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elfare state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 동물원의 동물복지 평가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animal welfare evaluation in Korean zoos)

  • 조경욱;최병인;김휘율;한진수;김진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1-99
    • /
    • 2009
  • The concept about zoo is changing from the animal exhibition which simply contained the animals to the ecological zoo which has the function of preserving the animal species. At the central point of maintaining such role, the basic principle called the animal welfare lies obviously. Korea has applied the animal welfare principles such as carrying out the enrichment in the zoos since 2003, but there has not been any institutional device to evaluate and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e animal welfare so far.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level of animal welfare in Korea and suggest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12 zoos in Korea were evaluated according to 68 evaluating categories. 'Five Principles of Animal Welfare' in the Secretary of State's Standards of Modern Zoo Practice were selected and carried out as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the result, from the highest to lowest score given, was 'provision of food and water', 'provision of protection from fear and distress', 'provision of health care', 'provision of an opportunity to express most normal behaviours', and 'provision of a suitable enrichment' with the overall score of the entire Korean zoos being 2.86 (${\pm}$ 0.56).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animal welfare of the Korean zoos, the animal management system must be standardized and organized. The evaluation and feedback, the active practice of animal welfare and its legislat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stablish an effective institutional device as well.

중년기가계의 노후대비 지출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nditure State of Midlife Households for Elderly Life지s Preparation)

  • 송혜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권1호
    • /
    • pp.133-14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nditure state of midlife households for elderly life stage and to find out the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upon these expenditure. The findings are follows: 1) The expenditure state was influenced by various as like wife’s age, couple’s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husband’s retiring allowance, monthly savings, whole assets of households, level of dependence upon own children, etc. 2) The demand for economic preparation, program about elderly life, information and welfare system was related to the practical expenditure state absolutely and relateve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husbands’retiring allowance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the expenditure state for the elderly life. In conclusion the rational distribution of economics resources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stage is very important for the economic welfare of households.

  • PDF

후기산업사회 지역복지정책의 발달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Framework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Local Social Policy in the Post-Industrial Era)

  • 장동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229-252
    • /
    • 2007
  • 최근 지역복지정책의 발달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비교사회정책 연구들이 국 내외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 실증분석에 기초한 이 연구들은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더욱 정교해지고 있지만, 이론적으로는 전통적인 거시 복지국가 발달이론의 틀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초기산업사회라는 특정 상황을 바탕으로 발전한 복지국가 발달이론들로는 후기산업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지역복지정책의 발달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지역복지정책 비교연구들이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온 대표적인 복지국가 발달이론들, 즉 산업화이론, 권력자원이론, 그리고 국가중심이론의 적용한계점을 논의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신사회위험론, 신공공관리론 그리고 정부간 관계론의 이론적 유용성을 검토한다. 최종적으로, 지역복지정책 발달의 비교분석을 위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 PDF

세계화와 한국의 사회복지 : 영향과 함의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Social Welfare in Korea)

  • 류진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4권
    • /
    • pp.117-145
    • /
    • 2001
  • This paper attempts to assess the impact and implication of globalization on social welfare in Korea. It is no easy task to give an exact definition of globalization and the concept has been used in many different senses, that is, economic, social, cultural, political globalization.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globalization is connected to the rise and expansion of neo-liberalism. Globalization tends to undermine national welfare systems by the social dumping, race to the bottom, privatization of social services, labor market flexibility. On the other hand, in many studies the negative impact of globalization on social welfare has been questioned. Instead of end or erosion of the welfare systems, it is emphasized that competitiveness and welfare may go hand in hand. We investigate the question what and how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Korea has been changed in globalization process. In order to answer,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welfare ideology, welfare programs, social stratification level after economic crisis. The result of analysis is that in contrast to globalist expectations which is to retrench social welfare, paradoxically, the welfare system in Korea has been reinforced in globalization process. Therefore, the alleged impact of globalization on social welfare will be independent on the structure of domestic institution, political legacies, and on the socialization of global politics such as IMF, World Bank, ILO, UNDP, etc., on the welfare politics of stakeholders in national state.

  • PDF

복지국가의 빈곤 추세와 변화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verty Trend and Driving Factors in Welfare States)

  • 김환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271-297
    • /
    • 2005
  • 본 연구는 룩셈부르크소득연구의 가구소득자료를 이용하여 1980년대 이래 서구 복지국가에서 빈곤의 실태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빈곤의 변화추세를 인구집단별 및 소득원별로 분해함으로써 경제사회구조 및 공적소득이전제도의 변화가 빈곤의 추세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대부분의 서구 복지국가에서 빈곤이 심화되는 추세에 있음을 보여 준다. 이처럼 빈곤이 심화되는 추세에 있는 것은 노령층이나 편부모가구 등 전통적으로 빈곤의 위험이 높은 인구집단이 증가하고 있는 때문만은 아니다. 노령층의 경우 연금제도 등 공적소득이전의 영향으로 인해 생산연령층에 비해 빈곤상태가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시장소득의 빈곤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편부모가구는 전반적으로 생산연령층 일반가구에 비해 빈곤의 정도가 심한 편이나 빈곤의 변화추세는 노동시장정책 및 공적소득이전제도의 차이에 따라 국가별로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서구 복지국가에서 빈곤이 심화되는 것은 무엇보다 생산연령층 인구의 빈곤, 특히 시장소득 빈곤이 심화되고 있는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경제의 세계화와 노동시장 유연화에 따른 실업 및 비정규직의 증가, 저임금 노동자의 증가 등 최근의 경제환경 변화가 생산연령층 인구의 빈곤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분석과 함께 이 계층에 대한 빈곤정책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 PDF

