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4초

한경유역에서의 건기와 우기의 변이기간 분석 (An Analysis of the Transition Time between Dry and Wet Period in the Han River Basin)

  • 이재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375-382
    • /
    • 2000
  • 대유역의 지표면 수문현상은 추계학적 변동에 의해 야기되는 안정된 상태의 변이와 함께 몇 개의 발생빈도가 높은 안정된 상태의 영향을 받기가 쉬운데 그 이유는 지표면과 대기 상호관계의 밀접한 조합과도 관계가 있다. 따라서 각 안정상태에서의 체류기간 즉, 가뭄기나 홍수기의 지속기간이 중요한 연구 과제라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에 대하여 안정상태의 평균 변이기간을 분석하였다. 비선형 물수지모형을 한강 유역에 대하여 과거의 자료를 바탕으로 검정하였고 모형을 통한 물리과정의 추계학적 표현과 산정된 모형변수들로부터 안정상태사이의 평균 변이기간이 계산되었다. 본 연구는 안정상태 사이의 변이기간 혹은 거주기간, 즉 시스템이 주어진 안정상태에 머무는 기간(가뭄이나 홍수상태의 지속기간)의 예측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PDF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I): 해안선변화 분석 (Estimation of Historical Shorelines on a Coastal Reclaimed Land (II) : Shoreline Change Analysis)

  • 김백운;이창경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80-390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동 해안에 위치한 매립지(안정국가산업단지, 명지주거단지 및 녹산국가산업단지)에서 해안빈지 면적 산출을 위하여 항공사진으로부터 매립이전의 해안선을 조사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매립 이전 해안선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해안선변화자료를 구축하였다. 2차적인 지상기준점으로 오래된 항공사진의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였다. 해안선은 약최고고조위(AHHWL)에 해당하는 해안선과 wet/dry 흔적에 의한 고조선(HWL)을 도화하였다. 인공적인 해안에서 두 종류의 해안선은 잘 일치하였다. 항공사진 축척, 품질, 지상기준점 선정, 해안선 인식 등 세부적인 차이로 인하여 해안선변화자료는 다양한 오차수준으로 구성되었다. 정성적인 해안선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수준에서 매립 이전 해안선의 적합성은 만족할 만하였다. 본 연구지역에서 매립 이전의 해안선 변화는 대부분이 연안개발로 발생하였다. 항공사진과 연계하여 해안선의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해안선 변화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였다.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의 비료화(肥料化) (Utilization of Industrial Wastes as Fertilizer)

  • 신제성;한기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
    • /
    • pp.68-79
    • /
    • 1984
  • An increased population and rapidly expanding industrial development have led to enormous amounts of various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s. The proper disposal of ever-increasing wastes is a growing global problem. Land treatment is one of the rational approaches that are environmentally safe and economically practical. It has long been practised in many sites. Recycling of industrial wastes on agricultural land can provide better possible means for maintaining environmental quality and utilizing waste-resources. Even though industrial wastes are beneficial as soil amendment and fertilizer, they have some limitation on land application because of wide variability as well as physicochemical problem in their composition. A direct application of solid and liquid wastes on land is being practised in Korea and some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he direct application of fermentation waste on rice resulted in a 6 percent yield increase. Another organic residue from glutamic acid fermentation is widely used not only as a direct application as a liquid fertilizer but also for a raw material of organic compound fertilizer. These wastes are much promising as sources of plant nutrients, since they have large amounts of nutrients, especially nitrogen with few toxic metals. On the other hand, fertilizers developed from inorganic industrial wastes include calcium silicate, calcium sulfate and ammonium sulfate. The calcium silicate fertilizer simply produced from slag, by-product of iron and steel manufacturing plant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 of the conversion of wastes to fertilizer and slag production capacity totals to over three million MT/year. About 200,000 MT of calcium silicate fertilizer is currently applied in the paddy rice every year. Calcium sulfate, a waste from the wet phosphoric acid process is to some extent used as a filler of compound fertilizers but quite large quantites are directly applied for the reclamation of tidal flat.

