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lness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25초

웰니스워드넷: 비정형데이터와 상황적 긍부정성에 기반하여 주관적 웰빙 상태를 무구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워드넷 개발 (WellnessWordNet: A Word Net for Unconstrained Subjective Well-Being Monitor ing Based on Unstructured Data and Contextual Polarity)

  • 송영은;남수현;권오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3호
    • /
    • pp.1-21
    • /
    • 2016
  • 주관적 웰빙 서비스(subjective well-being service)는 Wellness IT의 주요 서비스이며 개인의 주관적 웰빙 상태를 무구속적이고 비용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감성어휘사전을 활용할 수 있으나 감성어만으로 주관적 웰빙 상태를 측정할 수는 없으며 웰니스 어휘 사전이 별도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기존의 감성어휘사전은 동일한 감정어에 대해 한가지만의 감성값을 제공함으로써 그 용어를 사용한 사람의 특징에 따라 감성값이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존하는 감성어휘사전 중에서 표현력이 가장 뛰어난 SenticNet을 기반으로 하여 SenticNet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스트레스, 우울, 분노, 행복감 등 웰니스 상태를 추정한 결과를 추가한 WellnessWordNet 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사람들을 대상으로 WellnessWordNet 에 근거한 웰니스 상태 추정 정확도를 검증해 보았다. 본 논문의 독창성은 WellnessWordNet 웰니스 상태 언어에 대한 값을 제공할 뿐더러, 성별이나 연령과 같은 사람의 특성에 따라 다른 감성값을 제공하는 최초의 감성어휘사전이라는 것이다.

홈 웰니스 로봇의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자기 위치 및 자세 제어 (IoT Based Intelligent Position and Posture Control of Home Wellness Robots)

  • 이병수;현창호;김승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36-64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환경 내에서 웰니스 로봇의 이동을 위한 로봇의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자기위치인식 및 자세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자기위치인식 방법은 스마트 홈, 홈 환경 내 위치하고 있는 물체, 홈 웰니스 로봇 간의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스마트 홈에 RF태그를 설치하고 환경 내 물체에 RF 리더를 내장하여 환경 내 물체의 절대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물체와 홈 웰니스 로봇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물체의 절대좌표 정보를 홈 웰니스 로봇에 제공한 후, 홈 웰니스 로봇에 장착되어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서 물체를 기준으로 한 홈 웰니스 로봇의 상대 좌표를 알아내어 로봇의 스마트 홈 환경에서의 자기위치인식을 한다. 둘째로, 홈 웰니스 로봇의 물체 접근을 위한 비전센서 기반의 퍼지 자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홈 웰니스 로봇의 정면에 장착된 스테레오 카메라를 기준으로 물체까지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고 영상의 중앙을 기준으로 틀어진 각을 계산하여 물체와 홈 웰니스 로봇 정면과의 각도차를 알아낸다. 얻은 정보를 퍼지 순람표(Look-Up table)로 작성하여 물체에 접근하기 위한 홈 웰니스 로봇의 자세제어를 하도록 한다. 이렇게 제안한 각각의 자기위치인식 및 자세제어 방법의 성능은 실제 구축한 스마트 홈 환경과 웰니스 로봇을 가지고 실험하여 확인한다.

장애아동 주양육자의 물리적환경과 정서적 환경 관계에서 지적 웰니스의 매개 작용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llectual wel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emotional wellness of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강지순;이현주;심옥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97-51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양육자의 물리적·정서적 웰니스 사이에서 지적 웰니스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관리 방안 제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장애아동 양육자 177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06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하였다. 자료분석은 PROCESS macro를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특성과 변수간 분석은 Independent t-test 및 ANOVA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수에 대하여는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수간 관련성 분석은 Pearson 상관관계 및 위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 주양육자의 물리적 웰니스와 지적 웰니스는 장애아동 양육자의 정서적 웰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물리적 웰니스와 정서적 웰니스 사이에서 지적 웰니스가 매개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장애아동이 가진 물리적 환경의 영향도 중요하지만, 주양육자에게 적절하고 충분한 지적 교육이 동반되어야 정서적 웰니스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는 장애아동 양육자의 웰니스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a worksite wellness program

  • Person, Ashley Lynne;Colby, Sarah Elizabeth;Bulova, Jessica Ann;Eubanks, Janie Whitehurst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2호
    • /
    • pp.149-15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barriers that prevent participation in an employee wellness program, Wellness Wednesdays: "Eat & Meet" About Healthy Living, conducted at East Carolina University (ECU) in Greenville, North Carolina. All ECU ARAMARK employees (n = 481) over the age of 18 were eligible to participate in the wellness program. Weekly 30 minute classes, taught by a Registered Dietitian, on various nutrition- and health-related topics were conducted for 10-weeks. Five question knowledge quizzes were administered to participants at the end of each class to determine the comprehension of material presented. Qualitative interviews (n = 19) were conducted with employees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and the program organiz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10-week program to identify barriers to program participation. A total of 50 (10.4% of the total number of potential participants) ECU ARAMARK employees, managers, and leadership team directors attended Wellness Wednesdays at least once during the 10-week program. Employees, on average, scored 71-100% on the weekly knowledge quizzes administered at the end of each class. The most common barriers to participation reported included (most often to least often reported): insufficient incentives, inconvenient locations, time limitations, not interested in topics presented, undefined reasons, schedule, marketing, health beliefs, and not interested in the program. Results showed that employee wellness programs can be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of employees on nutrition- and health-related topics. However, program planning that addresses identified barriers including insufficient incentives, inconvenient locations, and time limitations may facilitate higher participation in future worksite wellness opportunities.

