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xy black ric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6초

찰흑미와 찰벼를 첨가한 혼합밥의 텍스쳐 (Texture of Cooked Milled Added Waxy Black Rice and Glutinous Rice)

  • 오금순;나환식;이유석;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3-219
    • /
    • 2002
  • 찰흑미와 찰벼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특히 찰흑미의 경우 그 감소속도가 찰벼보다 더 빨랐으며, a값(적색도)은 찰흑미와 찰벼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b값(황색도)의 경우 찰흑미는 감소하고 찰벼는 증가하였다. 찰흑미와 찰벼의 L값, a값 및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찰흑미와 찰벼를 첨가한 밥의 기계적 텍스쳐 인자들간에 있어서 찰흑미의 경우 모두 9% 첨가한 백미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탄성과 응집성을 제외한 다른 인자들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찰벼를 첨가한 밥은 탄성, 응집성, 씹힘성, 부착성 및 부착성과 경도의 비율이 9% 첨가한 백미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점성과 경도는 7% 첨가한 백미밥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는 찰벼의 경우 5% 범위에서 향과 경도, 향과 부착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른 인자들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관능검사 인자들간에는 찰흑미와 찰벼 모두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는데 모두 5% 범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들 인자들 중 두 시료 모두 맛과 종합적 기호도가 각각 r=0.7153과 r=0.5760으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찰흑미분을 첨가한 식빵의 물성학적 및 관능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read Added Waxy Black Rice Flour)

  • 김원모;김태형;이윤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99호
    • /
    • pp.337-345
    • /
    • 2007
  • The phys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reads made from waxy black rice flour (WBRF) and wheat flour were investigated. The waxy black rice bread was manufactured with 10, 20, 30, or 40% waxy black rice flour(w/w). The bread volume decreased from 2,096.7 mL to 1,703.4 mL as the WBRF content increased from 0% to 40%. The lightness(L-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WBRF concentrations, and the redness value(a-values) increased. The yellowness(b-values) sligh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WBRF content.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c겨mb were influenced by additions of WBRF. The breads containing WBRF had decreases in hardness for the 10% and 20% WBRF groups, whereas increases in hardness were shown with the 40% addition of WBRF. The springi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WBRF content. The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waxy black rice bread decreased at the 10% and 20% additions. In the sensory evaluation, sensory scores decreased with increasing WBRF content for the appearance, external color, crumb color and grain of the waxy black rice bread. Overall acceptability for the 10% and 20% WBRF addit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score of the control group.

진도산 검정쌀 전분의 분자구조적 특성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Chindo Black Rice Starch)

  • 박종훈;오금순;강길진;김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41-246
    • /
    • 2000
  • 진도산 검정쌀 전분의 분자 구조적 특성을 구명하고 신선찰벼와 비교 검토하였다. 진도산 검정쌀과 신선찰벼의 전분-요오드 복합체의 최대흡수파장은 각각 523 nm, 521 nm였고, 고유점도는 각각 183 ml/g, 178 ml/g였으며, ${\beta}-amylolysis$ limit(%)는 각각 62.8%, 60.3%였다. 진도산 검정쌀은 요오드 반응과 Sepharose CL-2B의 용출패턴 결과로 찹쌀임을 알 수 있었다. 진도산 검정쌀의 아밀로펙틴의 사슬 분포는 중합도 55이상(획분 I), 중합도 $40{\sim}50$(획분 II), 중합도 $15{\sim}20$(획분 III)으로 분포하였으며, 획분 II에 대한 획분 III의 비율(A/B 사슬비)는 진도산 검정쌀이 3.02, 신선찰벼가 2.82로 나타났다. 또한, 초장쇄 부분이 획분 I은 진도산 검정쌀이 신선찰벼의 아밀로펙틴 보다 많았다. 진도산 검정쌀의 아밀로펙틴 베타-한계 덱스트린 분자량 분포는 신선찰벼와 비슷하였다.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사슬 분포는 중합도 55이상(획분 I), 중합도 $30{\sim}45$(획분 II), 중합도 $10{\sim}20$(획분 III)으로 분포하였으며, 진도산 검정쌀과 신선찰벼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진도산 검정쌀 전분은 polymodal 구조를 갖는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선찰벼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였다.

