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service user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2초

뇌 병변 장애아동을 위한 책상 개발의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esk for Children with Cebral Palsy)

  • 조숙경;박정임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35-4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sign and develop the user centered desk which considered children with cebral palsy in Korea.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desk were performed the convergence study of the University Department of the Social Welfare and the Living Furniture Design. First of all, the 2 students and their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alyzed the literature, observed the children with cebral palsy and the needs survey of the service providers of a Welfare Center for children with cebral palsy. All of the information gathered were provided for the Department of the living Furniture Design. Second, the 2 students and their professor of the Department the Living Furniture Design proceeded the design concept, mocked up the desk for the children with cebral palsy. This was the user centered desk which considered of the features of children with cebral palsy body. Based on the results, the convergence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산림복지시설별 이용객 특성과의 관계 분석: 대응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characteristics by Forest Welfare Facilities: Focusing on Correspondence Analysis)

  • 김동훈;강병훈;이은지;강희지;이정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1-13
    • /
    • 2024
  • 본 연구는 산림복지시설과 이용객 특성 간 연관성 및 결합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22 산림복지 시설·공간 이용객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국립자연휴양림, 국립숲체원, 국가숲길, 국립치유의숲 등 4개 시설을 대상으로 범주형 자료분석인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 결과, 산림복지시설별 연령대, 월평균 가구소득, 교통수단, 동반유형, 정보습득 경로, 방문목적은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대응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숲체원과 치유의숲이 연령대, 월평균 가구소득 등 인구통계학 특성에 따라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구별된 이용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숲길 이용객의 교통수단은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차이점을 보였으며, 숲체원은 공적인 성격의 단체방문 유형과 관련기관 및 시설 홈페이지 및 온라인 포털사이트로부터 정보 습득, 그리고 교육 및 학습·체험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적과 연관성을 보이는 등 동반유형, 정보습득 경로, 방문목적이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구별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복지시설과 이용객 특성 간 연관성과 결합 양상이 확인되었으며, 대응분석을 통해 산림복지시설 이용객 자료 활용성의 범위를 확장하였다고 판단된다.

영국 사회서비스 담론 분석 -두 개의 축에 따른 네 가지 지형- (An Analysis of Social Service Discourses in Britain -Four Areas by Two Axes-)

  • 김보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1호
    • /
    • pp.299-324
    • /
    • 2012
  • 2007년 바우처 사업 실시 등 사회서비스가 재정, 공급자, 서비스 등에서 다각적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이 과정에서 도입된 선택과 경쟁을 중심으로 한 시장적 접근에 논란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한편으로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이동을 의미하기도 하며 이것은 국제적으로 나타나는 흐름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회서비스의 역사적 발전을 경험한 영국에서 나타났던 사회서비스 담론을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적 분석을 하였다. 이 분석에서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이동하는 사회서비스 담론의 흐름이 집합주의와 개인주의라는 또 다른 축으로 구분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사회서비스 담론을 가르는 이 두 개의 축은 우리나라 사회서비스 논의에 이론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바우처 제도의 이용자 선택권 강화가 돌봄노동자에게 미친 영향과 그 의미 (Enhanced User Choice of Voucher Program and its Impact and Implications on Care Worker)

  • 김송이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281-307
    • /
    • 2016
  • 본 연구는 이용자 선택권 강화 맥락에 초점을 두고 바우처 도입 이후 돌봄노동자에게 나타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바우처 도입 이후 돌봄노동자들의 고용, 해고, 노동강도 등에 서비스 이용자들이 미치는 영향력이 강화됨에 따라 돌봄노동자들은 노동지위의 취약화와 노동 의미와 상실, 돌봄노동자로서의 정체성 혼란 등 '노동소외'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노동자의 노동소외는 사회서비스 질 향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양질의 사회서비스 공급을 위해서는 서비스 이용자의 권리 향상과 더불어 돌봄노동자의 인권 및 노동권 보호 논의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일본 고령자복합시설과 데이서비스센터의 복합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es of Multi-Functional Welfare Facilities and Day Service Centers for the Elderly in Japan)

  • 박혜선;오은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2-71
    • /
    • 2007
  • Due to the shortage of elderly care services in urban areas, multi-functional welfare facilities are proven to be very effective for delivering various service needs of elderly in Japan. Introduction of new longterm care policy for elderly in Korea would change many aspects of elderly care service facilities. Especially elderly home care services like adult daycare centers will expand drastically after beginning of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nd analyze multi-functional welfare facilities in Japan focusing on the types of day service in those facilities. Planning of daycare centers in multi-function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can be classified to 8 types. Those types are daycare centers with senior housing, longterm care insurance facilities, senior centers, small multi-function facility, medical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community facilities and general housing projects. Each type has different benefits for the networking of services for the elderly. Design of daycare centers in multi-functional welfare facilities have distinctive features in entrance and user approach, space allocation and circulation planning. The study of daycare centers and multi-function planning should be followed to make better home care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in Korea.