대학생의 웰니스, 대학생활만족 및 학습몰입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Wellness, Campus-life satisfaction and Learning Flow among University Students)

  • 안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94-502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웰니스가 대학생활만족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웰니스, 생활만족, 학습몰입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된 연구모형은 대구지역 대학 재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SmartPLS 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신적, 지적, 사회적, 정서적 웰니스는 대학생활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신체적 웰니스는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만족은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적의 상태를 의미하는 대학생의 웰니스가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고 이는 곧 학습몰입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에서 대학생활만족 및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 대학생들의 웰니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웰니스 인덱스 원안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Korean Prototype of Wellness Index)

  • 이인숙;방경숙;김성재;이준아;조주현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84-9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Korean Prototype of Wellness Index (KP-WI)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health characteristics and wellness. Methods: The Wellness Index (WI) was translated into the primitive version of the KP-WI, considering the Koreans' culture and health behavior. It was administered to 223 service industrial employees at one workplace along with th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and Stress Questionnaire-Short Form. Data analyses included item-total correl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The primitive version was modified to KP-WI based on the item-total correlation. The items considered to lower the reliability of the KP-WI were eliminated. Cronbach's ${\alpha}$ for each subscale ranged from .857 to .939. Perceived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wellness measured by KP-WI (r=-.29, p<.001; r=-.27, p<.001). Positive emotion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wellness (r=.60, p<.001).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wellness indexes by developing a prototype and exploring the factors related to wellness.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Effectiveness of a Mobile Wellness Program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Office Workers)

  • 하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369-37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증진을 돕기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 연구설계로서 총 26명의 사무직 근로자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에 12주간 참여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 전후에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사무직 근로자의 보행수(t=-2.52, p=.018), 운동 심리적 욕구만족의 유능성(t=-2.12, p=.044), 웰니스(t=-2.83, p=.009)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은 사무직 근로자들의 보행수를 증가시키고, 운동 심리적 욕구만족의 유능성과 웰니스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수 있다.

경상남도 웰니스관광의 염증면역지표, 자율신경균형, 정서, 피로, 스트레스, 삶의 질 및 수면의 질 개선에 미치는 단기효과 (Short-term Effect of Gyeongsangnam-do Wellness Tourism on Inflammatory and Immune System Markers, Emotion, Fatigue, Stress,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Sleep)

  • 이새롬;이예리;이상엽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35
    • /
    • 2021
  • Purpose :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social interest in aging well. Consequently, wellness tourism has begun to attract attention. However, no studies on whether wellness tourism has any objective health benefits have been carried out yet. In this study, we assess the health benefits as well as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health of a wellness tourism program. Methods : The study involved 30 adults over the age of 19 who live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Participants were evaluated on health indicator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wellness tourism program. Participants took heart rate variability (HRV) test, and LFT, RFT, CBC, FBS HbA1C, and CRP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tour.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participant satisfaction was evaluat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test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analyzed using a design t-test, a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McNemar's test. Results : The study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very satisfied with and had significant health improvements after the wellness tourism program. The program was also found to be beneficial in improving participants' emotions as follows: BDI (p<.001), fatigue recovery (p=.006), stress relief (p=.003), improved quality of life (p<.05), and improved sleep quality (p<.001). Conclusion : Wellness tourism programs are specifically beneficial for improving participants' emotions (depression, anxiety), fatigue, stress levels, quality of life, and sleep. Therefore, they are beneficial to the overall health. Further research in the future by way of a follow-up study on the long-term effects on health after short-term interventions will provide more validation data.

콜 센터 상담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Wellness of Call Center Employees)

  • 김연주;김광숙;김유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8-13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ellness of call center employees. Methods: From December 2018 to October 2019,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55 workers recruited from the call centers in Seoul,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following scale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emotional labor scale, work-life balance scale and wellness scale.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wellness level of call center employees was 3.05 out of a maximum of 5.00. More wellness level of call center employees was associated with gender, psychiatric diagnosis, and call characteristic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otal scores on the wellness scale were predicted by cal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stress and work-life balanc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2.2%. Conclusion: Study finding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wellness in call center workers with differentiated strategies according to cal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stress and work-life balance.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all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workers and to provide an innovative wellness program tailor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the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헬스 및 웰니스 플랫폼: 서비스 및 가용 기술에 관한 연구

  • ;;;방재훈;;허태호;;;김도형;이승룡
    • 정보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9-25
    • /
    • 2017
  • In this paper, we surveyed state-of-the-art health and wellness platforms. The motivation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tate-of-the-art health and wellness platforms and their maturity with respect to adoption of latest enabling technologies. The is review i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healthcare systems, AI-assisted healthcare, wellness platforms, and open source health and wellness initiatives. From this comprehensive review, it can be stated that the contemporary healthcare systems are well-adopting wellness due to the concentration shift towards prevention. Thus, the gap between health and wellness is slowly yet carefully entering gray area. Where both the domains can freely invoke each other's services, and supporting enabling technologies. Furthermore, the biomedical researchers and physicians are no longer carrying the myopic views of trusting their knowledge for diagnosis. AI-assisted technologies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big data are influencing today's prognosis with trust and confid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