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clover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6초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에서 미량요소(Fe, Mn, Cu, Zn, Mo,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총 함량, 상대 함량, 탈취량 및 상호비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Application of Micronutrients on these Total and Relative Contents, Uptake Amounts, and Mutual Ratios in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 Jung, Yeun-Kyu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3-104
    • /
    • 2004
  • Orchardu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 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양, 양분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양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T_1$; 대조구, $T_2$; Fe, $T_3$: Fe+Mn, $T_4$; Fe+Mn+Cu, $T_5$ ; Fe+Mn+Cu+Zn, $T_6$ : Fe+Mn+Cu+Zn+Mo 및 $T_7$ ; Fe + Mn +Cu+Zn+Mo + B로 하였다. 본 V보에서는 조합시비가 목초 중 미량요소의 충 함량, 상대함량, 탈취량 및 상호비율의 변화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Fe과 Mn-상대함량(총 미량요소 함량=100% 대비)은 이들간의 길항적인 흡수생리와 초종간 he-흡수경합의 차이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orcharduass는 단파에 비해서 혼파재배에서 Mn-상대함량이 더 높았고 B와 Fe-상대함량은 더 낮았으나 white clover는 이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T_6$ 6/ 처리에서는 일반적으로 Fe-상대함량의 감소를 보였다. 에서 orchardgrass는 B와 Mn-상대함량의 증가와 Cu와 Zn-상대함량의 감소를 보였으나 white clover는 Mo-상대함량의 감소만 보였다. 2) 미량요소의 탈취량은 일반적으로 수양의 증감에 따른 특성과는 차이를 보였다. 각 미량요소의 탈취량과 미량요소 간 상대함량(당량기준)은 초종, 단파/혼파재배, 추비 및 일부 길항작용의 특성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총 미량요소의 탈취량은 일반적으로 증가되는 조합시비 처리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Mn을 시비한 조합시비에서는 수양의 면화보다 Fe-탈취량이 상대적으로 더 낮았고 Mn-탈취량은 더 높았다. $T_7$ 처리로 Mn과 B-탈취량은 증가하였고 Mo-탈취량은 감소되었다. 3) Fe/Mn, Fe/Cu와 Mn/Cu 비율은 길항적인 Fe과 Mn 간의 흡수경합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았다. $T_6$ 처리에 의해서 Fe/Mo 비율은 크게 낮아졌고 이 비율은 $T_7$ 처리로 Mo 함량의 감소와 더불어 다소 높아졌다. B/Mo 비율은 orchardgrass보다 특히 white clover에서 높았고 $T_6$ 에서의 생육불량/황화현상이 $T_7$ 처리에서 양호해진 것은 높아진 B/Mo 비율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였다.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에서 미량요소(Fe, Mn, Cu, Zn, Mo,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여러 특성에 미치는 영향 II. 초종별 건물수량 및 식생 경합지수의 변화 (Effects of Combined Micronutrient(Fe, Mn, Cu, Zn, Mo and B) Application on Forage Traits in Pure and Mixed Swards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II. Changes in the yields and concurrence index of forage plants)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7-246
    • /
    • 2003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 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량료소 양분을 동일 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T$_1$; 대조구, T$_2$; Fe, T$_3$; Fe+Mn, T$_4$; Fe+Mn+Cu, T$_{5}$; Fe+Mn+Cu+Zn, T$_{6}$;Fe+Mn+Cu+Zn+Mo 및 T$_{7}$; Fe+Mn+Cu+Zn+Mo+B로 하였다. 본 II집에서는 조합시비가 목초의 건물수량 및 식생구 성비율/경합지수 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조합시비가 수량에 미치는 효과는 초정, 재배방법(단파/혼파), 추파(특히 N) 및 예취 회수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조합시비의 효과가 orchardgrass보다 white clover(특히 혼파재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두 목초 공히 T$_{7}$ 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붕소(B)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조정자 역할을 한 것으로 보였다. 2. 단파재배에서 두 목초의 수량은 T$_{7}$과 T$_2$에서 높았으며 그리고 T$_3$와 T$_{6}$ 에서 낮았다. Fe/Mn/Cu/Zn, Fe/Mo, Mo/B 및 ∑양이온/∑음이온간 비율이 상대적으로 조화된 T$_{7}$에서 수량이 가장 양호하였다. 그리고 Fe${\times}$Mn${\times}$Mo${\times}$B 간다종 교호작용이 있으며 이 때 B의 조정자 역할이 큰 것으로 보였다. white clover에 대한 이러한 효과는 추파 시보다 무추파(특히 N) 시에 더 크게 나타났다. 3. 혼파재배에서는 조화된 조합시비는 white clover의 식생구성비율과 수량제고에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 이였다. 반면에 orchardgrass는 반대적인 경향을 보였고(특히 무추비 시), 단지 T$_{7}$에서만 대조구(T$_1$)와 비슷한 수량을 보였다.다.한 수량을 보였다.

