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test retrieval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9초

웹 문서 검색을 위한 검색어 추출과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eyword Extraction and Expansion for Web Text Retrieval)

  • 윤성희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9호
    • /
    • pp.1111-1118
    • /
    • 2004
  • 웹 문서 검색 시스템 사용자에게 자연어 질의를 입력하는 방법은 가장 이상적인 인터페이스이다. 본 논문은 자연어 질의를 입력하는 웹 문서 검색 시스템을 위해 자연어 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입력 질의 문장을 구문 분석한 후 검색어를 추출하고 확장하는 다중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질의문에 대한 형태소 분석 및 구문 분석을 수행하고, 구문 트리를 순회하여 구조적으로 연관된 복합명사를 조합하거나 분할하며, 검색어가 되는 음역어와 축약어들을 확장하여 다중 검색함으로써 재현율과 정확도를 향상시킬수 있음을 보였다.

  • PDF

WebSES : 배색을 이용한 웹 사이트 감성 평가 시스템 (WebSES : Web Site Sensibility Evaluation System based on Color Combination)

  • 유헌우;조경자;홍지영;박수이
    • 감성과학
    • /
    • 제7권1호
    • /
    • pp.51-6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웹 페이지의 배색에 따른 감성 평가치를 바탕으로 감성기반 웹 페이지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웹 페이지의 색상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색인하는 모듈과 감성 형용사가 주어졌을 때 감성과 관련된 색상 배색이 많이 포함된 웹 페이지를 내림차순으로 검색하는 모듈로 구성된다. 구현된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웹 페이지를 대상으로 시스템이 검색한 순위와 사용자 설문조사와 전문가 평정에 의한 순위를 비교 분석한다. 사용자 설문조사 결과 18개의 감성 형용사 중 10개의 형용사에 대해 통계적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으며, 상/하위 5개의 사이트만을 고려한 전문가 평정에서는 14개의 형용사가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 PDF

인간의 연상 구조에 적합한 메뉴의 설계 및 평가: 활성화 확산 모델 접근 방법 (Design and Evaluation of Hierarchical Menu Structure Related to Human Association Structure: Spreading Activation Model Approach)

  • 박상수;명노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6
    • /
    • 2004
  • In this study, the usability evaluation of a menu-structure was performed using spreading activation model with respect to human's memory retrieval. Spreading Activation Model is effectively us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information retrieval, so it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modeling of the process of human's information retrieval. For spreading activation test (SAT),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67 pairs of menu titles, which consist of a menu title in the high level menu item and a menu title for the next lower level menu item, from Korea University's web site. For performance tests, three scenarios were developed with longer reaction times and ambiguous associations found in the SAT to reflect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website. As a result, the SAT was found to bean effective tool to enhance the website usability because the SAT could bea substitute for the performance test with a high correlation $({\rho}=0.735,\;{\alpha}=0.05)$. After remaining menu titles with slow reaction times and ambiguous associations found in SAT, the website us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faster reaction times and less ambiguous associations proven with smaller number of web-page visits. Therefore, the SAT could be used as a methodology to design and evaluate the user-centered menu structure related to human's association structure.

매치메이킹 알고리즘을 이용한 개선된 웹서비스 검색 시스템 (Advanced Web Services Retrieval System using Matchmaking Algorithm)

  • 최옥경;한상용;이정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13권3호
    • /
    • pp.1-15
    • /
    • 2007
  • 향후 우리가 지향하는 차세대 웹은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의미론 중심의 시맨틱 웹과 XML이라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간의 자동화된 정보 교환 방식으로 향상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비스의 기술이 결합된 시맨틱 웹서비스일 것이다. 이러한 시맨틱 웹서비스에서는 개념적으로 자동화된 웹서비스의 발견, 실행 및 조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시맨틱 웹서비스 검색 시스템들에서는 매치메이킹과 브로커링을 통해서 자동화된 웹서비스를 지원하는 에이전트들을 개발하고 있는 데 QoS(Quality of Services)에 관한 고려가 안 되어 있어서 실제 상황에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웹서비스 검색 모델을 보완하기 위해 QoS에 근거한 매치메이킹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일반 웹 문서 검색과 시맨틱 문서 검색이 모두 가능한 개선된 웹서비스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여기서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매치메이킹 알고리즘을 통해 서비스 요청자와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효율적인 매칭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요구 사항 중 서비스 품질 정보를 고려하여 보다 정화한 매치메이킹을 가능케 한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도 여기에 보고하였다.

