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l diffusion

검색결과 1,369건 처리시간 0.029초

보골지, 오미자, 계혈등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Psoralea corylifolia, Schisandra chinensis, and Spatholobus suberectus Extracts)

  • 최은정;장성란;강옥주;방우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95-500
    • /
    • 2013
  • 약용식물 3종에 대한 항균활성 결과, 보골지와 오미자 분획층에서 계혈등 분획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계혈등과 보골지 n-hexane 분획층에서 그람 음성균보다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항균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계혈등 n-hexane 분획층의 L. monocytogenes에 대한 MIC는 7.765 (mg/mL), 보골지 n-hexane 분획층의 B. cereus, L. monocytogenes, E. coli 균에 대한 MIC는 2.03 (mg/mL), 오미자 분획층의 (L. monocytogenes), E. coli 균에 대한 MIC는 8.5 (mg/mL)로 나타났으며, 오미자 n-hexane 분획층의 MIC가 모든 균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균활성에 대한 열 안정성 실험결과, L. monocytogens에 대한 계혈등 n-hexane 분획층을 제외하고는 $100^{\circ}C$에서 10분간의 열처리에도 항균 활성의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보골지와 오미자 n-hexane 분획층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약용 식물은 다양한 생리활성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천연 항균제의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 될 수 있으며, 식품산업 발달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ntribution of Bulk Flow to Transport Mechanisms of the Membranes Surrounding Amniotic Fluid in the Rabbit

  • Lim, Young-Cheol;Lee, Sang-Jin;Sung, Ho-Ky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8권1호
    • /
    • pp.79-90
    • /
    • 1994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bulk flow to the regulatory mechanism of amniotic fluid volume and its ionic concentration in the membranes surrounding the amniotic fluid. For quantitative assessment, we prepared 4 kinds of artificial amniotic fIuids (isotonic isovolumetric, hypotonic isovolumetric, isotonic hypervolumetric and hypotonic hypervolumetric ones) by replacing 70% of amniotic fluid of pregnant rabbits with water or normal Tyrode solutions. Isoosmotic saline of 0.5 ml volume containing 0.05% Censored and 15 mM/l LiCl was administered initially into amniotic sacs of all subject animals. Samples of amniotic fluid were collected in after 30 and 90 minute intervals; the concentrations of Censored, $Na^+\;and\;Li^+$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btained. 1. from isovolumetric and increased Congcord group, we couldn't find significant change in $Li^+\;and\;Na^+$ concentration in isotonic amniotic fluid. However, $Na^+$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s well as a striking increase in Censored concentration in hypotonic amniotic fluid. 2. In isovoIumetric and decreased Censored group, the rate of $[Li^+]$ decrement and the rate of $[Na^+]$ increment were much higher in hypotonic amniotic fluid than in isotonic. 3. In hypervolumetric and increased Censored group, the rate of $Na^+$ efflux increased proportionately with the increment of Censored concentration up to 0.98, which was higher than the rate of $Li^+$ efflux in isotonic amniotic fluid. However, the increment of $Na^+$ concentration was rather related with the initial $Na^+$ concentration in hypotonic amniotic fluid, showing inverse relationship. $Li^+$ concentration increased only when there was a marked increase in Censored concentration and approached near a maximum value or 1. 4. For hypervolumetric and decreased Censored group, the observations were identical to isovolumetric and decreased Censored group.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1) There is no net movement of water or monovalent cations across the membranes surrounding amniotic fIuid in isotonic isovolumetric condition. In contrast, there is a net efflux of amniotic fluid by osmotic bulk flow, resulting in elevation of $Na^+$ concentration in hypotonic isovolumetric condition. 2) In hypervolumetric conditions, there is a massive efflux of amniotic fluid or solvent drag through the surrounding membranes by fiItrative bulk flow, where the rate of $Na^+$ efflux has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at of water efflux. This is assumed to be carried out through enlarged and newly opened intercellular spaces resulting from increased intraamniotic pressure. 3) Once increasing intraamniotic pressure reaches a point allowing $Li^+$ to pass through during osmotic bulk flow in hypotonic amniotic fIuid, $Na^+$ influx seems to occur by diffusion simultaneously or immediately thereafter, too.

