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검색결과 18,382건 처리시간 0.049초

Geo Semantic Web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Geo Semantic Web System)

  • 김정준;신인수;한기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83-92
    • /
    • 2010
  • 최근 상호운용성과 지능화 및 개인화가 강조되는 IT 기술 추세에 맞추어 Geospatial Web이 Semantic Web과 접목되면서 다양한 지리 공간 정보와 일반 웹상의 방대한 비공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계 및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적인 지리 정보 웹 서비스 기술인 Geo Semantic Web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Geo Semantic Web 서비스를 위해서는 웹 환경에 산재한 지식 및 정보를 컴퓨터가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Geo Ontology 처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Geo Ontology 처리 기술에 관한 표준은 제정되어 있지 않고 표준화 기구와 여러 단체 및 기관 등에서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진행되었던 Geo Ontology와 관련된 다양한 기반 이론 및 기술들을 적용하여 Geo Semantic Web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Geo Semantic Web 시스템은 Geo Semantic 질의를 분석 및 처리하고 세션을 관리하기 위한 질의 처리 관리자, Geo Ontology를 생성 및 질의하고 공간/비공간 데이타를 추출하기 위한 온톨로지 관리자, 그리고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Geo Semantic Web 시스템을 Geo Semantic 질의가 필요한 가상 시나리오에 적용해 봄으로써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동기화된 협동을 지원하기 위한 능동형 웹 서버 설계 (A Design of the Active Web Server Supporting Synchronous Collaboration in the Web-Based Groupware Systems)

  • 허순영;배경일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7-170
    • /
    • 1999
  • The web-based groupware systems hold many possibilities for system developers and users. Especially, web-based group collaborative systems are emerging as enterprise-wide information systems. Since data in group collaborative systems are apt to be shared among multiple concurrent users and modified simutaneously by them, the web-based group collaborative systems must support synchronous collaboration in order to provide users with synchronized and consistent views of shared data. However, current web technologies have limitations in supporting this, largely because the existing 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 is unidirectional and does not allow web servers to send messages to their web browsers without first receiving requests from them. This paper proposes an active web server that can overcome such limitations and facilitate synchronous collaboration in web-based group collaborative systems. To accomplish such goals, the active web server manages dependency relationships beween shared data and web browsers referencing them and actively propagates changing details of the shared data to all web browsers referencing them. And, this paper examines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active web server to apply it to the ball-bearing design example of concurrent engineering design systems. The prototype system of the active web server is developed on a commercial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0DBMS) called OBJECTSTERE using the C++ programming language.

  • PDF

Web Vulnerability Scanner를 이용한 취약성 분석 (Vulnerability Analysis using the Web Vulnerability Scanner)

  • 장희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1-76
    • /
    • 2012
  • Mashups, web 3.0, 자바스크립트 및 AJAX 등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웹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시 웹취약점들에 대한 새로운 보안 위협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전 진단과 함께 대비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웹취약성에 대한 보안 위협과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Web Vulnerability Scanner(WVS) 자동화 도구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웹취약성을 분석한다. Cross Site Scripting(XSS)와 SQL Injection 등 대표적인 웹취약성에 대한 분석 결과, 약 22.5%에 해당하는 웹사이트가 보안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약성 경고 수는 0부터 31,171 alerts로 분포되고, 평균 411 alerts, 편차는 2,563 alerts로서 보안 관리에 취약한 웹사이트의 경우, 경고 수가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세부적인 웹취약성에 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웹 자원 아카이빙을 위한 웹 크롤러 연구 개발 (Development of Web Crawler for Archiving Web Resources)

  • 김광영;이원구;이민호;윤화묵;신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9-16
    • /
    • 2011
  • 웹 자원은 아직 수집, 보존, 활용에 대한 방안이 없어서 일정 기간의 서비스가 끝나면 사라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웹 자원들은 중요성에 관계없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되거나 소멸된다. 따라서 웹 자원을 수집하고 보존하기위한 웹 아카이빙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웹 자원들을 주기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웹 아카이빙 전용 크롤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 자원의 아카이빙 수집을 위해서 사용되는 기존의 웹 크롤러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웹 정보자원을 수집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수집 도구 시스템을 연구하고 개발하였다.

