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media

검색결과 913건 처리시간 0.042초

Web-Based Media GIS Architecture Using the Virtual World Mapping Technique

  • Kim, Sung-Soo;Kim, Kyong-Ho;Kim, Kyoung-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80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web-based Media GIS architecture using 3D geographical database and GPS-related data resulted from 45-Van. We introduce a novel interoperable geographical data service concept; so-called, Virtual World Mapping (VWM) that can map 3D graphic world with real-world video. Our proposed method can easily retriev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attributes to reconstruct 3D virtual space according to certain frame in video sequences. Our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also ha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geographical information service with video stream without any image processing procedures. In addition to, describing the details of our components, we present a Media GIS web service system by using GeoVideoServer, which performs VWM technique.

WWW을 이용한 DAVIC 기반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구동 (Web-Driven DAVIC-Based Video on Demand System)

  • 장경식;이석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2642-2648
    • /
    • 1999
  • This paper describes a DAVIC based VoD service system that allows access via the Web, taking advantage of the wide availability of Web browsers. A simple access mechanism of a DAVIC based VoD system, using a Web browser is adopted on the proposed system. The client and VoD server are compliant with DAVIC, a user can access the VoD server simply by selecting the Web server's address via a Web browser. A menu enables the user to select VCR-like buttons, to establish an S2 control flow and to send the commands contained in the buttons to the VoD server. A simple implementation shows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 PDF

하이퍼리얼리즘형 웹드라마 <좋좋소>의 콘텐츠 특성 연구 (A Study on Content Characteristics of Hyperrealism Web Drama )

  • 이준석;정원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14-123
    • /
    • 2022
  • Korean web drama are undergoing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popularization of the OTT platform. The previous web drama were mainly aimed at teenagers, with school content as a genre feature, and the active casting of new idols and the use of B-grade emotions as production characteristics. After the popularization of OTT represented by YouTube and Netflix, there are signs of significant change. This study examined the hyperrealistic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web drama , which can be the center of the change. Through this, it was considered that has a greatly changed aspect from previous web dramas through stereoscopic typification, emphasis on detailed expression, active use of experiential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a new media creator-centered production method.

스마트폰 도입이 포털사이트 이용에 미친 영향: 스마트폰 이용자의 웹 트래픽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The Influence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Phone on Using Portal Sites: An Exploratory Study by the Analysis on Smart Phone Users' Web Traffic)

  • 김위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4권
    • /
    • pp.109-135
    • /
    • 2013
  • 이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이 기존 미디어 환경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었던 포털의 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실시됐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이용자의 실제 이용 행동인 트래픽 데이터를 종단적으로 수집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먼저 PC 웹에서 가장 많은 이용을 보이는 포털 유형은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고 일상화된 2년 사이에 이용시간의 약 15%, 페이지뷰의 약 35%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포털 섹션별로는 커뮤니티, 뉴스미디어, 동영상, 모바일, 게임 섹션 등에서 이용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웹 이용에서 포털이 차지하는 비율은 PC 웹 이용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PC 웹 이용 트래픽의 3분의 1 이상이 포털에서 발생했지만,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웹 이용 트래픽에서는 3분의 2 이상이었다. 모바일 포털 섹션 중에서는 뉴스미디어 섹션의 이용이 가장 많았다. 한편, 스마트폰 도입 이후 전체적으로 포털 섹션 중 뉴스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생활 섹션 등은 이용이 크게 늘어난 반면에, 커뮤니티, 모바일, 게임 섹션 등은 이용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 PDF

커뮤니케이션매체 특성과 교수행위 특성이 협력적 상호작용과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Media and Instruction Behavior on Collaborative Interaction and Project Performance)

  • 고윤정;정경수;고일상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8권4호
    • /
    • pp.83-103
    • /
    • 2008
  • In the new web based learning environment which has recently emerged, a variety of new learning objectives and teaching methods suited to this learning environment have been adopted. Recently, web based project-based learning methods have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those wishing to improve learning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media and instruction behavior on collaborative interaction and project performance through web based group proj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media were divided into richness, flexibility, and ease of 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 behavior were divided into support and expression,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Collaborative interaction as a mediate variable, was divided into information sharing and negotiation. Project performance was the dependent variable. To verif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empiricall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which learners participated in on-line and off-line courses with group projects. The group project was conducted virtual product development(VPD), and designed a web-site about the VPD. At the end of the project, a survey was conducted. Of the 270 students, 239 responded.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groups of 3 or 4 members, and represented different genders and levels of computer competence.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correlation of research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and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goodness-of-fit of the research model were verified through SEM analysis using Lisrel 8.54. We found important results as follows; First, richness and ease of use has positive impacts on each of sharing information and negotiation. This suggests that richness and ease of use are useful in sharing inform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task and agreeing in opinions among group members. However, flexibility has not positive impacts on sharing information and negotiation. This implies that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PC and information literacy of user. Second, support and expression of instructor have positive impacts on sharing information and negotiation. This indicates that instru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couraging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and communicating with them, sha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 making a resonable decision and finally leading them to improve a project performance. Third, collaborative inter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project performance. This result shows that if the ability to share information and negotiate among students was improved then a project performance would be improved as well. Recently, in the state of revitalized web based learning, it is opportune that web-based group project is practically conducted, and the impact of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media and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 behavior on sharing information, negotiating among group members and improving a project performance is verifi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forms of learning, such as web based project, could be one of solution which is to enforce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ultimately improve learning performance. Moreover web-based group project is able to make up for a weaknes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ke interpersonal relations or friendship among learners in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or web based learning.