  • PDF

입상활성탄에 의한 수용액으로부터 오로라 레드의 흡착에 대한 평형, 동력학 및 열역학 파라미터에 관한 연구 (Equilibrium, Kinetic and Thermodynamic Parameter Studies on Adsorption of Allura Red from Aqueous Solution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 이종집
    • 공업화학
    • /
    • 제25권4호
    • /
    • pp.430-436
    • /
    • 2014
  • 오로라레드(Allura Red, AR)는 수용성의 유해한 타르계 식품착색제(적색 40호)이다. 역청탄계 입상활성탄을 사용한 AR의 회분식 흡착실험은 흡착제의 양, 초기농도, 접촉시간과 흡착온도를 조작변수로 선택하여 수행되었다. 흡착평형자료를 가지고 Langmuir와 Freundlich 및 Temkin 흡착등온식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흡착평형은 Langmuir 흡착등온식이 더 잘 맞았으며, 계산된 분리계수($R_L$) 값으로부터 입상활성탄이 AR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emkin parameter, B의 값은 1.62~3.367 J/mol로 흡착공정이 물리흡착임을 나타내었다. 흡착속도실험으로부터, 입자내확산속도상수($k_m$)는 온도증가와 함께 커졌으며, 흡착공정은 유사이차반응속도식에 잘 맞았음을 알았다. 흡착공정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활성화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및 Gibbs 자유에너지변화와 같은 열역학 파라미터들을 298~318 K의 온도 범위에서 조사하였다. Gibbs 자유에너지변화값(${\Delta}G$ = -7.02~-8.79 kJ/mol)과 엔탈피변화값(${\Delta}H$ = + 82.2 kJ/mol)으로부터 흡착공정이 자발적이고 흡열과정임을 알았다.

Occurrence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solated from Oreochromis niloticus (Nile tilapia) and Clarias gariepinus (African catfish) in Uganda

  • Wamala, S.P.;Mugimba, K.K.;Mutoloki, S.;Evensen, O.;Mdegela, R.;Byarugaba, D.K.;Sorum, H.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6.1-6.10
    • /
    • 2018
  •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acterial pathogens infecting Oreochromis niloticus (Nile tilapia) and Clarias gariepinus (African catfish), and to establish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n Uganda. A total of 288 fish samples from 40 fish farms (ponds, cages, and tanks) and 8 wild water sites were aseptically collected and bacteria isolated from the head kidney, liver, brain and spleen.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nventional biochemical tests and Analytical Profile Index test kits.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elected bacteria was determined by the Kirby-Bauer disc diffusion method. The following well-known fish pathogens were identified at a farm prevalence of; Aeromonas hydrophila (43.8%), Aeromonas sobria (20.8%), Edwardsiella tarda (8.3%), Flavobacterium spp. (4.2%) and Streptococcus spp. (6.3%). Other bacteria with varying significance as fish pathogens were also identified including Plesiomonas shigelloides (25.0%), Chryseobacterium indoligenes (12.5%), Pseudomonas fluorescens (10.4%), Pseudomonas aeruginosa (4.2%), Pseudomonas stutzeri (2.1%), Vibrio cholerae (10.4%), Proteus spp. (6.3%), Citrobacter spp. (4.2%), Klebsiella spp. (4.2%) Serratia marcescens (4.2%), Burkholderia cepacia (2.1%), Comamonas testosteroni (8.3%) and Ralstonia picketti (2.1%). Aeromonas spp., Edwardsiella tarda and Streptococcus spp. were commonly isolated from diseased fish. Aeromonas spp. (n = 82) and Plesiomonas shigelloides (n = 73) were evaluated for antibiotic susceptibility. All isolates tested were susceptible to at-least ten (10) of the fourteen antibiotics evaluated. High levels of resistance were however expressed by all isolates to penicillin, oxacillin and ampicillin. This observed resistance is most probably intrinsic to those bacteria, suggesting minimal levels of acquired antibiotic resistance in fish bacteria from the study area.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establish the occurrence of several bacteria species infecting fish; and to determin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n Uganda. The current study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for future reference and fish disease management in the country.