  • PDF

찰흑미와 일반찰벼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n Waxy Black Rice and Waxy Rice)

  • 오금순;김관;박종훈;김성곤;나환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39-342
    • /
    • 2002
  • 찰흑미와 일반찰벼 쌀알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무게와 길이, 길이와 폭의 비율, 부피는 찰흑미가 더 높았으나 폭과 밀도는 두 시료 모두 비슷하였다. 찰흑미와 일반찰벼 쌀알을 침지온도($20{\sim}50^{\circ}C$)에서 40분 동안 침지하면서 일정시간별로 꺼내어 수분흡수량을 조사한 결과 40분까지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수분흡수속도상수($k_0$)는 침지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흡수속도상수($k_O$)는 찰흑미와 일반찰벼 모두 증가하였는데 $20^{\circ}C$에서는 찰흑미($0.0090\;min^{-1/2}$)와 일반찰벼($0.0108\;min^{-1/2}$)는 비슷하였으나 $50^{\circ}C$에서는 찰흑미($0.0252\;min^{-1/2}$)가 일반찰벼$(0.034\;min^{-1/2})$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4^{\circ}C$에서 침지한 두 시료의 수분흡수속도상수는 찰흑미가 $0.033\;min^{-1/2}$, 일반찰벼는 $0.058\;min^{-1/2}$으로 찰흑미가 약 2배 정도 더 느리게 수분을 흡수하였고, 쌀알의 경도감소속도($-k_h$) 또한 찰흑미($0.022\;min^{-1}$)가 일반찰벼($0.048\;min^{-1}$)보다 약 2배 정도 더 느리게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찰흑미를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Bread with Waxy Black Rice Flour Added)

  • 김원모;이윤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8-185
    • /
    • 2007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bread made from waxy black rice flour(WBRF) and wheat flour were investigated. The waxy black rice bread was manufactured with 10, 20, 30, or 40% waxy black rice flour(w/w). As the additive amount of WBRF were increased,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EAC(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were also increased. WBRF group showed the higher ac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EAC. The group with 10% WBRF adde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in metal chelating activity, but over 20% of addition, it had the higher metal chelating activ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PDF

찰흑미분 첨가 식빵의 저장기간별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af Bread Added with Waxy Black Rice Flour by Storage Period)

  • 김원모;이윤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48-258
    • /
    • 2011
  • 찰흑미분을 첨가한 식빵의 저장기간별 품질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찰흑미분을 밀가루에 10%, 20%, 30%, 40%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을 4일간 저장하며 수분활성도, pH, 색도, 텍스쳐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찰흑미분 첨가 식빵의 저장기간에 의한 수분활성도 측정결과를 기초로 했을 때, 대조군과 찰흑미분을 10%, 20% 첨가한 군은 저장 3일째부터, 찰흑미분 30%와 40%를 첨가한 군은 저장 2일째부터 유의적으로 낮은 수분 활성도를 보였다. 저장기간 동안의 pH의 변화에 대해서는 찰혹미분 40% 첨가군만이 저장 3일째부터 유의적인 pH 감소를 보인 반면 대조군, 10%, 30% 첨가군은 저장 2일째부터 유의적인 pH 감소를 보였다. 저장일에 의한 각 식빵군의 pH에 대해서는 찰흑미분 40% 첨가 식빵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보였다. 저장일에 따른 색도변화를 살펴보면 명도는 저장 2일째부터, 황색도는 저장 3일째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찰흑미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과 b값은 감소한 반면 적색도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경도, 검성, 씹힘성은 증가하였고, 찰흑미분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찰흑미분 30%와 40% 첨가군이 낮은 경도변화를 보였고, 탄력성에 대해서는 찰흑미분 첨가율이 증가함에 따라 탄력성이 감소되어 40% 첨가군이 가장 낮은 탄력성을 보였다. 찰흑미분 40% 첨가군은 저장 3일 까지는 제조당일에 비해 더 낮은 응집성을 보였다. 따라서 찰흑미분 30%를 첨가한 식빵은 다른 실험군 보다 저장 3일까지 더 좋은 품질특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 PDF

찰흑미와 일반찰벼 쌀가루의 이화학적 성질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Waxy Black Rice and Glutinous Rice)

