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contents

검색결과 2,366건 처리시간 0.026초

WebGL 기반의 상호작용 콘텐츠를 위한 행위 엔진 (Behavior Engine for WebGL-based Interactive Contents)

  • 서진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62-865
    • /
    • 2011
  • WebGL은 OpenGL ES 2.0기반의 로우레벨(low-level) 3차원 그래픽스 API를 위한 크로스 플랫폼 웹 표준으로써, 웹 브라우저에서 별도의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도 3차원 그래픽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WebGL이 더욱 관심을 끌고 있는 이유는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TV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위한 차세대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플랫폼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HTML5의 표준 안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WebGL 기반의 콘텐츠에서 복잡한 상호작용과 3차원 객체의 행위 모델을 쉽고 빠르게 저작하기 위한 행위 엔진을 제안하고 개발하고자 한다.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Web-Sites and Digital Contents for Elementary Music Clas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 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65-74
    • /
    • 2020
  • 이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 활용되는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음악 수업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교육용 웹 사이트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웹 사이트에 포함된 음악 교육 디지털 콘텐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1차 분석은 웹 사이트의 서비스에 관하여, 2차 분석은 디지털 콘텐츠의 유형과 음악 교육 내용에 관하여 실시하였다. 현재 음악 수업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웹 사이트는 에듀넷 티-클리어, 티-셀파, 아이스크림, 인디스쿨이었으며, 각각 웹 사이트의 서비스와 디지털 콘텐츠 유형 및 내용에서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음악 수업 지원을 위한 주요 기능, 최신 교육과정 내용의 반영 정도, 자료의 체계성, 객관성과 현장성, 타 교과와의 연계성 등이 다르게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 음악 수업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음악 수업에서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적시에 활용하는 교사 전문성의 발휘가 필요하며, 둘째, 음악 교육의 본질에 맞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웹과 모바일을 연동하기 위한 모바일웹 컨텐츠 가이드라인 구현에 관한 연구 -뉴스 사이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Mobile Web Contents Guideline for integrating Web and Mobile - Focus on the NewsSite-)

  • 고희애;심근정;김종근;임영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41-148
    • /
    • 2007
  • 무선 인터넷 환경의 발달로 인하여 모바일로 정보를 구하고자 하는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과 동시에 무수히 많은 컨텐츠가 증가 하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의 질은 유료로 제공하는 벨소리 다운로드 등의 컨텐츠에 머물로 있어 일반 유저들이 원하는 정보 서치 욕구는 채워지지 못하고 있다. 한편 그러나 이유로는 모바일 컨텐츠를 제작하는 비용이 크기 때문에 비용대비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측면으로 컨텐츠가 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웹 컨텐츠를 모바일 컨텐츠로 바로 전환하는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웹 사이트구축 시 필요한 가이드라인과 같이 모바일 컨텐츠에서도 모바일용 컨텐츠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보고 제시된 컨텐츠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모바일 뉴스 사이트를 구현하였다.

  • PDF

GPIS Tracking 메커니즘의 시각구조 Mashup Web (Mashup Web of Visual Structure using the Mechanism of GPIS Tracking)

  • 안성은;김정중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65-71
    • /
    • 2009
  • 인터넷 웹 콘텐츠는 정적, 동적 데이터로부터 Mashup 서비스까지 진화되어왔다. 최근에 화두가 되고 있는 Mashup 서비스는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혼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를 생성해낸다, 하지만 서비스 구성에 있어 시스템 자원의 활용보다는 콘텐츠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실이다. 논 본문에서는 Mashup 서비스를 구성하는 정책과 사용자 친화적인 화면 구성방안을 제안한다.

  • PDF

이러닝에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콘텐츠 설계 (Design of Efficient Simulation-based Contents at e-Learning)

  • 이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325-333
    • /
    • 2005
  • 웹 기반 교수-학습체계를 설계 시에 학습자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것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웹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효율성과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 웹 기반 시뮬레이션이 권장된다. 이러닝에서 잘 설계된 시뮬레이션 기반 콘텐츠는 학습자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제공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학습 설계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많은 이러닝 시스템에서는 각기 다른 기법으로 웹 기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고 있으나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과 성취 수준을 고려한 콘텐츠의 재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 웹 서비스를 통해서 이러닝 시스템간에 시뮬레이션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제안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보다 자기주도적 학습 활동과 상호 작용에서 효율적임을 보여준다.