Acetosyringone을 이용한 효율적인 White Clover의 형질전환 (Efficient Transformation of Trifolium repens L. Using Acetosyringone)

  • 권태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7-113
    • /
    • 1997
  • 화이트 클로버의 배축, 잎, 미숙배 유래의 embryogenic callus에 식물 binary vector인 pBI121을 포함하는 A. tumefaciens LBA4404를 접종하여 효과적으로 화이트 클로버를 형질전환시켰다. A. tumefaciens를 이용한 화이트 클로버의 형질전환은 acetosyringone을 사용함으로써 품종간의 차이가 없이 배발생 캘러스에서 16-19%를 보였다. 재분화 식물체의 PCR 및 Northern 분서글 통하여 형질 전환된 화이트 클로버의 염색체내에 GUS 유전자가 안정되게 도입되었고 식물체내에서 mRAN로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GUS 유전자가 식물체내에서 단백질로 발현됨을 확인하기 위하여 형질 전환되어진 화이트 클로버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고 분광분석법에 의하여 GUS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시료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유의적인 GUS 활성을 확인하였다.

  • PDF

생장억제제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에 따른 클로버의 생육억제 효과 (Effect of Growth Restraint of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as Affected by Prohexadione-calcium Application)

  • 최의주;최봉수;우선희;이철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9-143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잔디로 조성된 잔디밭에서 예초 직후에 prohexadione-calcium을 엽면 처리하여 잔디와 경합하는 클로버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구명하기위하여 수행되었다. 클로버의 엽병장과 엽면적은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로 7주에도 무처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클로버의 생엽중도 무처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색도는 무처리에 비하여 prohexadione-calcium 처리구가 높아졌고,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엽색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잔디밭에서 클로버를 방임할 때보다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는 클로버의 피복율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었다.

표고별 파종시기가 서로다른 두과 - 화본과 혼파초지에서 두과목초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Season on the Growth and Dry Matter Yield Legumes in Different Legume-Grass Mixtures according to Altitude)

  • 정의수;김현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3-160
    • /
    • 1992
  • 본 시험은 고령지 두과목초의 적응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표고가 다른 3개지역(600,800,1000m a.s.l)에서 주구를 파종시기(추파.추파), 세구를 혼파조명(알팔파-화본과, 레드크로바-화본과, 화이트크로바-화본과)으로 두고 분할구 배치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1.600m에서 두과목초의 적응성을 보면 알팔파, 레드클러버 및 화이트클로버 공히 추파를 했을 때 연차간 악화없이 약 30%를 유지하여 적응성이 매우 양호하였다.2. 800m에서는 화치트클로버를 춘파하므로써 연차간에 심한 감소없이 최종 예취시 약 14.0%를 점유하고 있었으며 또한 10a당 건물수량이 가장 많았다. 3. 1000m에서도 800m와 비슷한 경향으로 화이트클로버를 춘파했을 경우 어느정도 적응이 가능하였다. 4. 표고별 두과목초의 비솔 및 수량이 표고가 증가 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알팔파는 800m 이상에서는 생육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 PDF

