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ild herbal extrac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초

홍삼과 산야초 발효액을 첨가한 고추장의 기능성 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ing the Functional Quality of Kochujang Added with Red Ginseng and Fermented Wild Herbal Extract)

  • 윤금주;김지영;여혜림;전미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75-1679
    • /
    • 2011
  • 본 연구는 홍삼 및 전분질 원료로 산야초 발효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 등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일반 시판 고추장에 비해 6% 정도 낮았고 회분과 조단백의 경우 각각 3.7%, 0.9% 정도 높게 나왔다. 조지방에 경우는 두 시료 모두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H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편이었는데 이는 다른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고추장보다도 낮은 값으로 홍삼과 산야초 발효액 첨가가 더 많은 유기산을 생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색도의 경우 L, b값은 홍삼, 산야초 발효액 첨가 고추장이 높은 값을 띄는 반면 a값은 시판 고추장이 더 높게 나왔다. 이러한 차이는 색도의 관한 기호도 평가에서 대조군 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기능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DPPH 활성의 경우 전 농도에서 대조군보다 높게 나왔지만 특히 가장 높은 농도인 100 ${\mu}g$/mL에서 유의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는 모든 구간에서 유의적으로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지질산화를 일으키는 효소인 lipoxygenase의 저해능을 평가한 결과 100 ${\mu}g$/mL의 고농도에서 시판 고추장뿐만 아니라 양성대조군보다 2배가량 높은 저해활성을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맛, 색깔, 풍미, 종합적 기호도 모든 항목에서 시판 고추장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얻음으로 홍삼과 산야초 발효액의 첨가가 전반적인 고추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Establishment of Mouse Embryonic Stem Cell and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Induction of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 Lee, Ji Hyang;Lee, 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93-699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ohwangcheungsimweun (ox bezoar), deer antlers, and wild ginseng on induction of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using the established mouse embryonic stem (ES) cells. The expression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was highest in Woohwangcheungsimweun treatment group. The expression of rabbit anti-GATA-4(GATA-4) and troponin (TnI) were highest in wild ginseng and Woohwangcheungsimweun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ANP was highest in Dimethyl sulfoxide(DMSO) and Woohwangcheungsimweun treatment groups. The expression of GATA-4 was relatively high in wild ginseng treatment group. The expression of TnI was highest in Woohwangcheungsimweun treatment group. In the gene expression analysis, DMSO greatly inhibited GATA-4 expression to 25% of control. Woohwangcheungsimweun treatment caused to increase cTnI and cardiac ANP expression significantly. Wild ginseng extract upregulated GATA-4 gene expression. In conclusion, DMSO widely used as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inducer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ANP, GATA-4 and TnI in this study. Woohwangcheungsimweun showed upregulation of ANP and TnI expression. Wild ginseng extract showed greater effects than DMSO on GATA-4 expression.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Woohwangcheungsimweun and wild ginseng extract treatmen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expressions of all three genes.

임상투여용량에서 초오전탕액의 흰쥐에 대한 간독성연구 (Studies on the Liver Toxicities with different Dosage of Wild Aconiti Tuber Decoction)

  • 김윤경;이제현;송계용;박성규;김정숙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3-143
    • /
    • 2005
  •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liver toxicities of Wild Aconiti Tuber decoction. Methods : The amounts of aconitine in the methanol extract of Wild Aconiti Tuber was measured by HPLC. Safeties was studied by LD50 in mice. Liver toxicities were evaluated histologically and by CBC, blood chemistry after 2 weeks of 0.4g/kg/day clinical dosage oral administrations in rat. Results : 1. The amounts of aconitine in the methanol extract of Wild Aconiti Tuber is $1.697{\pm}0.052mg/g$. But aconitine was not detected in the water decoction of Wild Aconiti Tuber. 2. To evaluate LD50 and safeties of Wild Aconiti Tuber decoction, ICR mice were given high dose of 2, 5, 10g/kg for single time and were observed for 2 weeks. There were no dead animal and abnormal clinical sign and no abnormalities at the autopsy. So, LD50 was admitted to higher than 10g/kg. 3. After 2 weeks of 0.4g/kg/day clinical dosage oral administrations in r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BC and blood chemistry. 4. In the liver tissues of clinical dosage, mitotic figures, apoptosis and individual cell death were observed, but clear liver toxicities like fatty liver or necrosis were not observed. the liver tissues of high dose in mice, hydropic changes were getting severe as dose grows.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results, though aconitine was not detected in the Wild Aconiti Tuber decoction, 0.4g/kg/day 2 weeks p. o (clinical dosage) group showed weak changes in the liver tissues and high dose group showed liver toxicities like hydropic changes.

