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estern blot

검색결과 2,727건 처리시간 0.044초

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전통주의 추출물이 HepG2 세포의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ditional Wine by using Mycelium of Phellinus Iinteus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in HepG2 Cells)

  • 이수진;한민호;이용태;허만규;정경태;정영기;최영현;최병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14-918
    • /
    • 2006
  • It was examined that the effect of fermented traditional wine made by using mycelium of Phellinus linteus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in HepG2 cells. HepG2 cells were incubated with or without ertract of traditional wine (ETMP), then analyz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The results of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 (COX)-2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was induced by LPS, Dut the treatment of ETMP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hese proteins and its mRNAs. Besides, the results of Western blot analyse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Bp65$ and $inhibitory-{\kappa}B{\alpha}$ were also slightly affected by ETMP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M P alleviate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 expressions and thus may be used as a functional alcoholic beverage.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the Viability and Stem Cell Markers,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Bone Marrow-Derived Stem Cells Cultured in Growth Media

  • Lee, Hyunjin;Lee, Hyuna;Na, Chae-Bin;Park, Jun-Beom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62-70
    • /
    • 2018
  • Purpose: Bone marrow has long been a source of primary cel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ge and sex on the cellular viability and expression of stem cell markers of mRNA and on the protein expression of bone marrow stem cells (BMSCs) derived from healthy donors. Materials and Methods: Stem cells were isolated from human bone marrow and plated in culture plates. The shape of the BMSCs was observed under inverted microscope. Quantitative cellular viability was evaluated using a Cell-Counting Kit-8 assay. The expression of stem cell surface markers was tested and a series of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and Western blo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in each group. Result: The shapes of the cells at 20s, 30s, and 50s were similar to each other. No significant changes in cellular viability were noted among different age groups or sex groups. The BMSCs expressed CD44, CD73, and CD90 surface markers but did not express CD14 and CD34. There were no noticeable differences in CD surface markers among the different age groups. The expressions of CD surface markers were similar between men and wome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cret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VEGFs) were noted at Day 3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qRT-PCR regarding the expression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However,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a decrease in expression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Conclusion: This study clearl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ape, cell viability, expression of stem cell surface markers, or secretion of human VEGF among different age groups. However,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a tendency of age-related decrease which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Collectively, autologous or allogeneic BMSCs should be meticulously applied to obtain optimal results regarding age and sex.

Effects of Snake Venom Pharmacopuncture on a Mouse model of Cerebral Infarction

  • Choi, Chul-Hoo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140-146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ipera lebetina turanica snake venom (SV) on cerebral infarction induc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in mice. Methods: Following cerebral infarction, SV was injected intravenously or added to BV2 cell culture. Tissue injury was detected using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staining, neurological deficit score, NO, ROS, and GSH/GSSG assays, qPCR, Western blot, and cell viability. Results: Cerebral infarction caus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as observed by TTC staining, showed SV inhibited cell death, reducing the number of brain cells injured due to infarction. SV treatment for cerebral infarc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bnormal behavior, as determined by the neurological deficit score. The oxidation and inflammation of the cells that had cerebral infarction caus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NO assay, ROS, GSH/GSSG assay, and qPCR), showed significant protection by SV. Western blot of brain infarction cells showed the expression of iNOS, COX-2, p-IkB-${\alpha}$, P38, p-JNK, p-ERK to be lower in the SV group.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IkB increased. BV2 cells were viable when treated with SV at $20{\mu}g/mL$ or less. Western blot of BV2 cells, treated with 0.625, 1.5, $2.5{\mu}g/mL$ of SV,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p-IkB-${\alpha}$, p-JNK, iNOS, and COX-2 on BV2 cells induced by LPS. Conclusion: SV showed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against cerebral infarction and inflammation.

