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eb records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33초

웹기록물 보존을 위한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 확장 설계 (Extension of the Long-term Archival Information Package for Electronic Records to Accommodate Web Records)

  • 박병주;차승준;이규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47
    • /
    • 2010
  • 웹기록물은 공공기관의 업무활동이나 전자상거래에 대한 법적증거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존할 가치가 있는 정보이지만 웹기록물의 특징 중 하나인 '휘발성'으로 인해 소실되고 있다. 따라서 이렇게 사라지는 웹기록물을 장기보존하기 위한 장기보존포맷이 정의되어야 한다. 웹기록물은 전자기록물의 일종이기 때문에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에 보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표준으로 제시된 포맷은 웹기록물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의되었기 때문에 웹기록물을 보존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표면/심층 웹기록물 문서보존포맷으로 연구된 KoDeWeb/KoSurWeb과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기록물을 보존할 수 있는 확장된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을 정의하였다. 정의된 포맷을 활용하면 웹기록물도 전자기록물들과 같이 보존되어 활용될 수 있고, 전자 상거래에 관련된 공공기관의 웹기록물을 보존함으로써 전자 상거래에 대한 법적 증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웹기록물 관리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n Web Records Management Process)

  • 김도희;현문수;배서영;박지희;김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1-226
    • /
    • 2023
  •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웹기록물 관리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웹기록물 관리 업무 주체별 역할을 정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웹기록물의 개념 및 관리 환경과 17개의 국내외 사례기관 조사, 웹 아카이빙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웹기록물 관리 관련 환경, 정책, 제도 등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웹기록물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자 웹기록물 전 생애주기 관리 프로세스를 설계하였다. 프로세스는 단기 및 중·장기 계획과 중·장기(추가사항) 계획으로 구분하였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공기관의 웹기록물 관리 역량 강화를 지향하도록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웹기록물 관리 프로세스에 관한 실무 기반을 마련하고자 웹기록물 관리의 업무 주체별(처리과, 기록관,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역할을 함께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웹기록물 관리의 실무를 반영한 프로세스를 구축하거나 웹기록물 관리 관련 정책, 제도 등의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공기관 심층 웹기록물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Metadata Design for Archiving Public Deep Web Records)

  • 차승준;최윤정;이규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1-193
    • /
    • 2009
  • 웹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공공기관에서는 웹을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고 또한 국가와 시민간의 연결통로로 사용하고 있다. 웹기록물은 공공기관에서 이용하는 웹 사이트상에서의 업무처리의 결과로, 정보로서 중요한 가치를 담고 있으나 보존의 방법과 도구가 부족하여 많은 양의 자원들이 소실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웹기록물의 한 분류인 심층 웹기록물 아카이빙에 필요한 메타데이터 설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국외 연구기관 및 연방정부에서 제공하는 심층 웹기록물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공공기관의 심층 웹기록물을 정의하였다. 정의된 심층 웹기록물을 바탕으로 아카이빙에 필요한 메타데이터 항목을 설계하고, 국내외 호환성을 위해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과 더블린코어 메타데이터와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이는 국내 웹기록물 아카이빙의 기반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웹 기반 연구기록정보서비스 평가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NTIS vs. NKIS 비교를 통해 - (An Evaluation of Web-Based Research Record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ir Improvement: NTIS vs. NKIS)

  • 강주연;남연화;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9-160
    • /
    • 2017
  • 연구기록의 보존 및 활용 가치가 부각되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접근이 용이한 웹을 기반으로 연구기록을 서비스하는 기관 역시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그들이 제공하고 있는 연구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품질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어 웹 기반 연구기록정보서비스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연구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기록정보서비스 대표 포털인 NTIS와 NKIS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각 기관별 웹 기반 연구기록정보서비스의 특징을 알아보고 공통된 평가 지표를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통해 각 사례별 장 단점을 분석함으로써 웹 기반 연구기록정보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정부기관 웹 기록물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b Based Records Management Policy for Government Agencies)

  • 이혁재;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46
    • /
    • 2009
  • 전자정부의 추진과 함께 정부기관의 많은 업무들이 웹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웹에서 이용되며 웹을 떠나서는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없는 막대한 양의 기록물이 생산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정부기관의 웹 기록물은 국가적 전략자원이자, 기록문화유산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웹 기록물관리 정책의 필요성을 논하고, 정부기관에서 생산 이용하고 있는 웹 기록 정보 관리정책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영국 TNA와 미국의 NARA를 중심으로 한 해외사례와 함께 우리나라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의 웹 기록물 이관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다면적으로 상호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토대로, 결론에 갈음하여, 법, 제도, 기술 등의 측면에 대한 웹 기록물관리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웹기록물 아카이빙 기반기술 연구 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Base Technology for Archiving Web Records)

  • 차승준;이규철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8년도 연합학회학술대회
    • /
    • pp.359-368
    • /
    • 2008
  • 웹에서 생성되는 중요한 자원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웹이라는 특성 때문에 보존되지 않고 사라져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존되지 않고 사라져가는 웹기록물의 보존을 위한 웹 기록물 아카이빙 기반기술을 연구 개발에 관한 것이다. 우선 웹기록물 아카이빙의 절차인 워크플로우에 관해 설계하였고, 그 중 보존과 전달에 필수요소인 메타데이터 요소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웹기록물 아카이빙의 전반적인 사항을 정의하는 아키텍쳐를 정립하였다.

