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grape juic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산화된 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서의 머루즙 투여가 지질대사와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ild Grape Juic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ive Activity in Rat Fed High Oxidized Lipid)

  • 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3-230
    • /
    • 2009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serum and liver lipid composition of wild grape juice in vivo. Forty 6-week-old white Sprague 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such as normal lipid group, normal lipid group with wild grape juice, oxidized lipid (basic diet plus 10% of oxidative lipid) group and oxidized lipid group with wild grape juice, and 2ml juice was provided everyday. After 4 weeks of feeding with experimental diet each groups were examined for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blood and liver microsome and their serum and liver lipid composition. Glutan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bloo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xidized lipid group with wild grape juice than in oxidized lipid group. Glutanthione peroxidase activity showed no difference depending on wild grape juice supplementation. Glutan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liv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with wild grape juice than in the groups supplemented only with oxidized lipid. Glutanthione reductase activity showed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upplementation of wild grape juice. Serum triglyceride level in the group supplemented with oxidized lipid diet and wild grape juice showed similar value to the normal lipid group and the normal lipid group with wild grape juiceoxidized fa6. Liver total lipid in the group supplemented with oxidized lipid and wild grape juice showed similar value to the normal lipid group and the group supplemented with normal lipid and wild grape juice. And it was lower than that of oxidative lipid group without juice. The liver triglyceride level in the group supplemented with normal lipid and wild grape juice was lower than that in the oxidative lipid group, but it was as low as in the group supplemented only with normal lipid.

  • PDF

무농약 산머루 즙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added with Pesticide Free Wild Grape (Vitis amurensis) Juice)

  • 강창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1-30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농약 산머루 즙의 양을 각각 50 g, 100 g, 150 g, 200 g 수준으로 다르게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하고 색도, 당도, 기계적 조직감,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무농약 산머루 양갱의 색도는 명도(L)값과 황색도(b)값이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반대로 적색도(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대조군이 2.31 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점차 높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기계적 조직감은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 등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색, 향, 맛 등의 전체적 선호도에서 무농약 산머루 즙 150 g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머루즙과 머루주의 이화학적 분석 및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Juice and Its Wine)

  • 최선영;조현소;김행자;류충호;이정옥;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1-317
    • /
    • 2006
  • 머루의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머루즙과 머루주를 80% ethanol로 추출하여 이화학적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머루즙과 머루주의 수분 함량은 70% 이상이었고, 총 안토시아닌은 머루주보다 머루즙에서 약 4배, 플라보노이드는 약 10배 정도로 높게 정량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총 11종이 분석되었으며, 그 함량은 머루즙에서는 glutamic acid (43.7${\pm}$l.4 mg/100 g) 그리고 머루주에서는 threonine(14.7${\pm}$0.7 mg/100 g)이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정량된 10종의 무기물 중 K의 함량이 머루즙과 머루주에서 44.1${\pm}$2.0 mg/100 g, 44.8${\pm}$3.1 mg/100 g으로 가장 많았다. 항산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 공여능과 환원력은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머루즙과 머루주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실험한 결과 낮은 pH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여 1,000 ${\mu}$g/ml의 처리구의 머루즙과 머루주에서 각각 79.6${\pm}$1.27% 및 72.8${\pm}$1.01%의 소거능을 보였다.

머루 주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황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Grape(Vitis coignetiea) Juice)

  • 박현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7-304
    • /
    • 2010
  • 머루 주스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17.0{\pm}0.1$, 색도는 $33.9{\pm}1.4$였으며,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25.4{\pm}3.1$ mg/l00 g, $4.4{\pm}1.4$ mg/100 g이었다. 무기질은 특히 K의 함량이 $11.3{\pm}0.3$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mu}L$/mL의 농도에서 $94.8{\pm}1.2%$의 뛰어난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머루 주스를 이용하여 금속이온의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1,000\;{\mu}L$/mL일 때 환원력은 1.134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H 1.2의 조건일 때 $1,000\;{\mu}L$/mL의 농도에서 $77.1{\pm}1.1%$로 가장 뛰어난 소거능을 보였다. 머루 주스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험 결과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개량머루를 이용한 발효제품의 제조 (Winemaking from New Wild Grape)

