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noodle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3초

국산밀의 제면특성 (Noodle-Mak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 박남규;송정춘;김기종;이춘기;정헌상;정만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7-172
    • /
    • 1999
  • 우리밀의 소비촉진과 제면적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육성 11품종 (조광밀, 그루밀, 은파밀, 탑동밀, 우리밀, 올그루밀, 알찬밀, 고분밀, 금강밀, 서둔밀, 수원 265호)과 수입밀 2품종(DNS(Dark Northern Spring Wheat), ASW(Australian Standard White))에 대한 제면 가공특성을 분석하였다. 삶은 건면의 조직감에서 탄력성은 국산밀이 0.59-0.79 범위이었으며, 수입밀은 0.55-0.57로 낮았다 껌성은 알찬밀, 응집성은 금강밀, 부착성은 올그루밀, 견고성은 그루밀, 씹힘성은 조광밀, 인장력은 탑동밀, 파쇄력은 고분밀이 가장 높았으며, 생면의 조직감중 응집성은 은파밀, 고분밀, 수원 265호가 높았고 탄력성, 껄성, 부착성, 견고성, 씸힘성 등에서 고분밀이 높았다. 인장력은 알찬밀과 수원 265호가 컸다. 삶은 생면의 조직감에서는 탄력성은 탐동밀, 부착성은 그루밀, 껌성, 응집성, 견고성,씹힘성에서는 금강밀이 컸으며, 인장력은 수원 265호가 높았다. 삶은 건면의 관능검사 결과 색, 조직감 및 전체적 품질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전체적 품질은 ASW 가 가장 좋았고 그다음으로 탑동밀, 알찬밀, 금강밀 순이었다 삶은 생면도 고도의 유의성이 있였으며(p<0.01), 전체적 품질은 탑동밀이 가장 좋았고 그 다음으로 은파밀, 금강밀, 우리밀 순이었다.

  • PDF

복령분말이 생국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ria cocos Powder on Wet Noodle Qualities)

  • 김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7호
    • /
    • pp.539-544
    • /
    • 1998
  • 복령분말을 밀가루에 0, 3, 5, 7% 첨가하여 제조한 반죽의 리올로지와 이들로부터 제조한 생국수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복령분말은 밀가루에 비해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이 현저히 낮았다. 복령분말의 입자분포도는 $0.04{\sim}240\;{\mu}m$였으며 밀가루보다 큰 입자분포를 나타내었다. 아밀로그래프상의 호화개시온도는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최고 및 최종점도는 증가하였다. 패리노그래프상의 수분흡수율 및 반죽의 안정도는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L값은 복합분과 반죽에서 복령분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생국수에서는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이 증가하였으나, a값과 b값은 감소하였다 생국수의 조리후 중량 및 부피는 복령분말의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국물의 탁도는 증가하였다. 조리한 국수의 조직감 측정 결과, 견고성, 응집성, 씹힘성, 탄력성은 복령분말 3%의 첨가에 의해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조리한 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복령분말 $5{\sim}7%$ 첨가국수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 무첨가 국수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 PDF

폴리만뉴로닉산 첨가가 생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olymannuronic Acid on the Quality of Wet Noodles)

  • 김동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1-266
    • /
    • 2006
  • 본 연구는 갈조류의 다당류에서 분리 정제한 폴리만뉴로닉산(폴리만)을 밀가루에 첨가하여 생면 치조이용 가능성과 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폴리만의 첨가량을 달리한 생면과 조리면은 제조후 색, 조직감, 조리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폴리만 첨가는 면의 조리 후 중량과 부피 및 수분 흡수력에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폴리만 국수의 삶은 국물 탁도는 폴리만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만이 첨가된 생면과 조리면의 색도는 모두 폴리만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L값, a값 및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조직감은 폴리만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고, 대조구에 비해 폴리만 첨가구의 경도는 감소된 반면, 탄력성과 부착성은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대조구와 폴리만 2%와 4% 첨가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 폴리만 첨가면이 다른 시료에 비해 맛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삼채(Allium hookeri)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with Allium hookeri Powder)

  • 천세영;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4-90
    • /
    • 2016
  • 기능성 소재로서 삼채분말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삼채분말 0, 2, 6, 10%를 첨가한 생면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수분결합능력, 용해도 및 팽윤력은 모두 삼채분말이 밀가루보다 높았다. 밀가루와 삼채분말의 용해도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밀가루는 온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팽윤력은 삼채분말과 밀가루 모두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밀가루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리 특성 평가에서 생면의 중량, 조리된 생면의 중량, 수분흡수율, 부피, 탁도는 삼채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색도의 L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a값은 증가하였고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결과 모든 항목에서 삼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경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삼채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생면의 기호도 평가 결과 삼채분말을 6% 이상 첨가할 시 관능적인 기호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고 2%가 최적 첨가량인 것으로 판단된다.

동결건조 매생이 분말 첨가량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Freeze-dried Maesangi Powder)

  • 박진희;고승혜;유승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31-839
    • /
    • 2010
  • The results of wet noodles added with 0, 1, 3, 5, and 7% freeze-dried maesangi powder demonstrate that the addition of maesangi powder up to 5% was desirable formation of noodles. The moisture contents of wet noodle 35.48~36.42%. As the added amount of maesangi powder increased, weight, volume, water absorption, and turbidity the wet noodle soup after cooking increased. Measurement of color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cooking the wet noodles found that as the added amount of maesangi powder increased,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Measurement of texture after boiling found that,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tend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added maesangi powder increased wherea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ifferent samples.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3%-added group was the best for color, flavor, and taste while the control groups had the best texture. For overall acceptability, the 3%-added group showed found the highest preference level. Measurement of the changes in total viable cells during storage at $5^{\circ}C$ for 18 days found that 6-days was the optimal storage period for the noodles from the control groups and added groups. As the storing period increased, the maesangi powder added groups showed slower propagation speed for viable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울금가루를 첨가한 가락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Garakguksu) with Curcuma longa L. Powder)