기생충질환(寄生蟲疾患)의 면역혈청학적(免疫血淸學的) 진단(診斷)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roimmunodiagnosis of Parasitic Diseases)

  • 임한종;이준상;주경환;엄기선;정명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3권1호
    • /
    • pp.41-59
    • /
    • 1988
  •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몇몇 기생충질환을 대상으로 각종의 혈청학적 진단법을 적용시켜 진단적 가치 및 의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연구대상 기생충은 간흡충, 낭미충, Capillaria hepatica이었으며, 주로 간접 형광항체반응, ELISA, western blot등의 기법을 적용시켜 보았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흡충증에 있어서 ELISA는 83.3%의 민감도를 나타낸 반면 폐흡층 및 조충과의 교차반응이 인정되었다. ELISA는 간접혈구응집반응, 간접형광항체 반응에 비해 우수한 성적을 보이고 있었다. 앞서 기술한 교차반응을 구별하고 항원-항체반응의 특이항원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western blot의 결과 59Kd band와 21K의 band는 간흡충감염자 혈청이외에는 반응하지 않아 종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raziquantel로 치료한 다음 18개월 후에 혈청 및 뇨를 이용하여 ELISA로 검사한 결과 OD치는 치료전의 약 1/2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음전률은 60%에 이르렀다. 간접혈구응집반응을 이용할 경우 치료 18개월 후 80%가 음전되었다. 2) 낭미충증 진단에 있어서 간접형광항체반응은 95.8%(23/24)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내막에서 가장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ELISA 역시 90.0%(36/40)의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나 두 방법 모두에서 다른 기생충감염자 혈청과의 교차반응이 인정되었다. Western blot 에서 볼때 91, 63, 21Kd의 band가 종특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63Kd의 항원대가 일관성 있게 낭미충 감염 혈청과 반응하였다. 3) Capillaria hepatica 충란을 이용한 난주위침강반응 및 간접형광항체법에서 85.0%의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초록색의 특이한 형광이 점막전주위 및 충란절단면의 내막에서 관찰되었다. 수용성충란항원을 이용한 ELISA에 있어서도 85.0%의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항체가 감염후 3~5주부터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9주부터 점차 감소되어 감염후 13주에는 음성으로 전환되었다.

  • PDF

인체 폐암세포주에서 NF-$\kappa$B p50/p65 Complex의 활성화 (Activation of the NF-$\kappa$B p50/p65 Complex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 최형석;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185-194
    • /
    • 1999
  • 연구배경: NF-$\kappa$B는 단백질이 생성된 후의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과 세포내에서의 위치 변화(subcellular localization)에 따라 그 작용이 결정되는 특성을 가진 전사 인자로서 최초에는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실이 알려졌으나 그후 이러한 작용이외에도 급성기 염증 반응, 바이러스의 증식, 세포의 발생과 분화에 있어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최근의 연구들에서 NF-$\kappa$B 전사 인자가 정상 세포로부터 암세포로의 형질전환에 있어서도 어떤 기능을 할 것이라는 사실들이 알려지게 되었다. NF-$\kappa$B가 암세포로의 형질 전환, 나아가 암세포의 생성에 어떤 역할을 제공한다면 이러한 사실은 나아가 향후의 암치료에 있어서도 유용한 지식이 될 수 있다. NF-$\kappa$B 전사 인자가 인체 암세포에 있어서 세포의 형질 변환에 연관될 수 있다는 사실은 몇몇 암종에서 알려져 있으나 폐암에서의 NF-$\kappa$B 전사 인자의 종양 생성기능에 있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배양된 인체 폐암세포주에 있어서 NF-$\kappa$B family 전사 인자들의 발현정도를 western blot를 이용하여 관찰하고 과발현된 NF-$\kappa$B 전사 인자의 세포내 위치가 세포핵인지 세포질내에 존재하는 것인지를 각각의 단백질 분획에서 western blot를 시행하여 관찰하였고 또한 immunocy-tochemistry를 시행하여 그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존재하는 NF-$\kappa$B 전사 인자가 어떠한 복합체의 형태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주의 단백 추출물에서 NF-$\kappa$B family 전사 인자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mmunoprecipitation을 시행하였다. 세포주 단백추출물의 $\kappa$B consensus oligonucleotide에의 결합여부를 보기위하여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를 시행하였다. 결 과: 배양된 인체 폐암세포주에서는 NF-$\kappa$B family의 p50 subunit, p65 subunit가 발현되어 있었고 p50 subunit의 발현은 세포핵내에 국한하여 위치하고 있음을 western blot와 immunocytochemistry를 통하여 관찰할 수 있었다 immunoprecipitation assay는 세포내에서 p50 subunit가 p65 subunit와 복합체를 이루는 상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폐암세포주의 세포핵 추출물은 NF-$\kappa$B consensus oligonucleotide와 결합할 수 있음을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인체 폐암세포주에서 NF-$\kappa$B family 전사 인자의 발현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NF-$\kappa$B family 전사 영자가 인체 폐암 형성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BAPN으로 유도한 구개열 백서에서 $TGF-\beta$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GF-\beta$ Expression Patterns In Cleft Palate Formed Rats Induced by BAPN)

