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control

검색결과 731건 처리시간 0.031초

일본잡초학회에서 본 일본의 잡초연구 동향 (Report on the 54th annual meeting of the weed science society of Japan)

  • 황재복;김경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35-339
    • /
    • 2015
  • 일본잡초학회를 참석하여 잡초방제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잡초방제 연구의 발전방향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잡초연구, 잡초관리, 제초제, 그리고 해외동향 등이었다. 일반강연 49편, 포스터 발표 45편이 었다. 학회 일정 중에 미니심포지엄이 소분과로 나누어 각각 개최되었고, 젊은 과학자의 모임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일본도 우리나라와 같이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잡초의 증가 및 외래잡초의 관련연구의 비중이 높고, 친환경 방제를 위한 식물체 유래 제초활성 물질 탐색, 저항성 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Weed Flora and Management Practices in Peach Orchard Fields in Korea

  • Jia, WeiQiang;Hwang, Ki Seon;Won, Ok Jae;Lee, In-Yong;Lee, Jeongran;Roh, Suk-Won;Park, Kee Wo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09-116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wo surveys in 2015 to monitor weed occurrence and determine the most troublesome weeds in peach orchards of Korea. The first survey identified 56 taxa belonging to 23 families including 27 annuals, 11 biennials, and 18 perennials. Based on importance values, Conyza canadensis (5.12%), Plantago asiatica (4.17%), and Trifolium repens (3.86%) were the dominant weeds in the first survey (from April to June). Seventeen exotic weeds were identified in the first survey, including Conyza canadensis, Trifolium repens, and Chenopodium ficifolium. The second survey (from September to October) identified 42 weeds belonging to 19 families including 23 annuals, 5 biennials, and 14 perennials. According to importance values, Digitaria ciliaris (8.00%) was the most dominant weed, followed by Echinochloa utilis (6.61%) and Rorippa palustris (6.48%). There were 12 exotic weeds, including Taraxacum officinale, Rumex crispus, and Trifolium repens. Additionally, according to Braun-Blanquet's scale showed that the dominance value was level 1 (41.98% and 46.43%, respectively) in two surveys. Currently, 40% of the total surveyed peach orchards applied herbicides for weed control. These results could provide basic data to assist orchardists in selecting the most suitable weed management methods; thereby, reducing labor inputs and effectively lowering costs while improving fruit yields in peach orchards of Korea.

Chemical Control of Weed for Flax

  • Kwon, Byung-Sun
    • Plant Resources
    • /
    • 제7권2호
    • /
    • pp.110-11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erbicides on weed control,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flax, after direct seeding it to the field, the herb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emergence period. The major weeds were decreased some what more with mecoprop-wp, herbicide than the other herbicides and by hand weeding. Mecoprop-wp and simazin-wp were had no injury but sethoxydim-EC and 2.4-D-wp were slighthy harmful for the flax with recommended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all herbicides were harmful in the double dosage level

  • PDF

수수 지상부의 부산물과 추출물의 제초활성 (Weed Control Efficacy of the Residues and its Aqueous Extract of Sorghum Shoots)

  • 박수혁;원옥재;;엄민용;황기선;황재복;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43-248
    • /
    • 2015
  • 본 연구는 수수 지상부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초활성을 검정하며 생물제초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수수 지상부 분말을 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피, 바랭이, 어저귀, 털비름의 발아 억제율은 최대 40% 정도였으며 발아한 개체들의 지상부 생육억제율은 광엽잡초인 어저귀와 털비름에서 최대 30%, 화본과잡초인 피와 바랭이에서는 3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수수 지상부 추출물의 발아억제 효과는 피를 제외한 바랭이, 어저귀, 털비름에서는 $25mg\;ml^{-1}$ 이상의 농도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50%의 발아를 저해하는 농도가 피에서는 $60mg\;ml^{-1}$였으나 나머지 세 초종에서는 $1060mg\;ml^{-1}$ 이하로 작게 나타났다. 경엽처리활성을 높이기 위해 선발한 11개 전착제 중 DOS70, TM15, TDE7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DOS70는 주요 잡초종을 60%까지 방제할 수 있었다. 비록 수수 지상부 부산물의 잡초방제효과가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장기적인 처리에 의한 잡초종자 및 개체밀도의 점진적인 경감이 기대된다.