  • 오금순;김관;나환식;최경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16
    • /
    • 2002
  • 흑미를 이용한 식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찹쌀계통의 흑미와 일반찰벼에 대하여 쌀가루의 물리화학적 및 이화학적 성질들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은 찰흑미가 9.01%, 일반찰벼는 7.54%였으며, 무기 성분들은 전반적으로 찰흑미가 다소 높은 값을 보였는데 그 중 Mg, K, Na, P 등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두 품종 모두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품종간에는 찰흑미가 조금 많았다.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38.57%, 36.95%)와 linoleic acid(38.60%, 39.10%)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이화학적 성질 중 찰흑미(93.26%)가 일반찰벼(87.42%)보다 물결합능력이 더 높았고, 팽윤력과 용해도는 50~6$0^{\circ}C$에서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지만 그 이후에는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7$0^{\circ}C$이후에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쌀가루의 최대흡수파장과 625 nm에서의 흡광도의 값은 각각 찰흑미가 520 nm, 0.054이고, 일반찰벼가 517 nm, 0.065이였다. X-선 회절도를 실험한 결과 회절각도(2$\theta$)는 15.1$^{\circ}$와 17.1$^{\circ}$, 18.0$^{\circ}$, 23.2$^{\circ}$의 전형적인 A형을 보였다. 이 X-선 회절도에서 상대결정화도를 면적비로 계산한 결과 찰흑미가 0.399, 일반찰벼는 0.405로 두 품종이 비슷한 상대결정화도를 보였다.

흑미를 첨가한 인절미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Properties of Injulmi made with Black Rice)

  • 조진아;조후종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6-231
    • /
    • 2000
  • Injulmi, a kind of traditional Korean sticky rice cakes, was prepared with the mixed flours of waxy and black rices in different ratio(0% to 25% black rice flour), and their quality properties were studied.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best acceptance was shown in the samples with 15% black rice flour. The scores for hardness, coarseness. chewiness, and flavor were increased as the added amount of black rice flour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amples ranged from 43 to 45%, and it was increased as the added amount of black rice flour increased. In color value, lightness(L value) was 27.43∼65.63. The redness(a value) was -2.01∼4.74, and the yellowness(b value) was -1.40∼4.59. The redness and blueness were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black rice flour. In the texture properties, the increase of added black rice flour increased th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Injulml, but decreased the adhesiveness. Based on the results, the optimal recipe for Injulmi added black rice flour was to make with 85% waxy rice flour ant 15% black rice flour.

  • PDF

찰흑미(상해항혈나) 전분의 열수가용성 및 불용성 물질 (Hot- Water Soluble and Insoluble Materials of Waxy Black Rice Starch)

  • 최경철;나환식;오금순;김성곤;김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9-222
    • /
    • 2005
  • 찰흑미(상해항혈나)에서 열수가용성 물질과 열수불용성 물질을 분리하여 그 전분의 겔 크로마토그래피 용출양상을 조사하였다. 열수가용성 물질은 찰흑미 전분이 16.6%,신선찰벼 전분이 13.4%였으며, 열수가용성 물질의 Sepharose CL-2B에 의한 용출양상은 두 시료 모두 void volume 부근에서 대부분 용출되었고, 열수가용성 물질에 대한 요오드복합체의 최대흡수파장은 신선찰벼 전분과 찰흑미 전분이 각각 522 nm와 520 nm로 생 전분에서의 요오드반응과 비교하여 약간의 이동이 있었다. 열수불용성 물질의 Sepharose CL-2B에 의한 용출양상은 열수가용성 물질의 용출양상과 서로 비슷하였으며 요오드복합체와의 최대흡수파장은 열수가용성 물질보다 낮았다.

찰흑미분을 첨가한 밀가루 반죽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with Waxy Black Rice Flour)

  • 김원모;김태형;이윤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6-246
    • /
    • 2006
  • The different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waxy black rice flour dough were investigated in dough with 10, 20, 30 and 40% of waxy black rice flour(WBRF). Water absorption and weakness of dough was increased, but stability of dough, high initial pasting temperature, viscosity at peak point and the volume were decreased after 2nd fermentation as the addition of WBRF was increased. In the 10% addition of WBRF, the dough showed similar rheological properties with those of control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