P2P 통신 병용 DASH 시스템의 피어 부하 분산 방안 연구 (A Peer Load Balancing Method for P2P-assisted DASH Systems)

  • 서주호;김용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94-104
    • /
    • 2020
  • 현재 유무선 인터넷을 통한 미디어 소비는 대부분 ISO/IEC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의해 표준화된 미디어 스트리밍 방식인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적응형 미디어 스트리밍(adaptive media streaming) 기술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이들은 모두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웹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충분히 설치할 수밖에 없는 HTTP 캐시(cache)에 크게 의존한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스트리밍 사용자 증가에 따라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사업자의 서버 증설 부담 대신 ISP의 HTTP 캐시 증설 부담이 커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ISP들은 이러한 HTTP 증설 비용을 보전하기 위해 CDN 사업자에게 미디어 트래픽 비용을 부과하게 되었다. 최근 이러한 비용을 줄이고자 P2P(Peer-to-Peer) 통신을 함께 사용하는(P2P-assisted) DASH 방식이 제안되었다. 또한 이러한 P2P 통신 병용 DASH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CDN 사업자의 비용을 최대한 절감시키는 피어 선택 알고리듬도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 알고리듬은 선택된 피어에게 부담을 집중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피어의 부담을 여러 피어들에게 분산시키면서도 CDN 사업자의 비용 절감 수준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새로운 피어 선택 알고리듬을 제안하고, 이를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 표준 API를 활용한 웹기반 스트리밍 시스템에 구현한 후, 실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듬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방송사 뉴미디어 스타일 가이드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on of Broadcasting New Media Style Guide)

  • 김경윤;정회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379-385
    • /
    • 2014
  • 언제 어디서든 끊어짐이 없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기술로 인해 본격적인 N스크린 시대가 열렸다. 이에 따라 방송업계에서는 방송 콘텐츠를 PC, 스마트폰, 태블릿, App, IPTV 등 다양한 미디어 기기로 서비스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방송사 관점에서는 플랫폼의 유용성과 사용성을 높여주기 위해 디바이스별로 동일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유지될 필요가 있고, 이를 뉴미디어 구축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 스타일가이드의 필요성이 커졌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웹페이지에 국한되었던 웹 스타일 가이드를 넘어서, 이제 다양한 뉴미디어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기 위한 뉴미디어 스타일가이드의 필요성과 제작요소에 대해 연구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공영 방송사이며 통합적인 미디어가이드가 제시되어 있는 BBC의 통합가이드(GEL)와 우리나라 대표 공영방송 KBS에서 제공되는 웹 스타일 가이드를 분석하고, 현재 웹 스타일 가이드의 한계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방송미디어업계 디자인분야의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어떤 디자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뉴미디어 스타일 가이드를 제작해야 하는가를 분석하고, 종합적인 뉴미디어 스타일 가이드 제작 블루프린트를 제안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뉴미디어 방송채널 KBS의 통합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미래지향적인 뉴미디어 플랫폼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교수와 학습자간의 행동 동기화를 이용한 웹 기반의 실시간 원격 강의 시스템 (A Web-based Remote Instruction System on Real-time using Action Synchroniza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Learners)

  • 이부권;박규석;서영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6호
    • /
    • pp.611-616
    • /
    • 2000
  • 일반적으로 강의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 전달 매체는 음성이며 다음으로 도큐먼트이다. 실제로 많은 원격 강의 기법에서 동영상을 제공하려고 하지만 네트워크 대역폭의 제한으로 인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특별한 브라우저를 사용하지 않고 웹 상에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근하도록 하기위해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동영상이나 음성과 같은 연속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의 제한으로 인하여 만족스럽지 못한 강의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게 되면 대체로 도큐먼트(웹 페이지) 위주의 강의 자료를 제공할 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 전달 매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음성과 도큐먼트를 이용하여 웹 상에서 실시간 원격 강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에 사용된 부가기법으로는 교수와 학습자간의 웹 브라우저 동기화와 펜을 이용하며, 교수자는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도큐먼트를 보면서 강의하고, 학습자는 교수자가 보고 있는 도큐먼트와 같은 것을 보면서 강의를 듣게 된다

  • PDF

Arab Spring Effects on Meanings for Islamist Web Terms and on Web Hyperlink Networks among Muslim-Majority Nations: A Naturalistic Field Experiment

  • Danowski, James A.;Park, Han Woo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3권2호
    • /
    • pp.15-39
    • /
    • 2014
  • This research conducted a before/after naturalistic field experiment, with the early Arab Spring as the treatment. Compared to before the early Arab Spring, after the observation period the associations became stronger among the Web terms: 'Jihad, Sharia, innovation, democracy and civil society.' The Western concept of civil society transformed into a central Islamist ideological component. At another level, the inter-nation network based on Jihad-weighted Web hyperlinks between pairs of 46 Muslim Majority (MM) nations found Iran in one of the top two positions of flow betweenness centrality, a measure of network power, both before and after early Arab Spring. In contrast, Somalia, UAE, Egypt, Libya, and Sudan increased most in network flow betweenness centrality. The MM 'Jihad'-centric word co-occurrence network more than tripled in size, and the semantic structure more became entropic. This media "cloud" perhaps billowed as Islamist groups changed their material-level relationships and the corresponding media representations of Jihad among them changed after early Arab Spring. Future research could investigate various rival explanations for this naturalistic field experiment's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