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rice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22초

벼품종의 재배지역에 따른 미질특성변이 I. 미질특성의 지역변이 (Variation of Grain Quality of Rice Varieties Grown at Different Locations I. Locational Variation of Quality-related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 김광호;주현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4-43
    • /
    • 1990
  • 미질에 관련된 주요 형질들의 지역변이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6품종이 벼를 '87-'88년의 2년간에 걸쳐 품종별로 8-20개 지역에서 수집하여 이들 각각의 도정률, 쌀의 외관, 아밀로스함량 및 알칼리 붕괴도, 관능검사에 의한 식미평가, 레오메타를 이용한 밥알의 조직감 그리고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쌀가루의 호화 및 점도특성을 조사하였다. 1. 조사한 미질관련형질 중 정현비율, 현백비율, 백미천립중 및 쌀의 아밀로스합량은 지역변이가 작았으나 완전백미비율, 쌀의 알칼리붕괴도, 쌀가루의 gel consistency, 심복백미비율, 심복백정도와 수명도의 지역변이는 상대적으로 컸으며 특히 심복백미비율의 변이정도는 공시한 6품종에서 모두 컸다. 2. 품종별로 '87년과 '88년 계속해서 심복백미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쌀을 생산한 지역은 추청벼의 경우 충주, 음성, 안성 및 영덕이었고 동진벼는 안성, 상풍벼는 상주(화서)와 안성, 삼강벼는 춘천, 연천 및 상주(화서), 그리고 용문벼는 상주(화서)와 연천이었다. 3. 관능검사법으로 조사한 식미형질들은 품종, 연도 및 조사항목에 따라서 지역변이정도가 다양하게 변하였으나 레오메타로 조사한 밥알의 조직감 중 식미지수 및 점착성의 지역변이는 매우 컸고 응집성 및 탄력성은 낮은 변이계수를 보였다. 4. 품종별로 식미지수가 2년 연속 평균치보다 높았던 쌀을 생산한 지역은 추청벼는 해당지역이 없고, 동진벼는 안성, 상풍벼는 이천과 영덕, 삼강벼는 여주, 그리고 용문벼는 안성이었고, 점성/경도 비율이 높았던 곳은 추청벼가 김포, 동진벼는 안성, 삼강벼는 이천과 이리, 그리고 용문벼는 춘천이었다. 5. 쌀가루의 아밀로그람특성 중에서는 set back, break down 및 최고점도의 지역변이가 컸다. Set back이 특별히 낮고 break down이 평균치보다 훨씬 높은 쌀을 생산한 지역을 보면 추청벼는 서산과 안성, 동진벼는 안성, 서산 및 화순, 삼강벼는 안성, 서산, 화순 및 계화도 그리고 용문벼는 안성과 충주였다.

  • PDF

Antioxidative Activity and Varietal Difference of Cyanidin 3-glucoside and Peonidin 3-glucoside Contents in Pigmented Rice

  • Ryu, Su-Noh;Han, Sang-Jun;Park, Sun-Zik;Kim, Hong-Yeo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7-260
    • /
    • 2000
  • The content of anthocyanin, cyanidin 3-glucoside (C3G) and the peonidin 3-glucoside (P3G) from 591 rice cultivars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OH extract from 8 rice cultivars were evaluated. Among them, C3G content of pigmented rice were ranged from 0 to 451.9mg in 100 g brown rice, while the P3G contents were in the range from 0 to 42.7mg in 100g brown ric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3G and P3G content. Total anthocyanin content ranged from 0 to 475.1mg in 100g brown rice. The antioxidative activity, the scavenging activity on DPPH (2,2-diphenyl-picryl-hydrazyl) radical of MeOH extracts from rice grai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ultivars. The activity of blockish purple pericarp rice cultivars was twice stronger than that of white pericarp cultivar. Especiall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Heugjinjubyeo was four times stronger than that of white pericarp cultivar. The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in rice extracts was related to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s of the extracts.