  • PDF

연구기록의 웹 기반 정보서비스 평가 지표 개발 및 적용 - NTIS 사례를 중심으로 - (Developing and Applying the Evaluation Measures for Web based Information Services of Research Records Archives - Focused on NTIS -)

  • 남연화;강주연;오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45-372
    • /
    • 2017
  • 웹의 발전과 함께 연구기록의 보존 가치와 잠재적 활용 가치가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웹을 활용한 연구기록의 정보서비스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제공되고 있는 연구기록의 웹 기반 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통해 현재 상황을 점검해보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기록의 특성을 반영한 웹 기반 정보서비스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igiQUAL과 NDSLQual을 분석하여 기록정보서비스 유형별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연구기록을 활용한 정보서비스의 특징이 반영된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평가 지표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NTIS를 사례로 들어 적용,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NTIS에서 제공하는 연구기록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찾고 이를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청강 김영훈 진료기록 복원연구 (Study of Young-Hoon Kim's Medical Chart Restoration)

  • 차웅석;박래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2
    • /
    • 2008
  • This study is a report on the restoration process and future projects involving the restoration of the medical records from 1914 to 1974. Cheong-Gang Young-Hoon Kim was born in 1882 and passed away in 1974. His times were the times whe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was being neglect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edicine through Japan. During this time Young-Hoon Kim put much effort into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Restoration Movement and left over 150,000 medical records while consistently examining patients. Currently, this data can be found at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and is being compiled into a database as a part of the 2007 Knowledge of Oriental Medicine Web Service Project. The Preface and Chapter 1 introduce the author and the contents of the Cheong-Gang Medical Records, and Chapter 2 briefly discusses the necessity of providing digitalization and modernization to the medical records. Chapter 3 discusses the preservation process of the original medical records, chapter 4 describes the process of restoring and providing web access to the contents of the medical records, and chapter 5describes the main purpose of the medical records as well as future projects and an outlook involving the Knowledge of Oriental Medicine Web Service Project.

원격수집 방식의 웹기록물 관리를 위한 웹수집기 성능 비교 연구 (Comparison of Web Crawler Performance for Web Record Management)

  • 장진호;권혁상;이규모;최동준
    • 기록학연구
    • /
    • 제74호
    • /
    • pp.155-186
    • /
    • 2022
  • 2022년 현재 행정안전부 정부24 웹사이트에 등록된 공공부문 인터넷 웹사이트는 1만 7천여 개이다. 이처럼 많은 웹사이트를 기록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록물 생산기관과 기록물관리기관이 상호 간 직접 이관하는 방식은 많은 인적·물적자원을 필요로 한다. 각 웹사이트 구동에 필요한 운영 소프트웨어와 응용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록물관리기관이 보유하고 운영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웹수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웹사이트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방식이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공공부문 인터넷 웹사이트를 원격으로 수집하여 기록으로 관리할 때 필요한 웹수집기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 등에서 검토한 다수의 웹수집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단계별 검토를 거쳐 가장 적합한 웹수집기를 선정하였다. 성능 평가 과정에는 일부 공공기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실제 원격 수집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웹기록 관리를 위해 웹수집기 선택이 필요한 기관에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성능 비교 정보를 제공한다.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패싯 기반 디렉토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 (Improving the Access Service of National Designated Record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cusing on Facet Directory Service)

  • 정미옥;최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7-234
    • /
    • 2019
  • 국가지정기록물 지정제도는 국가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민간의 기록물을 관리·보존할 수 있게 하고 기록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국가지정기록물 지정 및 국가기록원의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의 한계를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첫째,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에 관한 정보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로 분산되어 있다. 둘째,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된 기록물에 관한 정보가 컬렉션 수준으로만 제공되고 있어, 이용자가 국가지정기록물 컬렉션 이하 수준의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국가지정기록물의 활용성을 높이는 구체적인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에 흩어져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에 대한 정보를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에서 단일화하여 제공해야 한다. 둘째, 이용자가 국가지정기록물 내용과 주제를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고, 다각적인 주제와 내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국가지정기록물의 주제 디렉토리와 워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