  • 태기출;김은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79-587
    • /
    • 2001
  • 구개열에 대한 유병률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연구가 지속되어 왔고, 원인 요소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많은 연구방법중 분자생물학적 방법은 구개열 연구에 중요한 방법으로 고려 된다. 구개 형성에 여러성장 요소가 관여하는데, 그중 $TGF-\beta$는 세포이주, 상피-간엽 형질 전환, 세포외 기질 합성과 축적에 관여한다. 구개열 연구중에 beta-aminonitroproprionitrile (BAPN)을 이용하여 구개열 형성 백서와 $TGF-\beta$ 발현 양상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임신 10일째 백서 4마리를 구입한 후, 그 중 3마리에 BAPN을 1g/kg body weight비율로 구강투여하고 임신 20일째 희생하여 구개열 태자와 정상 태자에서 $TGF-\beta$ 발현 양상을 면역조직화학염색과 Western blot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구개열 백서의 골아세포와 간엽조직에서 $TGF-\beta$ 발현 양상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낮은 활성을 보였다. 2. 구개열 백서의 골세포에서 $TGF-\beta$ 발현 양상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Western blot 분석결과 구개열 백서의 상악에서 $TGF-\beta$ 발현은 대조군의 상악에 비해 밴드가 약하게 발현되었다.

  • PDF

목단피의 NF-κB와 MAPKs 억제를 통한 Pro-inflammatory Cytokines 활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utan Cortex on Pro-inflammatory Cytokines through NF-κB & MAPKs pathway in HMC-l)

  • 박주호;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8
    • /
    • 2009
  • Objective : Moutan Cortex (the root bark of Paeonia suffruticosa Andr.) is widely used in oriental medicine as a remedy for inflammation. However, as yet there is no clear explanation of how MC(Moutan Cortex) affects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ssence extracted MC on the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Method : We observed the effect of MC on compound 48/80-induced histamine release of rat peritoneal mast cells and the effect of administering MC on PCA in rat. We measured the amount of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duced by the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 plus calcium ionophore(A23187) in the human mast cell line (HMC-1)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MC. The TNF-$\alpha$ protein levels were analysised by Western blot. The TNF-$\alpha$, IL-6 and IL-8 secreted protein levels were measured by the ELISA assay. The TNF-$\alpha$, IL-6 and IL-8 mRNA levels were measured by the RT-PCR analysis. NF-$\kappa$B, phospho-I$\kappa$B and MAPKs were ex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NF-$\kappa$B promoter activity was examined by luciferase assay. Result : 1. Enzyme immunoassay indicated that MC suppressed histamine secretion of rat peritoneal mast cells. 2. In PCA dependent on IgE, MC had anti-allergic effect of the internal surface of rat skin. 3. Western blot indicated that MC decreased TNF-$\alpha$ protein levels. 4. ELISA indicated that MC decreased TNF-$\alpha$, IL-6 but MC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L-8 in HMC-1 cells. 5. RT-PCR indicated that MC decreased TNF-$\alpha$, IL-8 but MC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L-6 in HMC-l cells. 6. Western blot indicated that MC suppressed the induction of MAPKs, NF-$\kappa$B & phospho-I$\kappa$B activity in HMC-1 cells. 7. Luciferase assay indicated that MC suppressed the PMA plus A23187-induced NF-$\kappa$B promoting activityin HMC-1 cells.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have found that MC is an inhibitor of NF-$\kappa$B, MAPKs & cytokines on the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 PDF

미역 에탄올 추출물이 지방세포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Anti-adipogenic Effect of Undaria pinnatifida Extracts by Ethanol in 3T3-L1 Adipocytes)