  • PDF

The Study on Soil Classification in Sri Lanka

  • Hyun, Byung-Keun;Mapa, R.B.;Sonn, Yeon-Kyu;Cho, Hyun-Jun;Shin, Kooksik;Choi, Jung-won;Jung, Seog-Jae;Jang, Byung-Ch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3-162
    • /
    • 2015
  • Land information is important for the international agricultural compan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griculture and soil information in Sri Lanka. This study is the results from investigation of soil properties and agricultural properties determined by the Soil Taxonomy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soils in Sri Lanka. The order of the main agricultural imports in Sri Lanka was wheat > refined Sugar > dry Onion > Rice > Lentils. The climate of Sri Lanka is divided into three climatic zones. There are a wet zone, an intermediate zone, and a dry zone. Rainfall of the wet zone was $3,000-5,000mm\;year^{-1}$. The rainfall of the dry zone was less than $1,000m^{-1}$. The intermediate zone was in the middle area. Soil series of Sri Lanka were 109 in total. Detailed information of soil series was: 6 of soil Orders, 15 of Suborders, 39 of Great groups, and 56 of Subgroups. Soil texture of topsoil was much more coarse, but subsoil was gravelly coarse soil. Soil of Sri Lanka was classified as a Soil Order. The orders were Entisols > Alfisols > Ultisols > Inceptisols > Histosols > Vertisols.

미얀마 건조지 토지피복 변화와 식생온도조건지수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Land Cover Change and Vegetation Temperature Condition Index in Central Dry Zone of Myanmar)

  • 최솔이;이우균;;강호덕;김용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2-9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 내 Mandalay, Magway 지역에 대해 Landsat 4-5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 변화와 식생온도조건지수(Vegetation Temperature Condition Index; VTCI)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미얀마 토지피복 변화와 건조 정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지역에서 산림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주거지와 농경지의 면적은 증가하였다. VTCI 분석을 수행한 결과, (a)지역에서는 매우 건조한 지역의 면적이 점차 감소하고, 건조한 지역 및 보통, 습윤한 지역의 면적이 증가하여 건조의 정도가 다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지역 또한 매우 건조한 지역의 면적이 증가하여 건조 정도가 심각해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VTCI와 토지피복 변화의 관계 분석결과는 두 지역의 매우 건조한 지역에서 산림 및 주거지의 농경지로의 변화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변화된 지역의 VTCI 평균이 감소하여 토지피복의 변화와 건조 정도의 변화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으며, 건조지역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시 지역에서 토지 피복에 따른 열 변이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rmal Variations with the Different Land Covers in an Urban Area)

  • 박성애;공학양;김승현;박성민;신영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1호
    • /
    • pp.46-53
    • /
    • 2016
  • 본 연구는 수원시 도심에 위치한 도시공원인 효원공원을 대상으로 여름철 대기온도 저감효과를 확인하고, 공원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피복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열 환경을 실측하고 분석하였다. 도시공원의 여름철 대기온도저감효과는 도심주거지 (매탄동) 대비 평균 4.4-4.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p< 0.001), 수원시의 외곽주거지 (상광교동) 보다는 약 0.8% 낮은 수준이었다. 도시공원 내 피복유형 (보도 블럭, 잔디 식재지, 소나무-잔디 식재지, 수목 차광지 및 혼합림 조경지)에 따른 열환경은 자연소재의 유형일수록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여름일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일최저기온 및 열대야일수는 피복유형에 따른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오후시간대 (13:00-15:00)에 혼합림 조경지, 수목 차광지, 소나무-잔디 식재지의 불쾌지수 (DI), 습구흑구온도 (WBGT) 및 열지수 (HI)의 평균값이 보도 블록과 잔디 식재지보다 낮아서 자연소재의 피복 유형의 열쾌적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지수에 대한 등급은 모든 피복 유형에서 '가장 높음' 또는 '주의' 단계로 동일하였다. 한편 오전 (06:00-08:00)에는 토지 피복유형별 열쾌적성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도시에서 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초지, 숲 및 개방 지역의 토지 피복 유형을 증가하여야 한다.