가변 입사각 타원 해석법을 사용한 유리기판위의 이산화규소박막의 굴절율 및 두께 측정 (Measurement of a refractive index and thickness of silicon-dioxide thin film on LCD glass substrate using a variable angle ellipsometry)

  • 방현용;김현종;김상열;김병익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36
    • /
    • 1997
  • 나트륨 이온의 용출을 방지하기 위해 LCD용 유리기판위에 입혀진 SiO$_{2}$ 박막의 굴절율 및 두께를 측정하였다. 입사각을 고정하고 박막의 두께를 0 .angs.부터 주기 두께까지 20.angs.씩 증가시키며 계산한 타원해석상수와 두께를 고정하고 입사각을 45.deg에서 70.deg까지 1.deg.씩 증가시키며 계산한 타원해석상수를 이용하여 LCD용 유리기판위에 증착된 SiO$_{2}$ 박막의 굴절율 및 두께 측정에서의 최적 측정 조건을 구하였다. 최적 측정 조건에서 굴절율 및 두께의 변화에 따른 타원해석상수 .DELTA.와 .PSI.의 변화를 계산하여 .DELTA.와 .PSI.측정 상의 오차와 비교하여 굴절율 및 두께 결정 시의 오차를 추정하였다. 최적 측정 조건인 Brewster 각 근방에서의 여러 입사각에서 LCD용 유리기판위에 입혀진 SiO$_{2}$ 박막의 타원해석상수 .DELTA.와 .PSI.를 측정하고, 이 측정값에 최적 맞춤하는 SiO$_{2}$ 박막의 굴절율 및 두께를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전산 계산하고 분광타원해석법에 의한 박막의 두께 및 굴절율과 비교하였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actococcus lactis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sp. KD 28 Isolated from Kimchi)

  • 이지영;최낙식;전성식;문자영;강대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0-188
    • /
    • 2015
  • 김치로부터 분리한 L. sp. KD 28은 펩타이드성 항균물질인 박테리오신을 생산하였다. 이 박테리오신은 ${\alpha}$-chymotrypsin, proteinase K, lipase, ${\alpha}$-amylase, carboxypeptidase A 효소에 대해서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낮은 pH 2.0에서 약 염기성의 pH 8.0까지는 항균활성을 온전히 유지하였으나 pH 8.0 이상에서는 항균활성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pH 12.0에서는 25%로 감소하였다. L. sp. KD 28는 16S rRNA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한 결과 L. lactis와 99%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김치에서 분리한 L. sp. KD 28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acetonitrile, isopropanol, methanol, chloroform 및 acetone 등의 유기용매 최종 농도 50%에서 항균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열 안정성의 경우 $80^{\circ}C$까지 한 시간의 열처리에 안정하였으나 $100^{\circ}C$에서는 20분 이상의 열처리에 의해 항균활성이 감소하여 50분간 열처리할 경우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 박테리오신은 그람 음성보다는 양성 세균인 M. luteus IAM 1056, L. delbrueckii subsp. lactis KCTC 1058, E. faecium KCTC 3095, B. cereus KCTC 1013, B. subtilis KCTC 1023, S. aureus subsp. aureus KCTC 1916, B. megaterium KCTC 1098, B. sphaericus KCTC 1184 및 L. ivanovii subsp, ivanovii KCTC 3444 등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박테리오신을 SP-Sepharose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로 부분 정제한 후 RP-HPLC 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정제하여 tricine-SDS-PAGE를 통해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 약 3.4 kDa로 나타났다.

$H_2O_2$-생성 산화효소계에 관한 분석 연구 (Analytical Studies of $H_2O_2$-Producing Oxidase Systems)

  • 한영희;조혜림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874-880
    • /
    • 1993
  • 산소를 수용체로 하여 $H_2O_2$를 생성하는 산화효소인 glucose oxidase (GO) 와 alcohol oxidase (AO)를 이용하여 glucose와 ethanol에 대한 분광학적 효소분석법과 전기화학적 효소분석법을 연구하였다. Glucose에 대한 정량분석의 경우 GO 반응에서 생성된 $H_2O_2$를 peroxidase를 사용하여 $K_4Fe(CN)_6$에 반응시키고 그 결과 생성된 $K_3Fe(CN)_6$의 흡광도를 418 nm에서 측정하거나 Ag/AgCl (포화 KCl) 기준전극에 대하여 -55 mV를 부하시킨 유리질 탄소전극에서 $K_3Fe(CN)_6$의 확산전류를 측정하였다. 전류법 측정이 분광광도법 측정보다 1/1000 정도 더 낮은 농도까지 검출할 수 있었으며 직선성을 갖는 농도 범위도 10배 더 연장되었다. Ethanol에 대한 정량분석의 경우 $K_3Fe(CN)_6$가 AO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소거되었으므로 AO 반응만을 이용하여 $H_2O_2$의 생성속도를 +0.900 V에서 측정하거나 용존 $O_2$의 감소속도를 -0.500 V에서 전류법으로 측정하였다.