김대중·노무현 정부 복지국가 성격에 관한 연구 : 국민건강보험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Nature of the Welfare State under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Regime: Focusing on Civic Participation in th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dure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 이수연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31-54
    • /
    • 2011
  • 본 논문은 건강보험정책결정과정에서의 참여민주주의를 중심으로 김대중·노무현 정부 복지국가 성격을 연구하였다. 참여민주주의는 한국 민주주의의 질적 발전 보다는 외환위기 이후 자본주의 구조조정을 위한 정치적 정당성 확보 전략에 의해 도입되었다. 따라서 참여민주주의가 복지국가 발전의 한 지표인 보장성강화를 획득해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이념 추구, 국가재정책임성 미약, 정책결정과정에 가입자의 실질적인 참여 배제로 2007년 보장성강화정책은 결국 실패로 돌아가게 되었다. 과거 복지제도와 마찬가지로 김대중·노무현 정부 참여민주주의제도도 정치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도입되었으나 경제성장우선이데올로기의 제약하에서 운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참여민주주의제도는 '서비스'가 아닌 '권력'형태의 제도라는 점, 참여민주주의제도로 인한 권력의 부여가 보장성 강화요구를 통해 복지국가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과거 복지국가와는 차별적이다.

사회복지사 정치참여 실태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social worker's the political participation state and an influenced factor)

  • 김교연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 /
    • pp.651-673
    • /
    • 2005
  • Politica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social worker is changed and politics participation activity is putting forth with a bud. Currently,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 in study of social worker's the political participation is short.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action and will present political participation action contents and direc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may give practical meaning to the social welfare practice and educational scope about what we must do to become a political influence the group. The object of this study is 1229 people in choosing social welfare politics participation investigation committee data. A participation of Korean social worker appeared that a meeting or a demonstration is high when comparing the United States. Also, electioneers, and, government bureaucrat contact, financial contributions is a half experience. The strong variable in explaining social worker's the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 politics efficacy, politics interest.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s interest, a joining and a political behavior proposal of an association is a influenced factor. Through this result The Civic Volunteer Model is a theory to able to explain social worker's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pproach growing the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s interest is very important in activating politics participation. Role of a social welfare association or a group was important in order to induce politics participation and concentrate.

  • PDF

근로빈곤 결정의 제도 동학: 노동시장과 가구, 복지국가 분배 과정 분석 (Institutional Dynamics of In-Work Poverty Determination: Distributive Process of Labor Markets, Households, and the Welfare State Using Korean Welfare Panel Study, 2008-15)

  • 류기락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4호
    • /
    • pp.71-10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4-11차년도(2008-15)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근로빈곤의 구조와 동학을 가구-노동시장-복지국가의 분배과정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간 근로빈곤 연구가 근로 및 빈곤 개념의 규정과 측정 문제를 주로 다루고 노동시장에서의 취업 및 실업 지위의 지속과 반복을 통해 빈곤 동학을 규명해 왔으나, 상대적으로 제도의 분배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는 드물었다. 본 논문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임금 소득 확보, 가구 단위에서의 복지 욕구 충족과 가구원 간의 소득공유, 복지국가 단계에서의 사회보장기여금과 소득세 납부 및 공적 이전소득이 근로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근로빈곤은 전반적으로 2008-11년까지 각 단계에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그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노동시장 단계에서는 전일제 노동 여부가 근로빈곤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종사상 지위와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빈곤률의 차이도 두드러졌다. 가구 단계에서는 가구 노동 강도와 소득자수가 빈곤률과 빈곤탈출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그 관계가 반드시 선형적이지는 않았다. 복지국가는 근로빈곤 탈출에 미치는 영향이 전반적으로 작았다. 제도의 분배과정 관점에서 근로빈곤 집단은 주로 가구-복지국가 단계, 혹은 노동시장-가구-복지국가 단계 내내 근로빈곤 위험에 처하고 있었다. 모든 단계에서 근로빈곤 위험에 노출이 된 적이 없는 비위험 집단은 약 80%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그 규모에는 큰 변동이 없었다.

영국 사회주택정책의 변화 연구 - 보수당 집권기간(1979-1997)을 중심으로 - (Changing Face of the British Social Housing Policy - Under the Conservative Government, 1979-1997)

  • 이영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289-317
    • /
    • 1998
  • 본 연구는 18년간의 보수당 정권 하에서 영국의 사회주택정책이 겪은 변화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고찰함으로써 그 성격을 파악하고 무리 나라에 유용한 정책적 합의를 획득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연구자는 연구를 위하여 1년 동안 영국에 머물면서 주제와 관련된 1,2차 자료들은 물론, 현지 학자들의 의견에 직접 접할 기회도 활용하였다. 사회주택정책의 변화는 70년대 경제 위기 이후의 영국 복지국가 재편작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보수당 정부는 시영주택의 대규모 매각 등 민영화와 시장화 정책을 정열적으로 추진하였으며, 공공지출의 삭감과 보조금 제도의 개혁 등을 통하여 이를 뒷받침하였다. 정책변화의 결과 주거유형의 분포와 지방정부의 역할 등에서 가시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사회정책적으로는 주택부족, 공공부문의 잔여화 현상, 주거비 부담의 증대, 보조금 배분의 역진성, 의존의 증가 둥 부정적 현상이 두드러졌고, 목적했던 공공지출의 삭감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복지국가 위기에 대한 신자유주의적 대응은 국가역할의 철폐가 아닌 재 정향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를 복지국가의 변화된 모습 둥은 우리나라 사회주택정책의 정립과 복지국가 모델의 형성을 위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