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ays of controlling variable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9초

중기업의 지식자산과 산업의 역동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Medium Sized Firm's Knowledge and Industry Dynamism on Firm Performance)

  • 박선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09-530
    • /
    • 2007
  •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장기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최선의 전략은 기업자원 및 역량을 활용한 혁신을 통해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에 속하는 중기업을 대상으로 산업·조직특성 및 기업혁신과 기업성과간의 직접적인 연관관계뿐만 아니라 산업환경과 조직특성인 지식의 수준이 기업혁신과 성과간의 관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고자 횡단면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중기업의 지식자산과 교육투자, 산업의 역동성은 기업혁신과 정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기업이 연구개발 집약적인 산업에 속하고, 석사이상의 고급인력 보유 비율이 높고, 교육에 대한 투자가 많을수록 혁신활동비율이 더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업혁신과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분석에서는 기업혁신 뿐만 아니라 산업역동성 및 기업의 지식수준과 혁신간의 상호작용 모두 기업성과에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기술과 저기술 기업으로 나눈 추가 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기적으로 기업의 지식자산 및 교육에 대한 투자가 혁신 및 기업성과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산업환경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 PDF

탑정저수지의 부영양화 특성 및 주요 변수 간의 상호관계 (Trophic State Characteristics in Topjeong Reservoir and Their Relations among Major Quality Parameters)

  • 박유미;이의행;이상재;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382-39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탑정저수지의 부영양화 특성을 알고, 주요변수간의 상호관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1995년부터 2007년까지의 환경부의 수질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변수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수질 변수는 연별, 계절별로 변이양상을 보였다. 탑정저수지의 TN과 TP의 연평균 값은 각각 1.78 mg $L^{-1}$, 0.03 mg $L^{-1}$로, TN:TP의 비율은 76으로 나타나 탑정저수지 내의 질소는 연중 부영양화를 초과한 상태이며 인은 호소의 1차 생산력에 대한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잠재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TP는 8월에 강수에 의한 희석 현상을 보이며, SS의 월별 변화는 CHL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BOD와 COD의 연평균 값은 각각 1.61 mg $L^{-1}$, 4.23 mg $L^{-1}$로 나타났으며 연별 변화 양상은 강수량과 관련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탑정저수지 내의 두 사이트는 공간적인 변이의 특성을 거의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탑정저수지 내의 TSI(CHL), TSI(TP)및 TSI(SD)는 중영양-부영양 상태를 보였다. 한편, TSI(TN)은 계절에 관계없이 전체 호소 내에서 TN 농도가 풍부한 부영양-과영양 상태를 보였다. CHL와 다른 수질 변수(TP, TN, 그리고 SD)사이의 관계를 로그-전환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TP에 대한 CHL의 계절별 회귀분석에 따르면 CHL의 변이는 TP의 변이에 의해 37% ($R^2$=0.37, p<0.001, r=0.61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N은 낮은 상관관계 ($R^2$=0.03, p>0.05)를 보였다. 또한 SD에 대한 CHL의 회기 분석에서는 CHL이 SD의 변이에 의해 33% ($R^2$=0.33, p<0.003, r=0.58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탑정저수지의 SD는 CHL에 의하여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TP는 탑정저수지의 부영양화 현상을 예측하는 핵심 인자로 사료되므로 부영양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수계로부터 인의 유입의 철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