제초제(除草劑) 신기능(新機能) 작물품종(作物品種) 이용(利用) 잡초방제(雜草防除) 기술(技術) (Weed Management Using a Potential Allelopathic Crop)

  • 김길웅;박광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0-93
    • /
    • 1997
  • Allelopathic compounds as naturally occurring herbicide have originally reported from local vegetation since B.C. 300. These compounds are known as secondary plant metabolites which released from plants into the environment often attract or repel, nourish or poison other organisms. In recent, many natural plant allelochemicals be used to attempt to biologically or ecologically control weed among worldwide weed scientists. Some allelochemicals have also used as fungicides, insecticides, and nematodicides, and were less than man-made agrochemicals to damage the global ecosystem. It makes efficient use of resources internal to the farm, relies on a minimum of purchased inputs. Some scientists selected for allelopathic activity when breeding weed-controlling cultivars of rice, sorghum, cucumber, surflower etc. Thus, this paper is focused on allelopathic compounds isolated from cultivated crop with the high potential of prospective herbicides. The most environmentally acceptable and sustainable approach to utilization of allelopathy for weed control is to develop plant cultivars with proven allelopathic characteristics. In rice accessions, there are 60 cultivars/lines which have known as allelopathic activity and some of these cultivars control weed more less 90% within certain radius of activity. These accessions are originated from 15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USA, India, Philippines, Indonesia, Laos, Taiwan, Afghanistan, Mali, Pakistan, Colombia, Egypt, China, and Dom. Rep. From these cultivars, the most common allelopathic compounds identified in rice are p-Hydroxybenzoic, Vanillic, p-Coumaric, and Ferulic acids. In addition, allelopathic lines of the following crop have shown inhibition of weed growth : beet (Beta vulgaris), lupin(Lupinus spp.), com(Zea mays), Wheat(Triticum aestivum), oats(Avena spp.) peas(Pisum sativum), barley(Hordeum vulgare), rye(Secale cereale), and cucumber(Cucumis sativus). Thus, future allelopathy research must be designed its potentially phytotoxic propertices and the ecotoxic features of the allelochemicals from release to degradation ; its ecological sustainability, its allelopathic effect in early growth. stages, and selectivity properties in combination with chemical stages, and selectivity properties in combination with chemical concentrations. Also, research approach in allelopathy might be screened for highly allelopathic germplasm collection of crops, the idea being to ultimately transfer this agronomic character into improved cultivars by either conventional breeding or other genetic transfer techniques.

  • PDF

호밀 리빙멀치, 토양환원, 예취처리가 유기농 콩밭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Weed Occurrence as Influenced by Living Mulch, Soil Incorporation and Cutting Treatment of Rye in Organic Soybean Field)

  • 이병모;이지현;오영주;이상범;강충길;지형진;이종형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4-170
    • /
    • 2010
  • 유기농 콩 재배에 가장 문제가 되는 잡초를 억제하기 위하여 호밀을 피복작물로 이용하여 콩을 재배하였다. 호밀의 이용방법에 따른 잡초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하여 리빙멀치(living mulch), 토양 환원, 호밀 예취구를 두었고, 콩의 재식밀도와 호밀 파종밀도를 다르게 처리하여 잡초의 발생 양상을 비교하였다. 호밀을 리빙멀치로 이용한 처리구가 잡초의 발생과 생 육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콩 파종 한달 후의 잡초 억제율은 리빙멀치구가 92.5%에 달하였으며 15일 예취구가 75.4%, 토양 환원구가 67.1%, 30일 예취구가 61.3%에 달하였다. 호밀의 파종 밀도에 따른 효과는 처리구간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콩 생육 후기에는 호밀 2줄 파종이 호밀 1줄 파종보다 다소 우수하였다. 콩 재식거리에 따른 효과도 호밀 파종 밀도의 결과와 비슷하여 밀식과 소식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of Allium tuberosum Rottler and Weed Control

  • Kim, Jin-H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2-24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the growth of Chinese chive (Allium tuberusum Rottler) and weed control. Chinese chive was grown under five mulching materials, pine leaf, oak leaf, rice straw, rice hull and sawdust,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rom June 20, 2009 to September 30, 2009. Amaranthus mangostunus, Digitaria sanguinalis, Portuclaca. oleracea, Echinochioa crus-galli var. frumetacea and Setaria viridis were dominant weeds. Both pine and oak leave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mulching materials in terms of weed control indices in both nursery and field. Soil moisture contents were 1.2~3.7% higher in mulching, especially in oak leaf mulching. Mulching with pine leaf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sheath length, leaf length, bulb-, root- and leaf-weights and yield of Chinese chiv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mulching materials although better than those in non-mulching.