바우처를 활용한 사회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Service Satisfaction Using Voucher - Focusing on the Community Social Investment Service -)

  • 신창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137-161
    • /
    • 2012
  • 바우처를 활용한 사회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성과평가가 강조되고 있으며, 바우처의 이용자중심 재정지원방식이라는 특성상 이용자 측면의 평가인 이용자 만족도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 바우처 사회서비스의 성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바우처 사회서비스의 성과를 이용자 만족도로 규정하고, 서비스 이용자의 특성과 서비스 제공기관의 조직 특성을 고려하여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지역개발형 서비스 이용자 1445명과 서비스 제공기관 70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이용자수준과 조직수준의 다층분석에 적합한 위계선형모형(HLM)을 사용하였다. 사회복지서비스 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바우처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이용자수준(수요측면)과 조직수준(공급측면)의 변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러한 변인들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자수준에서는 성, 욕구수준이 이용자 만족도의 차이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며 조직수준에서는 서비스유형과 지역 및 기관유형 변인이 제공기관 간 이용자 만족도의 차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바우처 사회서비스 정책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이용자 참여의 개념 구조: 한국장애인복지에 대한 함의 (Conceptual Structure of User Involvement and Implications on Korean Disability Services)

  • 김용득;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39-64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장애인복지계에서 활발히 논의되는 이용자 참여의 개념구조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한국 장애인복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참여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을 정리하고, 이용자 참여의 개념 및 이해의 틀을 형성하기 위해 참여의 차원, 참여 정도, 참여모델, 주요 동력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이용자 참여의 기제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 참여의 기본전제와 참여 영역, 지원요소에 대해서도 다각도로 논의하였다. 이를 기초로, 이용자 참여 활성화를 위한 한국 장애인복지의 과제를 이용자 참여의 영역과 지원요소의 틀(framework)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한국 장애인복지에의 적용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PDF

서비스 전달과정에서의 이용자 권한 강화 방안에 대한 고찰 - 장애등급제 폐지 및 직접지불제도를 중심으로 - (Study on strength of user's right in service delivery process - abolishing classification of disability and introducing direct payments -)

  • 이승기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327-347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과정에서 장애인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두 분야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나는 서비스 전달체계가 공급자가 아닌 이용자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서비스 전체과정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서비스의 생산 및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서비스 기관에 보조금으로 지급하는 것에서 벗어나 이용자인 장애인에게 현금으로 지급하여 서비스에 대한 장애인의 선택권과 통제권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애등급제 폐지 논의를 계기로 전달체계의 새로운 대안 논의가 진해 중에 있으나 이러한 논의는 장애인 이용자의 권한을 강화한다는 원칙아래 진행되어야 장애인 중심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이용자의 권한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서비스에 해당하는 현금을 장애인에게 직접 지급하는 직접지불제도의 도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 바우처 제도가 이미 발전되어 있어 직접지불제도의 실현 기반이 마련되어 있음을 논의하였다.

스마트 장기요양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만족도 개선방안 도출: 심층 인터뷰와 토픽 모델링 활용 (User Satisfaction Enhancement of 'Smart Long-Term Care' Mobile Application: In-depth Interview and Topic Modeling)

  • 홍서의;안재영;권영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3-179
    • /
    • 2022
  • Two dominant phenomena in modern world; population ageing and digitalization, have led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o heavily rely on B2C(Business-to-Consumer) mobile applications. Yet, fatal concerns and complaints have often been raised by the mobile application users, notably from social welfare sector. With the continual expansion of digital landscape as well as the growth of life expectancy, usage of mobile applications has become prevalent across the stakeholders involved in social welfare sector. 'Smart Long-Term Care (SLTC)', inter alia, is a primary example of such mobile applications, designed to support Long-Term Residential Care (LTRC) service. The main goal of SLTC is to serve more convenient and practical LTRC service for both caregivers and care receivers. To examine user satisfaction of SLTC mobile appli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existing challenges and means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Hence, we conducted this study using two methods: in-depth interview and topic modeling. Interestingly, two research outcomes commonly indicated that 5 factors (stability, accessibility, usefulness, responsiveness, and ease of use) were found significant in affecting user satisfaction of SLTC.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aforementioned factors can be seen as potential causes of the genuinely low user satisfaction. Eventually, this work will be a stepping-stone to elevate the overall quality level of LTRC service along with the user satisfaction degree of SLTC mobile application.

장애인 복지정책에서의 이용자 참여 강화: 독일의 개인예산제도를 중심으로 (Strengthening User Involvement in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through Case Studies 'Personal Budgets' of Germany)

  • 남용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732-742
    • /
    • 2014
  •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 복지서비스의 공급이 여전히 부족하고, 전달체계도 주로 공급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장애인 복지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장애인 당사자의 실질적인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중심, 즉 이용자의 자율성과 주도성 및 통제권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장애인복지와 관련하여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이용자 참여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이용자 참여' 강화의 사례로서 독일의 개인예산제도를 고찰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독일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독일은 개인예산제도의 도입과 운영을 통해 기존에 시행되던 장애인복지와 관련한 지원제도의 지급방식을 전환함으로써,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실현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용자 참여를 강화하는 추세로 장애인 복지정책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