  • PDF

웹 기반의 자바 프로그래밍 강의 교안 개발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Java Programming Course Contents)

  • 이충기
    • 공학교육연구
    • /
    • 제5권1호
    • /
    • pp.3-18
    • /
    • 2002
  • 최근에 인터넷과 웹의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를 교육에도 활용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교육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웹 기반 강의의 장점은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비용으로 교육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웹을 이용하여 자바 프로그래밍을 배우고자 하는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바 프로그래밍을 웹 기반 강의로 가르치기 위한 교안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안들은 프로그래밍 기법과 관련된 내용이 부족하고 흔히 실습 환경과 분리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안 개발 방법과 개발 사례를 제시한다. 또한 교안의 학습자들에 의한 교안 평가 결과를 보고한다.

시맨틱 웹 서비스를 위한 동영상 온톨로지 설계 (Design of video ontology for semantic web service)

  • 이영석;윤성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5-198
    • /
    • 2009
  • 최근에는 정보와 지식의 교환을 위한 시맨틱 웹 구축의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동영상 콘텐츠를 시맨틱 웹상에서 지식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의미적 검색이 선행 되어야 하는데 현재는 동영상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와 키워드의 일치성 판단에 의한 검색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 지성을 사용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의미적 검색 및 활용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참여 정보를 확대하고, 의미적 요소인 유용성 수치와 히스토리 데이터를 추가한 온톨로지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온톨로지 스키마를 활용하면, 시맨틱 웹상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의미적 검색 시 기존 검색 방법 보다 재현율이 높으며, 각종 동영상 콘텐츠를 지식으로 활용 가능하게 한다.

  • PDF

국내 문화콘텐츠의 웹 접근성 평가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Korea)

  • 황동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5-140
    • /
    • 2007
  • 문화콘텐츠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사람과 사람을 연계하는 코드를 담고 있는 국가의 핵심 자원으로써 전 국민 누구나가 장애 없이 원하는 콘텐츠에 접근이 보장되도록 웹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부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문화포털, 예술로, 한국의 문향, 독립예술영화관, e뮤지엄 등을 웹 접근성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여, 자동평가 총 11개 평가지표와 수동평가 3개 영역의 총 13개 평가항목, 26개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웹 접근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결과 문화콘텐츠의 웹 접근성 준수 수준은 아직 초기 단계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해 실행 가능한 사례 제시를 통하여 문화콘텐츠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사이버대학 콘텐츠의 웹 접근성 평가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of Cyber Universities' Contents in Korea)

  • 이병수;이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24-233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사이버대학의 원격 교육이 웹 접근성 준수 기준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측정 및 분석하고,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정부인가 사이버대학 10곳을 선정하고, 기술적으로 평가가 가능한 요소를 중심으로 웹 접근성 평가 분석 도구인 'A-Prompt'를 사용하여 웹 접근성 적용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2006년 수행 하였던 '사이버대학의 원격 교육 웹 접근성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1.0'에 따른 접근성 향상 여부도 함께 확인하였다. 이 결과 대체 텍스트의 사용, 보조 설명 도구 지원 등의 항목이 많이 개선된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아직 국내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웹 콘텐츠를 모든 사람들이 이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 및 원격교육의 대중화를 위해 교육용 콘텐츠의 접근성 적용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다문화사회의 관광정보 웹 콘텐츠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Tourism Information Web Contents in Multicultural Society)

  • 이용재;김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13-422
    • /
    • 2010
  • 1990년 이후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를 시작으로 최근 우리 사회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에서 결혼이민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이주민과의 공존이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는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의 이주민 문화향수실태조사에 의하면, 이주민이 가장 희망하는 여가 활동은 '여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를 고려하여 이 연구는 이주민의 한국 여행에 대한 정보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관광정보 웹 콘텐츠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관광 웹 콘텐츠의 현황을 분석하고 웹사이트 '부산 문화관광'을 주요 사례로 분석하였다. 특히, 여행관련 웹 콘텐츠 중 VOD영상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위하여 이주민들과의 인터뷰를 거침으로써 이주민의 눈높이에 맞춘 웹사이트 평가를 시도하였다. 평가결과, 콘텐츠품질에서 가장 불만족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서비스, 인터페이스 순으로 불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