Rot Fusarium roseum ‘Sambucinum' Variants)

  • 이창은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7-192
    • /
    • 1982
  • 감자 건부병균(乾腐病菌) Fusarium roseum ‘Sambucinum'의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및 증가(增加) 변이체(變異體)의 균사생장(菌絲生長)과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에 미치는 각종(各種) 아미노산(酸)의 효과를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병원성(病原性) 증가(增加) 변이체(變異體) Ic52 및 Ic116은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변이체(變異體) Dc14 및 Dc91 보다 모든 공시(供試) 아미노산(酸)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더큰 경향(傾向)을 보여 leucine에서 최고(最高) 67mg까지 생장(生長)하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은 $25{\times}10^{4}/ml$ 이하로 감소(減少) 또는 완전(完全)히 소실(消失)하였다. Methionine은 변이체(變異體) 및 야생형(野生型)에 대(對)하여 $14{\sim}20mg$의 가장 적은 균사생장(菌絲生長)을 보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는 전연형성(全然形成)시키지 않았다. Cystine은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변이체(變異體) Dc14 및 Dc91의 균사생장(菌絲生長) 30mg 및 19mg를 보여 asparagine과 같이 중정도(中程度)였고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에는 효과가 없었다. 모든 공시(供試) 아미노산(酸)에서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변이체(變異體) Dc14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Dc91보다 큰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도 Dc91에서 최고(最高) $195{\times}10^{4}/ml$를 보인 glutamic acid를 제외(除外)한 아미노산(酸)에서 Dc14 현저(顯著)하게 많았으며 lysine HCI은 이들 양변이체(兩變異體)의 분생포자(分生胞子)를 형성(形成)시키지 않았다.

  • PDF

Fusarium prolifertum KGL0401의 지베렐린 생산 최적조건과 waito-c 생장에 미치는 영향 (Optimization of gibberellin production by Fusarium prolifertum KGL0401 and its involvement in waito-c rice growth)

  • 임순옥;이진형;이인중;이인구;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0-124
    • /
    • 2007
  • 본 연구는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곰팡이로 알려진 야생균주 Gibberella fujikuroi보다 더 많은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균인 Fusarium proliferatum KGL0401를 꽈리 뿌리에서 분리하였으며[13], 지베렐린 생산을 위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종류, C:N ratio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베렐린 중 생물학적 활성이 가장 높은 $GA_3$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탄소원은 sucrose(7.02 ng/ml)이었으며, 질소원은 $NH_4Cl$(187.63 ng/ml)이었다. 그리고 최적 C:N ratio를 찾기 위해 탄소원(0 - 1.5 M)과 질소원(0 - 0.47M)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ratio가 0.5 M : 0.17 M일 때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GA_3$를 140.0 ng/ml로 가장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ioassay 결과 $GA_1,\;GA_3\;GA_4$$GA_7$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C:N ratio가 0.5 M : 0.17 M 일 때의 배양액 10 ul을 처리한 waito-c 볍씨의 길이가 평균 11.1 c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