영문 관광안내 홈페이지 웹호환성 평가 연구 (Evaluation analysis on compatibility of English homepage for tourist information)

  • 신영기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97-310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web standard as well as web compatibility of English homepage of tourist information manage local government. Thru this research, effective information and service can be provided to increasing foreign visitors and compatibility of English homepage can be strengthened. SortSite, a web compatibility measurement tool and UNICORN, a web standard measurement tool were utilized for this research. Chrome, Internet Explorer, Firefox, Safari and Opera were targeted for evaluating web compatibility and observance rate of Markup grammar and CSS grammar was checked for evaluating web standard. Research result showed that 46.7% of Chrome version ${\leq}34$ and 35 didn't observe the web compatibility while 95.6%, 53.3%, 53.3%, 53.3% and 55.6% of Internet Explorer version in order of 7.0, 8.0, 9.0, 10.0 and 11.0 didn't observe the web compatibility. Concerning Firefox, 75.6% and 48.9% of version in order of ${\leq}6.0$ and 7.0 didn't observe the web compatibility and 37.8% of Opera version ${\leq}12.17$ and ${\leq}21$ didn't observe the web compatibility. Regarding the web standard, 80% of English homepage didn't observe Markup grammar and 60% of them didn't observe CSS grammar. Therefore, urgent improvement of web compatibility and web standard is required.

웹 로봇 구현 및 한국 웹 통계보고 (Implementation of a Web Robot and Statistics on the Korean Web)

  • 김성진;이상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4호
    • /
    • pp.509-518
    • /
    • 2003
  • 웹 로봇은 웹 문서를 다운로드하고 저장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웹 로봇 구현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웹에 대한 다양한 통계들이 보고되고 있다. 첫째,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웹 로봇을 개발하고, 개발된 웹 로봇의 전체적인 구조와 구현 결정들을 기술한다. 둘째, 약 7천 4백만 한국 웹 문서들에 대한 여러 통계치를 보고한다. 셋째, 1,424 개의 한국 웹 사이트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웹 문서들의 변경 경향을 조사한다. 본 논문에서는 웹 문서의 변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식별된다. 식별된 요소는 갱신할 웹 문서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교육용 웹 인지도가 웹 기반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affecting web-base education by web perceived level for education)

  • 임기흥;전용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4호
    • /
    • pp.157-163
    • /
    • 2008
  • Despite the increase internet use rate, there still appears a big difference in web usage rates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web usage environment variables. This study aime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perceived usage, attitude, affected factors related Web usage for schoolwork and research. This result will facilitate further understanding of perceived usage, attitude, affected factors related Web usage, thereby enabling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to better design appropriate strategies to promote the Web usage.

  • PDF

국내 주요 웹사이트의 접근성에 관한 분석 (Web Accessibility of Major Korean Web sites)

  • 이양규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2권4호
    • /
    • pp.33-44
    • /
    • 2005
  • Universal accessibility of web sites Is critical in a highly interconnected world. The web site should be usable by anyone, regardless of Individual capabilities and disabilities. But in reality, the users with disabilities are discriminated by inaccessible wed sites. This research analyze the accessibility of major web sites of Korea based on World Wide Web Consortium's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 1.0. The result shows that the average number of accessibility errors per web site is 2.77 much higher than that of Unites States. Automated testing and manual testing of web accessibility provides complementary results.

  • PDF

A Study of Web Usage Mining for eCRM

  • Hyuncheol Kang;Jung, Byoung-Cheol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8권3호
    • /
    • pp.831-840
    • /
    • 2001
  •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process of web usage mining, which has latel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with the fast diffusion of world wide web, and explain the web log data, which Is the main subject of web usage mining. Also, we illustrate some real examples of analysis for web log data and look into practical application of web usage mining for eCRM.

  • PDF

아파치 기반의 신뢰성 있는 자원관리를 지원하는 웹데브 서버 (An Apache-based WebDAV Server Supporting Reliable Reliable Resource Management)

  • 정혜영;안건태;박양수;이명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4호
    • /
    • pp.545-554
    • /
    • 2004
  • WebDAV(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RFC 2518)는 인터넷을 통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의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웹데브(WebDAV)는 웹 통신 프로토콜인 HTTP/1.1의 확장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비동기적인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웹 기반의 협업지원 시스템이나 문서관리 시스템과 같은 기존의 응용 시스템에서 웹데브 기능을 제공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스템들이 웹데브의 메서드(method)와 헤더(header) 정보를 다루는 추가적인 구현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데브 명세를 지원하는 아파치 기반의 DAVinci(WebDAV Is New Collaborative web-authoring Innovation) 웹데브 서버를 개발하였다.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인 아파치(Apache) 웹 서버에는 웹데브를 지원하기 위한 mod_dav 모듈을 제공하고 있다. DAVinci는 mod_dav 모듈의 서비스 제공자 형태로 추가되어 웹데브의 자원과 속성 관리를 담당한다. 본 시스템은 자원을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고 속성 정보를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며 추가적으로 자원과 속성들 간에 비일관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일관성 관리자(consistency manager)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