사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이 제초효과 및 과실생산에 미치는 영향 (Weed Control Efficacy and Production of Fruit according to Several Weed Control Methods in an Apple Orchard)

  • 장일;강지은;김향미;박용석;이정득;서상재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04-110
    • /
    • 2015
  • 사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에 따라 제초효과 및 과실 생산량, 약해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시험처리는 부직포피복구, 초생재배구, 기계제초구, 제초제(GFA, Glufosinate ammonium SL 18%) 2회 및 3회 처리구와 무처리구를 두어 200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반복실험하였다. 시험 결과 처리별 방제효과는 부직포피복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GFA 3회 처리 98.7%, 기계예초 95.1%, GFA 2회 처리 81.5%, 초생재배 5.8% 순이었다. 잡초방제 방법에 따라 과실 생산량은 GFA 3회 처리 27.2 Kg으로 시험구 중 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GFA 2회 처리 26.2 Kg, 기계제초구 25.3 Kg, 부직포피복구 24.1 Kg, 초생재배구 20.4 Kg, 무처리 13.3 Kg 순이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잎, 과실에서 약해 발생은 없었다.

잡초(雜草)의 경합기간(競合其間)이 찰옥수수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Duration of Weed Control Time on Growth and Yield of Waxy Corn(Zea mays Ceratina))

  • 송득영;구연충;이상복;성기영;신동일;구한모;김성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5-302
    • /
    • 1997
  • 잡초경합기간(雜草競合期間)이 찰옥수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5년에 수원(水原)에서 찰옥1호를 공시(供試)하여 무제초, 파종후 10, 20, 30, 40, 50, 60, 70, 80, 90일간 제초 및 완전제초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과 옥수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포장(供試圃場)의 우점잡처(優占雜草)는 명아주, 피, 여뀌, 개기장 순(順)이었는데 명아주의 우점도(優占度)가 가장 높았다. 2. 발생(發生)한 잡초(雜草)의 형태적(形態的) 특성별(特性別)로 보면 광엽잡초(廣葉雜草),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 사초과잡초(莎草科雜草)의 순이었다. 3. 찰옥수수 생육(生育) 및 수량에 영향(影響)을 미치는잡초(雜草)의 경합기간(競合期間)은 출사기(出絲期)가 파종후 30일간 제초하였을 때까지 였으나 간장, 수장, 이삭중, 주수 및 이삭수는 파종후 40일간 제초한 때까지였다. 4. 찰옥수수의 수량(收量)은 잡초(雜草)와의 경합기간(競合期間)이 길면 길수록 감수정도(減收程度)가 컸으며, 파종후 20일, 30일 및 40일간 제초구는 완전제초구에 비해 각각 76, 64, 33%가 감수(減收)되었으나 파종 후 50일간 제초구부터는 완전제초구와 수량(收量) 차이(差異)가 없었다. 5. 찰옥수수의 수량(收量)과 수량구성요서간(收量構成要素間)의 상관(相關)에서 수장(穗長), 이삭중(重), 주수(株數) 및 이삭수(數)가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여 찰옥수수의 수량감소(收量減少)는 잡초(雜草)와의 경합(競合)에 의한 이 요인(要因)들의 감소(減少)에서 기인(起因)된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6. 잡초(雜草)에 의한 찰옥수수의 수량감소(收量減少)를 방지(防止)하기 위하여는 찰옥수수 파종후 50일까지의 잡초(雜草)는 제거(除去)하거나 발생(發生)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GIS 이용 잡초관리체계 연구 - 1. 우리 나라 논 잡초 발생밀도의 지역 및 연차변화 (GIS Application in Weed Management System - 1. Regional and Yearly Shifts in Weed Population)

  • 박광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6-363
    • /
    • 1998
  • GIS를 이용한 1981 및 1992년도 우리 나라 전국 논잡초 발생량의 차이를 단위면적당 발생 본수 및 건물중을 가지고 분석한 지도자료를 통하여 보면 각각 다음과 같다. 1. 1981년과 1992년의 발생본수로 본 잡초발생 경향은 충청서부지역은 양년 모두 잡초발생이 많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1981년에 비교적 많은 발생량을 보였던 강원일부지역은 1992년에는 발생본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1981년에 발생량이 적었던 전남남부지역의 발생량이 많은 것이 특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1981년도의 우리 나라 논잡초 발생 량을 건물중으로 분석하여 볼 때 1992년도에 비하여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발생지역은 중서부지역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981년도에 상대적으로 논잡초 발생량이 많았던 지역은 충남 당진, 서산, 태안, 청양, 대천, 보령, 공주 등이었다. 또한 건물중으로 볼 때 1992년도 우리 나라 논잡초 주요 발생지역은 중부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992년도 논잡초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지역은 경기도 화성, 안성, 용인, 시흥, 강원도 원주, 충북의 중원, 제천, 청원, 보은, 옥천, 영동, 충남의 대전, 예산, 대천, 서산, 당진, 태안, 청양, 보령, 서천, 천안, 아산, 연기, 공주, 부여, 논산, 금산지역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