  • PDF

An Automatic and Scalable Application Crawler for Large-Scale Mobile Internet Content Retrieval

  • Huang, Mingyi;Lyu, Yongqiang;Yin, Ha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0호
    • /
    • pp.4856-4872
    • /
    • 2018
  • The mobile internet has grown ubiquitous across the globe with the widespread use of smart devices. However, the designs of modern mobile operating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limit content retrieval with mobile applications. The mobile internet is not as accessible as the traditional web, having more man-made restrictions and lacking a unified approach for crawling and content retrieval.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utomatic and scalable mobile application content crawler, which can recognize the interaction paths of mobile applications, representing them as interaction graphs and automatically col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graphs in a parallel manner. The crawler was verified by retrieving content from 50 non-game applications from the Google Play Store using the Android platform. The experiment showed the efficiency and scalability potential of our crawler for large-scale mobile internet content retrieval.

의미적 연관태그와 이미지 내용정보를 이용한 웹 이미지 분류 (Web Image Classification using Semantically Related Tags and Image Content)

  • 조수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5-2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온라인 이미지 공유 사이트를 적용 도메인으로 하여 이미지 검색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태그의 의미적 연관성과 이미지 자체의 내용 정보를 결합하는 이미지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이미지 검색 및 분류 알고리즘이 플리커와 같은 대용량 이미지 공유 사이트에서 활용될 수 있으려면 실제 웹상의 태깅된 이미지를 대상으로 한 적용이 가능해야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bag of visual word'기반의 이미지 내용으로 웹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미적 연관태그를 이용해 일차 검색된 이미지들을 훈련 데이터로 사용하여 카테고리 모델을 훈련하고, PLSA를 적용하여 평가 이미지들을 분류하는 것이다. 제안된 방법으로 플리커의 웹 이미지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태그 정보를 이용한 기존의 방법에 비해 우수한 검색 정확도 및 재현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콘도르 정보 검색 시스템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 Condor)

  • 박순철;안동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31-37
    • /
    • 2003
  • 본 연구는 다중어 질의어를 제공하는 대용량 정보검색 시스템, 콘도르에 대한 고찰이다. 이 시스템은 전북대학교, (주)서치라인, 그리고 카네기멜론 대학교가 컨소시엄 형태로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질의처리는 확률 모델을 기반하고 있으며 최근 정보검색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문서 클러스터링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시스템의 특징은 다중어 질의어를 처리하고 질의를 중심으로 온라인으로 문서를 클러스터링하고 요약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은 이미 국내의 3,000만개 웹페이지에 대한 테스트를 마쳤으며 그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 PDF

디지털도서관 문서양식으로서의 XML과 HTML의 특성 및 검색 기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XML and HTML: Focusing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Retrieval Functions)

  • 김현희;장혜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5-13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XML과 HTML의 이론적인 특성을 포괄적으로 비교하고 이러한 특성들이 실험 시스템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검색기능, 검색 환경 및 이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며, XML이 정보 검색에서 기존의 HTML 보다 더 유용한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비교결과, XML은 복합 내용 및 구조검색이 가능한 점, 관련 자료들을 다중 링크를 사용해 접속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경우 XML 문서는 태그를 이용해 자동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는 등이 HTML 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XML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XML 문법을 완벽하게 지원하는 XML 관련 소프트웨어가 많이 개발되어져야 한다. 또한, XML이 주는 무제한적인 태그 작성의 자유가 자칫 동일한 문헌 형태를 너무 다양한 양식들로 표현하다 보면 혼란을 빚을 가능성도 매우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특정 문헌 형태에 대한 표준적인 DTD 설계가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 PDF

EXAMINING THE WAY OF PRESENTING RELIABLE INFORMATION ON WEB PAGE

  • Okamoto, Takuma;Yamaoka, Toshiki;Matsunobe, Takuo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135
    • /
    • 2001
  • Recently, Internet is used widely. Many Web sites, however, are not designed based on user's view. So, this research aimed at grasping the user needs and structure of Web site which user used easily. First, to grasp user needs, questionnaires about the motivation, the purpose and the evaluation items of Web page were done. As a result, we found the easiness for the user. Next, we made subjects operated test pages in which the number of classes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were changed. We collected the quantitative data of the optimum number of classes, amount of information and retrieval time.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numerical valu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vailable when constructing a web site. so, usability of Web site can be improved by them.

  • PDF

단말노드 언어모델 기반의 XML문서검색에서 구조 제한의 유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Usefulness of Structure Hints in the Leaf Node Language Model-Based XML Document Retrieval)

  • 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09-226
    • /
    • 2007
  • XML웹 문서 포맷은 문헌 내에 내용과 의미있는 논리적인 구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어, 검색에서 문서의 내용뿐만 아니라 구조로 접근하는 것을 제공한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XML검색에 있어 내용 검색에 추가적인 요소로 사용된 구조적인 제한이 얼마나 유용한지를 실험하기 위해 내용만으로 검색한 결과와 내용과 구조적인 제한을 가지고 검색한 결과간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 실험은 자체 개발된 단말노드 언어모델기반의 XML 검색시스템을 사용하였고 INEX 2005의 ad-hoc track에 참여하여 모든 실험방법과 INEX 2005의 실험 문헌 집단을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