  • PDF

산마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Extracts)

  • 장준복;도은수;길기정;양재경;윤충원;이건희;정윤혜;지윤선;김보람;최명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08-416
    • /
    • 2011
  • 울릉도 자연산 및 강릉산 재배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의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강릉산보다 울릉도산에서, 인경보다 잎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강릉산 잎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52.5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인경에서는 산지별, 추출용제별 차이가 없었다. 울릉도산 잎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73.30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울릉도산은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강릉산은 물 추출물에서 높았고, 인경보다 잎에서 높게 나타났다. 울릉도산 잎의 알코올 추출물에서 5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강릉산보다 울릉도산에서 높게 나타났고, 울릉도산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92.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인경보다는 잎에서, 울릉도산 보다는 강릉산 잎에서 높게 나타났다. 강릉산 잎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58.85%로 가장 높았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울릉도산과 강릉산 모두 잎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고, 울릉도산 잎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73.33%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로 산마늘 추출물은 항산화 관련 건강기능성 식품 등으로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취의 재배 및 건조 방법에 따른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Aster scaber by cultivation and drying methods)

  • 홍주연;김규민;남학식;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2-90
    • /
    • 2014
  • 본 연구는 인공 재배 산채의 생산량 및 산채의 가공제품의 개발의 증대함에 따라 야생 및 재배 참취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재배 및 야생 참취의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참취의 열수 추출물의 수율은 야생 참취에 비해 재배 참취에서 수율이 높았고, 블랜칭 건조 추출물의 수율이 높았다. 야생 참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재배 참취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건조방법에 따른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블랜칭 건조 추출물에서 높았고, 플라보노이드의 경우에는 생채 추출물에서 높았다. 참취의 열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블랜칭 건조의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참취 열수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생채 열수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야생 및 재배의 생채, 블랜칭건조, 생채건조 열수 추출물 순으로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생채건조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과 환원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블랜칭 건조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참취의 재배 및 건조 방법에 따른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성이 우수하여 천연항산화 소재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활용 가능한 약용식물자원이며, 이를 활용한 가공산업 발전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야생 및 재배 참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Aster scaber grown in wild and culture field)

  • 김규민;홍주연;우숙이;이현석;최영준;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67-576
    • /
    • 2015
  • 본 연구는 산지에 자생하는 참취와 밭에서 재배하는 참취의 품질과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참취의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블랜칭 건조한 시료에서 높았고, 폴리페놀 함량은 야생 및 재배 블랜칭 건조한 시료에서 각각 35.59, 26.83 mg/g으로 야생 조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군에서 활성이 증가했고 블랜칭 건조가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야생 참취는 생채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재배 참취는 블랜칭 건조에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 pH 1.2에서는 생채와 재배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재배보다 생채 참취 추출물이 더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tyrosinase 저해효과 측정 결과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야생 참취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은 증가함을 보였고 블랜칭 건조가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야생 참취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참취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재배 참취의 추출물에 비해 야생 참취의 추출물에서 높았다. 참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생채 및 블랜칭 건조 참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자연건조 참취 추출물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참취는 영양성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및 노화예방에 우수한 식품이며, 참취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은 국민 건강과 더불어 참취의 소비확대 및 부가가치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ti-wrinkle Effect of Herbal Medicine Plant and Its Applications in Cosmetics

  • Park, Young-Ho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235-238
    • /
    • 2016
  • Mt. Jiri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is a treasure trove of wild medicinal plants. More than 1200 species currently classified as herbs are grown or cultivated in the area. Recently, safflower has attracted interest because of its ability to control fine wrinkle formation on the nec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active ingredient of safflower could be used in the form of an extract to reduce wrinkle formation in individuals aged 30 to 59 year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the extract’s elastase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 by using DPPH assay in vitro and evaluating the anti-wrinkle efficacy of different types of safflower extracts in improving fine wrinkles on the neck.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future studies to develop safflower extracts using advanced composition technolog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herbal cosmetics industry.