유한요소 폭풍해일 모형을 이용한 직립안벽에 대한 범람모의 (Inundation Simulation on a Vertical Dock Using Finite Element Storm Surge Model)

  • 서승원;이화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235-246
    • /
    • 2012
  • 연안방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생성의 일환으로 태풍에 의한 해일 범람모의를 수행하였다. 통상적인 침수-노출 처리가 불가한 직립안벽을 갖는 항만역의 특징이 반영되도록 가상의 내부제방 개념을 도입하여 해석하였다. 목포항에 대한 실제해역 적용에 앞서 단순해역에서 다수의 적용성 평가를 통해 내부제방의 폭은 1 m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해일범람으로 인한 침수면적과 침수심 산정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육역의 침수-노출 처리기법에서의 최소침수심은 격자에 의존적이나 10 m 내외의 유한요소 상세격자에서는 0.01 m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태풍경로에 준거한 100년 빈도급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을 가지며 비대칭 경도풍과 파랑효과가 고려된 가상태풍의 내습에 따른 목포해역의 침수예상역이 모의되었다. 침수면적은 기존 연구결과와 유사성을 나타내지만 항만권역 일부에서 확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GIS를 이용한 도심지 Nonpoint Source 오염 물질의 평가연구 (Urban Nonpoint Source Pollution Assessment Using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 김계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39-53
    • /
    • 1993
  • 지리 정보시스템(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하여 도심지 Non Pount Source오염 물질의 양이 오염원 종류별로 확인되고 적절하한 오염감소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었다. 경험에 의한 공해물질 예측모델을 운용하기 위한 모든 입력 자료들이 도심지의 거리 구획별(Street block)별로 제공되어 각 거리 구획별 오염량이 계산되었다. 계산된 오염량은 각 우수 배출구별로 합산되어 오염량이 많은 지역이 판명되었다. 또한 오염량을 줄이기 위하여 인공호수를 만들기 위한 적지분석이 수행되었으며, 그에 따른 비용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지형정보시스템의 도심지 공해연구에의 기여도를 입증시켜 주었다.

  • PDF

EGS Potential Protocol에 따른 우리나라 지열발전 잠재량 산정 (Assessment of Geothermal Power Generation Potential According to EGS Potential Protocol)

  • 송윤호;백승균;김형찬;이태종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4-144
    • /
    • 2011
  • We have estimated power generation potential in Korea following the recently announced EGS protocol. According to the protocol, we calculated the theoretical potential first, which assumes 30 year operation, minimum temperature being surface temperature+$80^{\circ}C$, depth range being from 3 km to 10 km. In this new assessment the in-land area was digitized by 1' by 1' blocks, which is much finer than suggestion of the protocol (5'by 5'). Thus estimated theoretical potential reaches 6,975 GWe which is 92 times of the total power generation capacity in 2010. In the estimation of technical potential, we limited the depth range down to 6.5 km, assumed recovery factor as 0.14 and also counted for temperature drawdown factor of $10^{\circ}C$ following the protocol. Accessible in-land area excluding steep mountains, residence and industrial region, wet area and others covers 40.7% of total area. Finally, we could come up with 19.6 GWe for technical potential, which would be 56 GWe if we do not account for the temperature drawdown factor. These are important results in that we made the first potential assessment for geothermal power generation.

  • PDF

간월호 및 부남호의 유입 오염부하량 산정 (Estimation of Pollutant Loadings from Watershed into Lakes of Ganwol and Boonam)

  • 임경호;이영신;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40
    • /
    • 2006
  • The water of rivers and lakes in Korea is the main sources for drinking, industrial and agricultural purposes. However, various pollutants washed-off from watershed area make worse and worse the water quality. Particularly, the changes of land uses in watershed area is the main pollutant sources in many cases in Korea, it is usually called to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 this reas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re programing the total maximum daily load for four major large rivers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by controlling the watershed area.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total pollutant input from watershed areas to lakes of Ganwol and Boonam located in Chungnamdo. The AGNPS water quality model and monitoring were used to estimate the pollutant loading rates with unit pollutant concentration of each land use. The main landuse of the research area are forest, wet and dry paddy field and small urban area. The research shows that the pollutant sources in Ganwol and Boonam lakes are from the various landuses. In this manuscripts, the results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s for mitigating the pollutants to the lak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