  • 김혜진;강창한;김성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52-1056
    • /
    • 2012
  • 미역(Undaria pinnatifada)은 낮은 칼로리 및 요오드의 원료로써 천연체중조절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미역이 체중조절식품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축적에 관한 저해 기작은 연구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3T3-L1에서 지방세포로 분화가 일어나는 단계에서 미역에탄올추출물의 효과 및 기작을 확인하였다. 미역에탄올추출물의 독성과 지방축적저해효과는 MTT assay, Oil red O staining, RT-PCR과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미역에탄올추출물은 50 ${\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을 띄지 않았다. 3T3-L1의 분화 및 지방세포에서 triglyceride축적과정동안 50 ${\mu}g/ml$의 미역에탄올추출물을 처리하였으며, 미역에탄올추출물은 지방세포에서 triglyceride의 축적을 40% 감소시켰다. 지방세포 특이적 단백질인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leptin과 Hormone sensitive lipase (HSL)의 발현은 RT-PCR과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PPAR{\gamma}$의 과발현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킨다. 또한 지방세포 크기의 증가와 세포 내 triglyceride의 함량에 따라 leptin은 세포 외로 분비된다. 그러므로 $PPAR{\gamma}$와 leptin은 비만의 지표로 사용된다. 첨가한 미역에탄올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PPAR{\gamma}$와 leptin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미역의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며, 지방세포 내 triglyceride의 축적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간 골수유래-중간엽 줄기세포(hBM-MSCs)에서 PDE4 억제조절을 통한 신경세포 분화 효율 개선 (Improvement of Neuronal Differentiation by PDE4 Inhibition in Human Bone Marrow-mesenchymal Stem Cells)

  • 정다희;조이슬;조광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55-1359
    • /
    • 2016
  •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hMSCs)는 신경세포(neuron-like cells)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성체 줄기세포(adult stem cells)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골수유래-중간엽 줄기세포(bone marrow-mesenchymal stem cells; hBM-MSCs)를 이용한 신경분화에서 신경세포 표지자(neuronal marker)인 NF-M, Tuj-1 뿐만 아니라 성상세포 표지자(glial marker)인 GFAP의 발현 역시 의미 있게 증가함을 real-time PCR, Western blot, and immunocytochemical staining법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신경분화에 중요한 신호전달자(signal intermediator)인 PDE4를 억제한 후 신경분화를 유도하였다. PDE4 억제자인 rolipram 혹은 resveratrol를 각각 처리하여 신경분화한 줄기세포(Roli- or RSV-dMSCs)에서 NF-M, Tuj-1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반면, GFAP의 발현은 감소함을 real-time PCR, Western blot, and immunocytochemical staining법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PDE4를 조절하며 줄기세포의 신경분화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였다.

말라리아 진단시 재조합 Circumsporozoite 단백질의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Recornbinant Circumsporozoite Protein in Malaria Diagnosis)

  • 이형우;이종수;이원자;조신형;이호자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2-149
    • /
    • 2000
  • 국내에서 유행하는 Plasmodium vivax의 유전자를 조작하여 만든 재조항 Circumsporozrozite(CS) 단백질 (22)을 이용하여 말라리아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최초발병일로부터 진단까지 걸린 기간을 기준으로 환자들의 면역반응을 Western blot으로 알아본 결과, 15일 이내에 진단받은 환자들은 43.8%(14/32)가 양성반응을 보였고, 16일 이상 경과한 환자들은 94.4%(17/18)가 양성반응을 보여 전체적으로는 62%(31/50)의 양성률을 보였다. Blood stage 항원에 대한 항체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조합 CS단백질 항원에 대해 음성인 환자들이 22.6%(7/31)였다. 비유행지 주민(경북 예천군)들은 10.7%(3/28),유행시 주민(인천시 강화군)들은 27.6%(13/47)의 재조합 CS 단백질에 대한 항체 양성을 보였다. 재조합 CS 단백질 항원의 역학조사시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말라리아 유행지인 경기도 파주시 조산리, 마정리, 항양리, 뇌조리 거주 주민 422명의 전혈을 채취하여 혈액도말법과 중합효소연쇄 반응법으로 항원검사를 실시하였으며 blood stage 항원을 이용한 간접면역형광법과 재조합 CS 단백질 항원을 이용한 효소면역측정법으로 말라리아 항체보유 여부를 조사하였다. 혈액도말법에서는 422명 모두 음성이었으나, 중합효소연쇄반응법에서는 2명(0.47%)이 양성이었다. 간접면역형광법에서는 42명(9.95%), 재조합 CS 단백질 항원을 이용한 효소변역측정법에서는 71명(16.82%)이 양성으로 나타났다. 두 검사에서 모두 항체 양성을 보인 사람은 8명(11.27%)에 불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