  • 송승헌;정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9-205
    • /
    • 2009
  • 울금가루를 새로운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울금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여 국수를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밀가루와 울금가루 혼합분의 물결합력과 breakdown은 울금가루 8%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setback은 울금가루 8%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울금가루 첨가 국수의 조리 특성에서 무게, 부피 및 인장강도는 울금가루 8%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고,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탁도는 울금가루 8%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울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국수의 조리 전과 조리 후의 색도 및 물성의 변화에서 L값은 조리 전 생국수가 조리된 국수보다 높았으나, 색도의 a값 및 b값과 물성에서는 조리 전 생국수보다 조리된 국수에서 높았다. 색도의 L값과 물성의 탄력성 및응집성은 울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색도의 a값 및 b값과 물성의 경도, 점착성 및 씹힘성은 울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울금가루 첨가량에 따른 관능검사에서 울금가루 4% 첨가구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울금가루 2% 및 8%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구약감자 분말의 첨가가 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Noodle by the Addition of Konjac Powder)

  • 최희은;박화영;조영인;김나율;이난희;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2-28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oodle-making characteristics of a noodle dough with konjac powder added. The water-bin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amounts of the konjac powder. When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noodles were measured after cooking,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konjac powder groups. Turbid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hromaticity, in the case of raw noodle lightness (L),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redness (a) and yellowness (b) significantly increased. Cooked noodles also showed the same pattern of results, however, as a whole, the results were lower when compared to wet noodles.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hardness and chew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konjac powder. Cohesiveness was determined to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noodle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a sensory evaluation of the cooked nood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loss, taste, hardness, springiness or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konjac powder groups. This study indicates the that addition of 1.5% konjac powder to noodle dough may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preference of noodles.

발아콩분말 첨가가 반죽 및 면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rminated Whole Soy flour on the Properties of Dough and Noodle)

  • 정해정;최민희;장학길;김주숙;김우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919-92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12시간 발아시킨 신팔달 2호 콩분말을 첨가하였을 때의 반죽특성과 제면특성을 살펴보았다. 발아콩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호화특성은 발아콩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호화점도가 감소하였으며 $3\%$ 소금을 첨가한 반죽에서는 발아콩분말을 $8\%$ 첨가했을때까지 점도가 높았으나 그 이후에는 소금 무첨가군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Mixograph로 측정한 반죽의 점탄성도 발아콩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3\%$ 소금을 첨가한 반죽이 소금 무첨가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면의 신장도를 측정한 결과 발아콩 분말 $8\%$ 첨가군이 치고의 신장도를 나타내었으며 조리면의 무게과 부피증가율은 발아콩분말 $4\%$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조리액의 탁도는 발아콩분말 $16\%$ 첨가군이 0.57로 측정되어 고형분의 용출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면 제조시 발아콩분말의 영향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값은 (-)값이, b값은 (+)값이 증가하여 greenish yellow의 색상을 나타내었다. 조리면의 색도는 생면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같은 경향을 보였다. 발아콩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생면의 hardness와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및 brittleness는 증가하였으나 조리면에서는 hardness, gumminess 및 brittleness가 감소하였다. 조리면의 관능검사 결과 발아콩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고소한 맛과 냄새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ardness와 chewiness는 첨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탸났다.

승검초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et noodle added with seunggumcho (Angelica gigas N Leaf) powder)

  • 황현주;박효남;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0-12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승검초를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각각 밀가루 중량 대비 1, 2, 3, 4% 첨가한 생면을 제조하였다. 수분함량, pH, 색도, 총 폴리페놀함량, DPPH radical 소거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의 다각적인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승검초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조리 후 중량, 부피, 수분흡수율, 탁도는 승검초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변화하였다. 조리면의 경도와 탄력성은 승검초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40.53-59.27 mg GA/100 g으로 나타났으며, DPPH 라디칼 저해 활성은 승검초분말 무첨가구에서 10.85%,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15.51, 27.64, 42.48과 44.84%로 증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생면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도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여 혈당 상승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리면의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색(color), 향(flavor)과 맛(taste), 쫄깃한 정도(chewiness)를 조사하여 승검초분말 2% 첨가군이 색, 향, 맛, 쫄깃한 정도,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기호도가 높은 첨가군의 최적 배합비율을 제시하고 건강기능성을 포함한 식품으로서 승검초 첨가 생면의 개발 가능성과 승검초를 이용한 다양한 건강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백강균 자실체의 첨가가 제면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ynnemata of Beauveria bassiana on the Properties of Noodle)

  • 배송환;이찬;이석원;윤철식;정수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8-164
    • /
    • 2003
  • 백강균 자실체를 첨가한 복합분의 제면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면의 색도, 조리특성, 기계적인 조직감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실체-건면과 조리면의 L값은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각각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자실체-건면과 조리면의 a값과 b값은 대조구에 비해 각각 증가하였다. 자실체를 첨가한 조리면의 중량, 부피 및 수분흡수율은 자실체의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자실체를 첨가한 조리면의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자실체-건면의 파쇄력은 자실체의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모두 대조구와 같은 값을 나타내었다. 자실체의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자실체-조리면의 견고성과 껌성은 각각 대조구와 같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실체 첨가농도가 1%일때 자실체-조리면의 탄성, 씹힘성, 응집성 및 부착성은 대조구와 같았으나, 자실체 첨가농도가 3% 및 5% 일때 자실체-조리면의 탄성, 씹힘성, 응집성 및 부착성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자실체 분말을 1%와 3%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리면의 색, 맛, 향,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