Bacillus subtilis가 Corn ( Zea mays L. ) , White Clover ( Trifolium repens L. ) 및 Tall Fescue ( Festuca arundinacea Schreb. ) 유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ets of Bacillus subtilis on Growth of Seedings in Corn ( Zea mays L. ) , White Clover ( Trifolium repens L. ) and Tall Fescue ( Festuca arundinacea Schreb. ))

  • Park, Ki-Chun;Chang Youn;Kim, Dong-Am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5-204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 Bacillus subtilis, on the growth of forage seedlings in repeated cultivation soils and unrepeated cultivation soils. The field experiment was wnducted in pots in a vinyl house using repeated and unrepeated cultivation soils. Forage types were 'Suwon 19' wrn(Zea mqs L.), 'Califbmia' white clover(Tr~oIium repens L.) and 'Fawn' tall fescue (Festuca arundianacea Schreb.). Samples of white clover and tall fescue were taken h m each pot at 36 days after seeding. Samples of wm were examined at 50 days after seeding. The most active antagonistic bacterium was isolated h m forage rhizosphere soil, and selected by reference to it's antagonistic ability on the growth of pathogenic fungi, Rhizoctonia solmi and Fusarium oxyspomm, and it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This strain strongly suppressed the growth of fungal pathogens among isolated rhizobacteria. The dry weight of forage shoots and roots cultivated in unrepeated cultivation soils was higher than that cultivated in repeated cultivation soils. The dry weight of forage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inocula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ubtilis, in both repeated cultivation soils and unrepeated cultivation soils. In conclusion, the growth of forage was more affected by the inocula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um in unrepeated cultivation soils than that in repeated cultivation soils, and bacterization of forage with B. subtilis resulted in an inrreased yield.

  • PDF

혼파방목지에서 Tall Fescue와 두과목초 조합에 따른 가축생산성과 질병 비교 연구 I. 조성후 1차년도의 초지에서 방목가축의 증체량 , 채식량 및 사료효율 (Study on Animal Production and Disease Affected by Different Varieties of Tall Feacue and White Clover in Mixed Grazing Pasture I. Liveweight gain, herbage intake and forage conversation efficiency of grazing animal in pasture 1 year after seeding)

  • 정창조;김문철;김규일;장덕지;김중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7-132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good livestock production in comparison with 3 different pasture mixture (Control : TI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nnial ryegrass + Fawn tall fescue + Regal white clover, T2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nnial ryegrass + Roa tall fescue + Regal white clover, T3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nnial ryegrass + Roa tall fescue + Tahora white clover) by grazing experiment used 45 dairy calves (about lOOkg liveweight)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to October, 1994 at the Isidole farm, Cheju. Daily liveweight gains of calves graze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ere 331${\pm}$29, 352${\pm}$4, 356${\pm}$18g in treatment 1, 2 and 3 respectively, but did not ge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period investigated, the period which was highest in daily liveweight gain was early grazing season b m May to June while the period shown to be lowest in daily liveweight gain was between late July and late August. Hehage intake rate did not ge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with results shown as 67${\pm}$1.2, 62${\pm}$5.1, 60${\pm}$9.6% in treatment 1, 2 and 3 respectively. And efficiency of conversation into animal product was high in treatment 2. It is considered that good results were not obtained in this study because tall fescue and white clover, important species in this trial did not cover the pasture well with slow establishment in 1st year after seeding.

  • PDF

켄터키블루그래스와 토끼풀 간 혼합파종 비율에 따른 초기 생육 특성 (Characteristics of Initial Growth on Kentucky bluegrass (Poa patensis) and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by Mixed Sowing Rates)