  • PDF

Changes in the Grain Quality of Rice with Respect to the Duration of Lodging Time

  • Hwang, Tai-Jeong;Lee, Won-Jong;Shin, Jin-Chul;Lee, Chul-Won;Kim, Suk-Sh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59-1463
    • /
    • 2009
  • The specific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grain quality of lodged rice with respect to the duration of lodging time and compare the changes with those of unlodged one. The rice 'Janganbyeo' was cultivated and half of paddy field was totally lodged at 30 days after heading. Both lodged paddy and unlodged paddy were harvested at intervals and used for the grain quality determination. The lodged rice did not show any remarkable changes in grain quality until the $4^{th}$ day of lodging for rough rice and until the $2^{nd}$ or the $4^{th}$ day of lodging for brown rice and white rice. The overall grain quality of lodged rice could be kept for 2 to 4 days of lodging.

재배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오대벼 백미의 단백질체 분석 (Proteomic Changes in Odae Polished White Rice Grown at Different Cultivation Conditions)

  • 이주영;이진우;김영란;염유진;임진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2호
    • /
    • pp.79-83
    • /
    • 2012
  • 벼의 발아에서부터 생장 결실기에까지 토양, 온도, 시비조건 등의 재배환경은 벼에 발현되는 단백질체의 profile을 변화시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온도를 포함한 재배환경이 다른 경상북도 칠곡과 강원도 출원에서 재배된 오대 백미의 단백질체 profile을 2-dimensional (D) gel 상에서 분리하여 비교함으로써 재배환경에 의해 현저하게 발현양의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들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오대 백미에 발현되는 112개의 단백질들의 기능을 고려할 때 재배환경에 의해 가장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 군들은 철원 오대백미의 스트레스 대응 단백질로 지베렐린 합성에 관여하는 ent-kaur-16-ene synthase이며 칠곡 오대백미의 스트레스 대응 단백질은 heat shock protein으로 재배환경에 따라 발현되는 스트레스 대응 단백질의 종류도 다르게 나타났다. 등숙온도가 높은 칠곡에서 재배된 오대 백미에는 곰팡이나 Bacillus 병원균에 대응하는 xylanase inhibitor protein이 유의적으로 발현되었으며, 철원 백미에서는 세포벽 합성관련 효소,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등이 선별적으로 발현의 증가를 보였고 수송관여 단백질들은 철원 및 칠곡 백미에서 모두 변화를 보였다. 단백질 함량과 단백질 profile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때 철원 백미에는 칠곡 백미에 비해 새로운 주종 단백질들의 발현이 많았으며 칠곡 백미는 전체적인 단백질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음을 보여, 재배환경에 따라 단백질 profile이 변화되는 특성이 다름을 보였는데, 이 결과는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 변화에 따른 작물의 단백질체 변화와 고급미 생산을 위해 적절한 단백질체 profile을 갖게 하는 재배조건 확립 등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벼논에서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약충 두부의 형광성 반점에 의한 식별법 (Discrimination Method of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Stal) Nymphs by the Fluorescent Spots between Compound Eyes in Rice Paddies)

  • 조성래;이동운;추호렬;박정규;신현열;김형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61-365
    • /
    • 2003
  • 우리나라의 벼논에는 벼를 기주로 하는 여러 종류의 멸구, 즉,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들이 혼재하고 있지만 이들간의 구분은 쉽지 않다. 이들의 정확한 식별은 예찰과 방제 전략에서 필수적인 과정이다. 특히, 벼멸구는 가장 중요한 벼의 해충이기 때문에 비전문가에 있어 쉽고, 신뢰성 높은 식별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벼논에 분포하고 있는 벼멸구의 정확한 구분을 위하여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의 약충을 조사한 결과. 두 종류의 해충에 비하여 벼멸구 약충은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측, 벼멸구 약충은 겹눈 아랫부분과 촉각 사이에 흰색형광성광택을 가지고 있었지만 애멸구나 흰등멸구의 약충에는 없었다. 그리고 형광성 반점은 부화직후 가장 선명하였고, 령기가 진행될수록 약해지다가 성충이 되어서는 없어졌다. 따라서 두부의 형광성반점은 벼멸구 약충의 판별에 활용하는데 있어 혁신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쌀의 완전미 비율 증가가 식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d Rice Ratio on Rice Palatability)