  • 김성렬;김승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4-262
    • /
    • 1997
  • 본 연구는 1988년 식품개발연구원 지방명품 산학연 협동연구사업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x The possibility of winemaking from a new wild grape(NWG) cultivated in north Kyungki province in Korea, was tested by analyzing the proximate and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fresh fruit, the chemic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of wines made from the grape. NWG contained about 10% seed, and about 70% of juice. Total sugar content, total acidity and pH of the fruit juice were 17.50, 1.14 and 3.48%, respectively. Tartaric acid and malic acid contents of the NWG juice were 0.396 and 0.509%, respectively. Ethanol fermentation of the NWG by Saccharomyces cerevisiae Montrachet was rapid. The ethanol content, total acidity and pH of pink wine made from the NWG juice showed 11.88, 0.85 and 3.55%, respectively. Tartaric acid and malic acid contents of pink wine were 0.208 and 0.421%, respectively. Total anthocyanin content(A520) and color intensity(A520+A420) of pink wine were 5.46 and 9.39, showing greatly higher total anthocyanin content and color intensity than those of European red wines. Total phenol contents of NWG wine were 2,300∼3,800mg/ℓ. The pink wine made from the fruit juice was better than the red wine in their quality parameters and sensory scores.

  • PDF

국내 시판 과일 및 야채 주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in Activity of Domestic Fruit and Vegetable Juice)

  • 이만효;김미선;신화균;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6-1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건조 근채류 절편을 천연과일주스에 침지 후 건조하여 과일주스의 관능성과 유용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근채류 칩 개발을 목표로, 먼저 국내 시판주스 8종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사과, 오미자, 포도, 머루, 오렌지, 토마토, 홍삼 및 흑마늘 주스의 평균 수분함량, pH, brix 및 산도는 각각 $85.59{\pm}5.80%$, $3.90{\pm}0.64$, $12.19{\pm}4.70%$, 및 $0.49{\pm}0.19%$였다. 총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흑마늘 주스 및 포도 주스가 각각 1.50 및 1.21 mg/ml으로 8종 주스 평균인 0.57 mg/ml보다 매우 높았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도 흑마늘 주스 및 포도 주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스들의 항혈전 활성 평가 결과, 오미자 주스에서만 아스피린 1.5 mg/mL에 상당하는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항균 활성 평가 결과, 오미자, 포도, 및 오렌지 주스에서 우수한 항세균 활성이 나타났으나 항진균 활성은 모든 주스에서 인정되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포도>흑마늘>오렌지>머루>토마토>사과>오미자>홍삼 주스 순으로 나타났으며, nitrite 소거능은 머루>흑마늘>포도>홍삼 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오미자 주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포도 및 흑마늘 주스를 이용한 관능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근채류 칩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산머루과즙을 이용한 발효산형음료 개발 (Development of Fermented Acidic Beverage using Wild Grape Juice)

  • 김미림;최미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6-52
    • /
    • 2011
  • 산머루과즙으로 새로운 산형음료 개발을 위해 tea fungus로부터 분리한 G. hansenii TF-2 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다. 과즙배지는 11~17%(v/v)의 산머루과즙에 초기 당도를 $10^{\circ}Brix$로 조정하였다. G. hansenii TF-2에 의한 발효는 과즙 배지에 활성화시킨 seed gel의 5%(w/v)를 첨가하여 $29{\pm}1^{\circ}C$에서 15일 동안 배양하였다. 발효동안 발효 액 표면에 막을 생성시키고 산(acids)을 생성하였다. 산머루과즙 발효액의 유기산은 succinic acid와 malic acid가 acetic acid 보다 우위를 차지하였으며, 발효 15일째 측정에 의하면 WGB의 succinic acid는 WGB11이 49.6 ppm, WGB17은 77.4 ppm이 검출되었다. 배양기간 동안 WGB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가 확인되었으며, 발효 15일째에는 fructose 만이 1063.6~1082.5 mg/mL 검출되었다. 발효음료의 음용시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WGB17이 34.46~88.00%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양성균보다는 음성균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머루와인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The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Wild Grape(Vitis coignetiea) Wine)