국내 야생버섯의 항산화 활성 및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 (Antioxidant activities and β-glucan contents of wild mushrooms in Korea)

  • 안기홍;한재구;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4-151
    • /
    • 2019
  •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베타글루칸 함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버섯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컬 소거능, $ABTS^+$ 라디컬 소거능, 총 폴리페놀 함량, 베타글루칸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집 야생버섯 중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과 ABTS 라디컬 소거능이 높은 버섯은 간버섯속(OK1071), 명아주자작나무버섯(OK1090), 등갈색미로버섯(OK1094)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간버섯속(OK1071)이 각각 74.2%와 37.7 mg GAE/g의 값을 나타내며 가장 높았다. 베타글루칸 함량은 조개껍질버섯(OK1040), 구름송편버섯(OK1044), 간버섯속(OK1071)이 각각 47.8%, 43.9%, 41.8%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야생 버섯들 중에서 항산화 활성 등이 우수한 버섯자원들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 나아가 국내 버섯산업의 확대를 위하여 토종 버섯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으리라 기대된다.

재배방법을 달리한 복령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Poria cocos depending on cultivation methods)

  • 김유진;박해진;이진상;도은주;손형락;전선만;염정현;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07-114
    • /
    • 2016
  • Objectives : Poria cocos Wolf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medicine as a medicinal fungu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at comparative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wild Poria cocos (WP) and plastic bag-cultivated Poria cocos (PBP).Methods :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WP and PBP extract were monitored. And DPPH, ABTS, hydroxyl (·O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reducing power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em were determined at 5, 1, 0.5 mg/ml concentrations.Results :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found in the PBP extract (52.07±0.6 mg/TAEg) than in the WP extract (28.44±0.26 mg/TAEg). The flavonoid contents in WP and PBP extract were 17.29±0.30 mg/ RUEg, 21.36±0.40 mg/ RUEg, respectively. Also, DPPH, ABTS and ·O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PBP extract in treated concentrations (5, 1, 0.5 mg/ml)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WP-treated group. In particular, DPPH,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reducing power of PBP extract at 5 mg/ml concentration were similar to positive control (BHA or vit. C). Xanthine oxidase (XO) inhibition rate in both extract increased dose dependently. But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BP-treated group, only at 5 mg/ml, compared to those of WP-treated group. Then, their inhibition rate by PBP was similar to positive control (BHA).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BP extract is superior to WP extract in anti-oxidant capacity thus PBP can be applied in variable antioxidative products as a substitute for WP.

자연산 당귀와 재배 당귀의 피부 손상 회복 효능 비교 (Comparison of skin damage recovery between natural and cultivated Angelicae Gigantis Radix)

  • 황선영;이미현;위관환;김도현;이숭인;정종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7
    • /
    • 2023
  • Purpose : To compare the skin damage recovery efficacy of natural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N-AGR) and cultivated A. Gigantis Radix extract (C-AGR). Through this, we confirmed whether the quality standards of herbal medicines recorded in the classic books make a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efficacy using epithelial cells. Methods : The quality standards of medicinal herbs in the classic books and the cultivation and processing conditions of two types of A. gigas were compared. After inducing oxidative stress with H2O2, cytoprotective property of N-AGR and C-AGR were evaluated through cell viability. Additionally, after wound formation of epithelial JB6 cells, N-AGR and C-AGR were treated to evaluate wound healing efficacy. Result : The natural A, gigas met the excellent quality standards of the classic books. N-AGR inhibited cell death by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2O2, and was superior to C-AGR. Both N-AGR and C-AGR showed dose-dependent wound healing efficacy, but N-AGR was significantly superior to C-AGR. Conclusions : Through the oxidative stress of skin and skin wound healing efficacy experiments using epithelial cells, natural A. gigas showed superior efficacy compared to cultivated A. gig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