  • 정남진;박정화;김기종;김제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9-32
    • /
    • 2005
  • 불완전미가 식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미외 관별로 백미 품위를 구분하고 각각의 불완전미를 완전미와 혼입하여 근적외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식미치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수확한 현미의 정상립은 $75.7\%$였으며, 불완전렵은 변색립이 $11.0\%$, 청미가 $8.0\%$, 그리고 사미가 $5.3\%$였다. 나. 정상립 현미에서 도정된 백미는 완전미가 $64.7\%$였으며, 동할미가 $25.3\%$, 심복백미가 $10\%$였으며, 변색립 현미는 정상립에서 도정된 백미외관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미는 완전미가 $36\%$, 심복백이 $64\%$였으며, 사미는 심복백미가 $25.3\%$, 유백미가 $74.7\%$였다. 다. 백미 품위에 따른 식미관련 특성 검정 결과, 동할미의 점도는 정상미와 차이가 없었으나 심복백미의 점도는 정상립 보다 약간 낮았고 유백미의 경우는 정상립의 $6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심복백미와 유백미가 정상립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라. 기계적 식미치는 불완전립 모두 정상립 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불완전미 중 유백미와 심복백미는 완전미에 $1\%$만 함유되어도 완전미 대비 약 $5\%$의 식미가 감소되었으며, $5\%$ 함유되었을 경우에는 완전미 식미에 비하여 유백미는 $20\%$, 심복백미는 $12\%$의 식미치가 감소되었다. 그러나 동할미의 경우는 $5\%$까지는 식미치에 크게 영향이 없었다. 오히려 잔디의 밀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초장의 경우 복비의 무처리시 거의 잔디의 초장이 신장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잔디의 피해지역에 복비를 처리할 경우 잔디의 빠른 생장이 이루어졌다. 신초 건물중은 복비 처리전 8월 6일에 비하여 11월 6일에 이스트밸리 LD지역의 무처리구가 $1.2\%$감소하였지만 처리구는 $50\%$정도가 증가하였다. 지산의 시험 결과도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신초와 뿌리의 비율(S/R)은 처리구의 경우 뿌리보다 신초의 건물중이 더 증가하였지만, 무처리구의 경우 뿌리와 신초의 생장율이 거의 비슷하였다. 포복경과 지하경의 건물중을 합한 R&S의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이스트밸리의 경우 복비를 처리하기 전 8월6일에 무처리구인 LD지역이 처리구인 LD지역에 비하여 $5.5\%$정도가 적었지만 복비를 처리한 후엔 오히려 처리구의 LD지역이 $48\%$로 증가하였다. 지산의 결과 역시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4. 이상의 결과들로 알 수 있는 것은 수목 근부에 생장하고 있는 잔디의 피해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골프장내 수목의 밀생 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광에 의한 피해보다는 오히려 양분과 수분의 경쟁에 의한 피해 발생 비율이 크다. 따라서 이들 잔디의 피해 지역에 복비를 처리함으로서 무처리 지역에 비하여 상당히 많은 효과를 보았기 때문에 수목 근부에서 생장하는 잔디의 집중관리 체계로 보다 효율적인 코스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고, Unitek사의 경우 압흔과 함께 pitting 이 관찰되며, Ormco Stainless Steel의 경우 불규칙한 pitting이 다

청도군이서면에 발생한 수도심고병선충의 전염경로와 온탕처리방제시험 (Studies on the appearance, distribution varietal resistance and disinfection of white tip Aphelenchoides besseyi Christie of rice in Korea)

  • 전우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0권
    • /
    • pp.51-56
    • /
    • 1971
  • 청도군이서면과 김제군죽산면에서 발생된 수도심고선충을 분리하여 그 병실과 병원선충의 형태를 조사하고 그 전염경로와 온탕처리방제에 관한 약간의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그 지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병되었던 포장에서는 매년발병된다. 즉 포장전염을 한다. 2. 발병되었던 벼 종자는 그 종자를 통해서 전염한다. 3. 관개수를 통해서 전염한다. 4. 토양중에서 선충이 생존하고 있다가 토양의 이동으로 선충이 전염된다. 5. 선충은 이삭과 뿌리에 많이 분포되어 있지만 성숙식물전체부분에 널리 분포되여 있다가 그것을 통해서 전염된다. 6. 5$0^{\circ}C$, 55$^{\circ}C$, 6$0^{\circ}C$의 온탕에서 5분간격으로 60분까지 종자처리를 하여 살선충효과와 발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던 바 5$0^{\circ}C$에서는 60분간 처리하여도 효과가 없고 55$^{\circ}C$에서는 15~20분간, 6$0^{\circ}C$에서는 10~15분간만 처리하여도 효과가 있음을 알았다.