  • 주진희;박선영;이선영;윤용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22
    • /
    • 2022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mixed sowing rates with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and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by evaluating initial growth. Six different mixed sowing rates (CT, Control Trifolium repens; CP, Control Poa pratensis; T1P3, Trifolium repens 1 : Poa pratensis 3; T1P2, Trifolium repens 1 : Poa pratensis 2; T1P1, Trifolium repens 1 : Poa pratensis 1; T2P1, Trifolium repens 2 : Poa pratensis 1; T3P1, Trifolium repens 3 : Poa pratensis 1) with three repetitions were implemented in greenhouse experiment plastic pots (50.5 length × 35.0 width × 8.5 cm height).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root length,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measured after a week from the germination for three months. Initial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significantly increased as mixed sowing rates with increasing, while that of white clover kept relatively decreasing than that in Control. Initial growth strongly affected sowing mixed rates by Kentucky bluegrass and not by white clover in this experiment, indicating that grasses played a dominant role during initial growth period. However, seeding rates with white clover will be dependent on the use of a turf and the desired green cover. There remains a need to further study of the mechanisms and dynamics of legume and grass competition to underpin sustainable management practices.

콩과식물의 잎과 줄기의 Esterase Isozyme Banding Pattern에 관한 연구 (Esterase Isozyme Banding Pattern in Leaf and Stem of Legume Plants)

  • 이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99-202
    • /
    • 1991
  • Red clover, ladino clover, white clover, alfalfa, 차풀 그리고 갈키나물등 6종의 콩과식물에서 잎과 줄기의 Esterase Isozyme를 추출하여 starch gel 전기영동법으로 분리한 후 염색하여 종간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공시된 식물의 Esterase Isozyme의 band수, 염색강도, 이동속도는 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동일종에 있어서는 alfalfa를 제외하고는 잎과 줄기사이에 band의 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차풀과 갈키나물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Fig. 2). Esterase Isozyme의 염색강도와 이동속도는 Est 1 이 가장 강하고 빨랐다.

  • PDF

Fe, Mn, Cu,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중 이들의 상대 함량, 탈취량 및 상호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ystematic Variation Application of Fe, Mn, Cu, and Zn on These Relative Contents, Uptake Amounts, and Mutual Ratios in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1-292
    • /
    • 2004
  • 미량요소 Fe, Mn, Cu 및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Fe/Cu(시험군-1), Mn/Zn(시험군-2) 및 Fe+Cu/Mn+Zn(시험군-3) 시험에서는 각 시험군 처리별 총 시비량을 systematic variation 방법으로 0/100, 25/75, 50/50, 75/25 및 $100/0\%$ 비율로 시비처리 하였고, Fe/Mn/Cu/Zn(시험군-4) 시험에서는 각 주성분을 $70\%$, 기타 성분의 처리를 각각 $10\%$(합계 $100\%$) 비율로 시비처리 하였다. 1. 처러별 미량요소의 상대 함량, 탈취량 및 상호비율은 두 초종간 차이를 보였다. Fe 처리별 Fe-함량, 상대 함량 및 탈취량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경미하였고, 반면에 Mn과 Cu의 경우는 이들의 처리에 따라서 다소 일관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Mn 시비에 따른 높은 U-상대 함량에서는 Fe, Cu 및 Zn은 함량의 면화가 없이 상대 함량이 낮아졌다. 2. 미량요소 탈취량의 증가는 수량 증가와는 다소 다른 특성을 보였고, 처리별 수량 차이가 없이 탈취향의 증가만 보이기도 하였다. Mn 시비에 따른 Mn-탈취량의 증가는 수량의 증가율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각 미량요소 탈취량의 증가는 Mn과 Cu 처리에서는 뚜렷하였으나, Fe과 Zn의 처리에서는 경미한 차이를 보였다. 3. Fe과 Zn보다 Mn과 Cu(특히 Mn)의 처리에 따라서 여러 상호 비율들이 큰 차이를 보였다. Fe/Cu시험에서 처리별 Fe/Cu 비율은 orchardgrass는 6.0~10.5, white clover는 $10.2\~16.4$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Fe+Cu/Mn+Zn 시험에서 처리별 Mn/Cu, Mn/Zn 및 Fe/Mn 상호 비율이 상대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Fe/Mn 비율의 불균형이 white clover의 불량한 생육특성과 연관성이 있고, 이 조건에서도 다른 양이온 미량요소의 시비 비율 또는 상호 비율에 따라서 다소 양호해졌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