  • 박현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8-73
    • /
    • 2011
  • 머루와인의 pH는 $3.7{\pm}0.1$,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4.3{\pm}0.3$, 색도는 $10.2{\pm}0.8$이었으며,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18.8{\pm}3.9$ mg/100 g, $0.5{\pm}0.2$ mg/100 g이었다. 무기질은 총 10종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K의 함량이 $5.3{\pm}0.2$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u}L/mL$의 농도에서 $90.4{\pm}1.8%$로 가장 활성이 뛰어났으며,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1,000 ${\mu}L/mL$일 때 환원력은 0.932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H 1.2의 조건일 때 1,000 ${\mu}L/mL$의 농도에서 $76.3{\pm}1.3%$로 가장 뛰어난 소거능을 보였다. 머루와인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험 결과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Korean Wild Grape (Meoru grape, Vitis coignetiae) and Its Pomace

  • Shim, Kwan-Seob;Kang, Da-Rae;Park, Seong-Bok;Park, Jong Hyuk;Chung, Yi Hyung;Kang, Young-Hee;Shin, Daek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0-659
    • /
    • 2014
  • Large quantities of Korean wild grape (Vitis coignetiae, KWG) pomace, a by-product of grape juice and wine manufacture, are generated annually, and disposal cost of KWG pomace is now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anthocyanin content in whole KWG, KWG skin and KWG pomace and to identify and quantify flavonoids found in whole KWG and KWG pomace using LC/MS/MS. Spectral analysis showed high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in KWG skin extracted with 75% ethanol (p < 0.05). KWG pomace had higher amount of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anthocyanin than whole grape (p < 0.05). Sixteen flavonoids were identified, but only 10 flavonoids were quantifiable from whole KWG and KWG pomace. Both epicatechin and rutin were the major flavonoids, and 521 or 147 ng/g of epicatechin (p < 0.05) and 305 or 110 ng/g of rutin (p > 0.05) were found in whole KWG and KWG pomace,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KWG pomace is a very rich source of flavonoids, thus KWG pomace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additive. Plans to include KWG pomace in food production are necessary.

Downregulation of EHT1 and EEB1 in Saccharomyces cerevisiae Alters the Ester Profile of Wine during Fermentation

  • Yang, Xue;Zhang, Xuenan;He, Xi;Liu, Canzhen;Zhao, Xinjie;Han, N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6호
    • /
    • pp.761-767
    • /
    • 2022
  • EHT1 and EEB1 are the key Saccharomyces cerevisiae gene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ethyl esters during wine fermentation. We constructed single (Δeht1, Δeeb1) and double (Δeht1Δeeb1) heterogenous mutant strains of the industrial diploid wine yeast EC1118 by disrupting one allele of EHT1 and/or EEB1. In addition, the aromatic profile of wine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of simulated grape juice by these mutant strains was also analyzed. The expression levels of EHT1 and/or EEB1 in the relevant mutants were less than 50% of the wild-type strain when grown in YPD medium and simulated grape juice medium. Compared to the wild-type strain, all mutants produced lower amounts of ethyl esters in the fermented grape juice and also resulted in distinct ethyl ester profiles. ATF2, a gene involved in acetate ester synthesis, was expressed at higher levels in the EEB1 downregulation mutants compared to the wild-type and Δeht1 strains during fermentation,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content of acetate esters.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higher alcohols was also markedly affected by the decrease in EEB1 levels. Compared to EHT1, EEB1 downregulation had a greater impact on the production of acetate esters and higher alcohols, suggesting that controlling EEB1 expression could be an effective means to regulate the content of these aromatic metabolites in wine. Taken together, the synthesis of ethyl esters can be decreased by deleting one allele of EHT1 and EEB1 in the diploid EC1118 strain, which may modify the ester profile of wine more subtly compared to the complete deletion of target g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