  • PDF

고아미 2호의 수침특성 및 마쇄 시간을 달리한 흰 죽의 품질 특성 (Soaking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ite Gruel with Different Blending Time of High-Dietary Fiber Rice'Goami 2')

  • 황인경;이지현;서한석;김수희;이정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927-93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고섬유소 품종인 고아미 2호의 수침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흰죽의 제조 조건을 도출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수침시 상온($20^{\circ}C$)에서 고아미 2호와 일품벼의 수분흡수율이 수침 1 시간까지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1) 그 이후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마쇄한 쌀의 입자분석을 한 결과 고아미 2호가 일품벼에 비해 마쇄가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흰죽을 제조하여 기계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적색도(a), 황색도(b)는 고아미 2호로 제조한 흰죽이 일품벼로 제조한 흰죽에 비해 높았다. Bostwick consistometer로 측정시 고아미 2호로 제조한 흰죽이 일품벼로 제조한 흰죽에 비해 점조성이 높고 마쇄 시간을 증가할수록 점조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쇄 시간을 증가할수록 고아미 2호로 제조한 흰죽의 경우 물성특성이 증가되는 반면 일품벼로 제조한 흰죽은 물성 특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 평가 결과 고아미 2호를 20 초 마쇄할 경우 전반적인 수응도가 가장 높았으며 일품벼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고아미 2호로 취반한 경우 기능성은높으나 수응도가 낮은 경향이 있는데 위와 같은 죽의 형태로 제공한다면 장기적인 섭취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계 및 통일계 다수확 쌀 품종의 취반 특성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High-yielding Japonica and Tongil Type Rice)

  • 박선진;박경환;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35-743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s and qualities of cooked white rice of the high yielding, Japonica type, specifically Druryechanbyeo and Boramchanbyeo, and of the Tongil-type, specifically Hanarumbyeo and Andabyeo. The changes of water absorption rate of rice grains, their textural properties and a sensory evaluation of the cooked rice s were analyzed. All varieties were short grain. The length and width of Tongil type rice grains larger than those of Japonica type. The water absorption of white rice grains increased rapidly until 1 hr when soaking and after that increased slightly. The water absorption of Druryechan grai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oramchan.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Japonica type cooked rices had a higher value for overall quality than the Tongil type cooked rices. With regard to the textural properties of the cooked rices, the hardness of Boramchan and Hanarum varieties showed higher than that of Druyechan and Anda varieties.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varieties (p<0.05).

생볏짚의 연화처리와 피복스트레치 필름의 색깔에 따른 랩사일리지의 품질분석 (Quality Analysis of Fresh Rice Straw Wrapping Silage by Softening Treatment of Fresh Rice Straw and Colors Effects of Wrapping Stretch Film)

  • 이성현;김종근;최광재;유병기;오권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4호
    • /
    • pp.335-340
    • /
    • 2002
  • Recently, in Korea, round bale wrapping silage made by fresh rice straw are partially utilized. The colors of stretch film using far wrapping the fresh rice straw round bale are white, green and black. The light transmittance of green and white color stretch film was not founded the difference. However, the light transmittance of black color stretch film was largely difference of two stretch fil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qualities of fresh rice straw wrapping silage by softening processing of fresh rice straw and colors effects of wrapping stretch film. The analyzed factors were the light transmittance of stretch film, variation of the temperature in fresh rice straw round bale and qualities of the silage in crude protein, ADF, NDF, organic acid, etc. It was difficult to find in this study the colors effects of stretch film on silage qualities by the silage wrapping. But, when make fresh rice straw wrapping silage, wrapping silage fermentation effect goes well more if handle softening the fresh rice str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