  • PDF

Tris(2-cyclohexylaminoethyl)amine-Zn(II) 착물의 안정성 (Stability of Tris(2-cyclohexylaminoethyl)amine-Zn(II) Complex)

  • 신용운;백현숙;양재경;김진은;서무룡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1-126
    • /
    • 2003
  • Cyclohexanone,과 tris(2-aminoethyl)amine을 이용하여 Schiff 연기 축합반응으로 tren의 유도체인 tris(2-cyclohexylaminoethyl)amine (L)을 합성하였다. 또한 합성한 tren의 유도체인 tris(2-cyclohexylaminoethyl)amine (L)과 Zn(II) 착물의 열역학적 특성과 안정도 상수, Zn(II)와의 착물 조성비 등을 순환전압전류법과 열량계법으로 측정하였다. Zn(II)과 [Zn(II)-L] 순환전압전류 곡선을 0${sim}$-1.5 V vs. Ag/AgCl의 가전압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금속인 경우, -1.02V와 -0.48V vs. Ag/AgCl에서 각각 환원피이크와 산화피이크가 나타났으며, 금속착물인 경우에는 -1.19V와 -0.45V vs. Ag/AgCl에서 각각 환원피이크와 산화피이크가 나타났다. 또한 피이크 전류(IP)는 주사속도의 평방근 $(v^{1/2})$에 비례하였으며 이것은 전류의 유형이 확산 지배적인 전류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Zn-L] 착물에 대해서 전압전류법적으로 구한 안정도상수는 logK$_f$ = 5.8, 결합비는 1:1을 나타내었다. 또한 열량계법적으로 [Zn-L] 착물의 열역학적 파라메타를 조사한 결과, 리간드 L과 Zn(II)는 1:1의 4 배위수를 가지는 착물을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때 25 ${\circ}$C에서 logK=5.4, ${\Delta}H$= -53.0 kJ/mol, ${\Delta}$G의 값은 -31.1 kJ/mol이었으며 T${\Delta}$S는 -21.9 J/K${\cdot}$mole이었다.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 내구성 평가 (Long-Term Durability Estimation of Cementless Concrete Based on Alkali Activated Slag)

  • 이현진;이석진;배수호;권순오;이광명;정상화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49-156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 및 황산염 침투 저항성과 같은 장기 내구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물-결합재비에 따라 원주형 및 각주형의 무시멘트 콘크리트를 제작한 후, 이들에 대해서 재령 28일부터 365일까지 NT BUILD 492 및 JSTM C 7401 각각에 따라 장기 염소이온 침투 및 황산염 침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 염소이온 침투 및 황산염 침투 저항성은 물-결합재비에 관계 없이 OPC 콘크리트보다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 내구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광음향 현미경법을 이용한 반도체 표면의 3차원적 구조 분석 (3-D Analysis of Semiconductor Surface by Using Photoacoustic Microscopy)

  • 이응주;최옥림;임종태;김지웅;최중길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53-560
    • /
    • 2004
  • 반도체 제작 과정에서 증착이나 식각, 회로의 검사 등에서 생겨날 수 있는 미세한 흠집이나 불완전성을 검사하기 위해 광음향 현미경법을 응용하였다. 반도체 표면에서 발생되는 광음향 신호를 측정하여 흠집의 형태와 깊이를 결정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분석하여 그 구조를 밝혔다. 또한 광음향 현미경법을 이용하여 진성 GaAs 반도체의 운반자 운송성질(비방사 벌크재결합 및 비방사 표면재결합)과 열확산도 및 시료 깊이에 따른 3차원 영상을 분석하여 진성 GaAs 반도체 열확산도 측정 시, 빛이 조사되는 표면조건에 따라 광음향신호의 주파수 의존성이 달라짐을 관측하였다. 실험결과 표면상태가 거친 면에서 매끄러운 면으로 갈수록 높은 주파수 의존성을 나타내었다. Si 웨이퍼 위에 임의로 제작되어진 흠집을 만들고 이를 광음향 현미경법으로 측정한 결과 광음향 신호는 변조되는 주파수와 웨이퍼의 열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통하여 흠집의 형태와 위치 및 크기를 확인하였다. 광음향 현미경은 반도체 소자나 세라믹 물질에 대하여 비파괴 검사와 비파괴 평가에 관한 연구가 가능하며 반도체 공정 과정에서 생겨날 수 있는 시료의 깨짐이나 결함 등을 검사하는데 응용 가능한 분석법임이 증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