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ighed record method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카메라폰을 이용한 식이섭취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Intake Survey Method Using a Cameraphone)

  • 장은재;고신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8-205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using a cameraphone for a dietary intake survey method. The subjects were 28 female college students. After eating a standard lunch meal which consisted of plain rice, seaweed soup, bulgogi, cucumber salad, roasted anchovy and kimchi, the quantity of dietary intake, calorie intake & nutrients intake were analyzed by weighed method, diet record method and cameraphone method by dietitian with k without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ntity of 6 foods intake between weighted method and camera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 camera phone analysis training. However, the quantity of seaweed soup, bulgogi & cucumber salad intake analyzed by diet record metho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And the quantity of seaweed soup, bulgogi, cucumber salad, roasted anchovy and kimchi intake analyzed by the camera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out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lorie intake and nutrients intake between the weighted method and camera 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However, protein, calcium, iron, phosphorous, Vitamin A, Vitamin $B_2$, Vitamin E and cholesterol intake analyzed by diet record metho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And fat and Vitamin $B_2$ intake analyzed by the camera 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out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the camerephone may be a valid and convenient method fur evaluating a dietary intake survey. However, systematic and standard education is necessary about the size and volume of dishes and angle of photo for more accurate results.

음식사진을 이용한 식사섭취량 조사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Food Photographs for Estimating Individuals' Dietary Intake)

  • 권종숙;김경민;김혜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60-775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food photographs for estimating individuals' dietary intakes and compare it with other dietary assessment methods. Subjects were 7 professors, 2 researchers, 12 dietitian and 16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Among the subjects, 20 subjects had research experiences in the dietary intake survey more than one year while 17 had not. Each subject estimated 50 food portions displayed in computer monitor by comparing with standard food photographs, which were weighed portions of 28 foods from typical Korean die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stimated value and the weighed value of 17 (34%) food portions were shown in research-experienced group and those of 14 (28%) food portions were shown in no-researchexperienced group. 24-hour recall was the most frequently-used method for dietary assessment followed by in the order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dietary record, diet history and weighing method. After estimating food portions by photographs, 30 subjects (81%) were willing to use the method for dietary assessment because of its convenience and easy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 and subject. This study suggests that digital photography method would be a useful and convenient new instrument for estimating individuals' dietary intak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reate standard database for food portions and carry out systematic education for food estimation in order to apply this method in the fields.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1회 섭취분량 제시여건에 따른 정확도에 관한 연구 (Validity of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y Conditions of One Portion Size)

  • 김미자;김영옥;김석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73-280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improvement of Validity fo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FFQ) by offering multiple choice portion size in developing a questionnaire. Validity of the two methods(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FFQ I &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I=FFQ II) was tested in comparison with reference method of the 7-day weighed record(7DWR). Dietary consumption data of the three methods(FFQ I, FFQ II & 7DWR) were collected from 101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the analysis. Validity was measured in two categories : One was the nutrient intake value from the three methods, the other was the identification of between individual variation within the group. Spearman's rank order correlation test and distribution graph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individual intake value of the FFQII was closer to that of the 7DWR than that of the FFQ I.Spearman's rank order correlation between the FFQII and the 7DWR did not show any improved correlation. The distribution graphs of nutrient intake derived from both the FFQ I and the FFQII we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7DWR.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single one portion siz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s an equally efficient method as a multiple choic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be adopted in epidemiologic studies.

  • PDF

경기도지역 어린이집의 단체급식 중 나트륨 함량 실태조사 연구 (Survey on the Sodium Contents of Nursery School Meals in Gyeonggi-Do)

  • 정홍래;이명진;김기철;김중범;김대환;강석호;박종석;권광일;김미혜;박용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26-534
    • /
    • 2010
  •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경기지역 6개 도시 12개소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여름철과 겨울철에 각각 5일간 현지 출장하였으며, 실측량 기록법으로 단체급식에 제공되는 식품의 섭취량을 조사하였고 총 601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식품 중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 연구하였다. 조사결과 어린이집의 한 끼니 당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582.2 mg으로 세계보건기구와 세계농업기구(WHO/FAO)의 성인 섭취 권장량의 2,000 mg/1일의 29.1%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어린이임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양이다. 어린이집의 나트륨 섭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식품군은 국 및 탕류로 어린이집 나트륨 섭취량의 35.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에서 나트륨 섭취를 줄이는 방법이 어린이집에서 효율적인 나트륨 섭취 저감화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여름철과 겨울철의 나트륨 섭취량은 각각 572.3 mg, 592.3 mg으로 나타나 겨울철의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지역 특성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은 공단지역이 가장 높은 696.4 mg으로 나타났고, 가장 섭취량이 적은 지역은 아파트단지로서 514.3 mg이었다. 영양사의 배치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은 영양사가 배치되지 않은 어린이집이 545.1 mg으로 영양사가 배치된 어린이집 619.4 mg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나트륨 섭취량(mg)/한 끼 섭취량(g) 비를 조사한 결과 유의적 차이는 식품의 나트륨 함량과 식품의 섭취량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조사결과 어린이집에서 나트륨 섭취량 저감화를 위해서는 어린이집 단체급식의 종사자에 대한 나트륨 교육 및 실질적인 나트륨 측정방법 교육 등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조사는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 중 나트륨 저감화 정책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나트륨 저감화 사업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단체급식 종사자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경기도지역 어린이집 단체급식에서 당 섭취량 조사연구 (A Survey on Sugar Intake in Meals from Nursery Schools in Gyeonggi-Do)

  • 정홍래;박용배;이명진;김기철;김중범;김대환;강석호;박익범;박종석;권광일;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82-188
    • /
    • 2011
  • 어린이집 단체급식에서 제공되는 601건의 식품 중 당 함량을 조사 연구를 통해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실측량 기록법을 사용하여 경기지역 6개 도시 12개소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여름철과 겨울철에 각각 5일간 현지 출장하여 실측량을 측정하였다. WHO/FAO에서 당 섭취량을 전체 섭취 열량의 10% 미만으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어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3-5세 섭취열량 1400 kcal를 기준으로 볼 때 35 g 이하의 당류를 섭취하여야 한다. 조사결과 어린이집의 한 끼니 당 평균 당섭취량은 2.22 g으로 나타나 어린이 단체급식에서 당의 섭취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식단에서 당 절임식품 사용으로 당의 과잉 섭취가 우려되고 있어 당 절임식품의 사용을 자제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과 겨울철 끼니 당 평균 당 섭취량은 각각 1.83 g과 2.61 g으로 겨울철에 당의 섭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특성에 따른 당 섭취량 조사결과 아파트지역에서의 끼니 당 평균 당 섭취량은 2.42 g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농촌지역은 가장 낮은 끼니 당 평균 당 섭취량이 1.41 g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특성에 따른 식품의 차이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며 단당류, 이당류의 사용을 자제하고 올리고당을 사용했기 때문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단체급식 및 식단에서 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도 단당류와 이당류와 같은 당 섭취를 줄이는 좋은 방법이라 사료된다. 영양사의 유무에 따른 당 섭취량은 영양사가 없는 집이 2.15 g, 영양사가 있는 어린이집 2.29 g으로 나타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조사는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 중 당 저감화 정책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향후 당 저감화 사업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단체급식에 종사자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