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shed algorithm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6초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구조 분석 - 오산시 남촌동의 산림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Forest Structure Using LiDAR Data - A Case Study of Forest in Namchon-Dong, Osan -)

  • 이동근;류지은;김은영;전성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5호
    • /
    • pp.279-288
    • /
    • 2008
  • Vertical forest distribu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understand various ecological mechanism such as succession, disturbance and environmental effects. LiDAR data provide information,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forest structure. The laser scanner survey provided a point cloud, in which the x, y, and z coordinates of the points are know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factors of forest structure such as individual tree isolation, tree height, canopy closure and tree density using LiDAR data and 2) to compare the forest structure between outer and interior forest. The paper conducted to extract the individual tree using watershed algorithm and to interpolate using the first return of LiDAR data for yielding digital surface model (DS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characters of edge such as more isolated individual trees, higher density, lower canopy closure, and lower tree height than those of interior forest. LiDAR data is to be useful for analyzing of forest structure. Further study should be undertaken with species for more accurate results.

지형기후학적 선형저수지 모델에 의한 유출해석 (Runoff Analysis by the Geomorphoclimatic Linear Reservoir Model)

  • 조홍제
    • 물과 미래
    • /
    • 제18권2호
    • /
    • pp.143-152
    • /
    • 1985
  • Horton의 지형법칙을 수문응답의 직접변수로 결합시켜 유출수문곡선을 재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Itrube 등의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eomorphologic IUH) 이론과 Bras 등의 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도(Georphoclimatic IUH) 이론을 Sukekawa가 제시한 홍수유출모델에 적용시켜, 지형인자 및 기후특성이 고려된 수문응답함수를 재구성하였다. 분석결과 본 이론의 실제 유역에 대한 적용이 우수하였으며, 유역을 m(1∼4)개의 저수지로 모델화할 때, 유역면적의 대소에 관계없이 유역을 2개의 저수지로 가정한 m=2인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천 차수법을 이용 유역을 모델화함으로서 본 이론의 확대해석이나 일반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영역분할을 사용한 동영상 데이터 장면 분할 기법 (Video Data Scene Segmentation Method Using Region Segmentation)

  • 염성주;김우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5호
    • /
    • pp.493-500
    • /
    • 2001
  • 동영상 데이터의 장면 분할은 내용기반 분석을 위해 필요한 기초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의 매 프레임을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통해 객체 중심의 작은 영역들로 나누어 각 영역이 연속적인 프레임 상에서 계속 존재하는가를 파악하는 방법을 통해 장면을 구분하는 새로운 영역기반 장면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각 영역들에 대한 형태와 공간상의 유사도를 측정해 영역들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를 동적 구간과 정적 구간으로 나누고 인접한 구간간의 유사도에 따라 그룹화 하는 방법을 통해 장면 분할을 시도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객체들을 표현하는 각 영역을 비교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명암 변화나 변화에도 오검출 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장면을 구분해낼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 PDF

WINFLOW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 유동해석 (Groundwater Movement Analysis Using the WINFLOW Model)

  • 최윤영;안승섭;김재광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03-115
    • /
    • 2003
  • This study examines groundwater movement system analysis and movement forecast algorithm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he target is Cheongha-myeon area, Bukgu, Pohang-city which has many difficulties in water supply during drought period. From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obtained values by WINFlOW model and observed values, it is thought that groundwater head distribution under steady flow is reflected well at the level of reliability Groundwater movement of study area shows stable pattern from western watershed to eastern coastal area while flow path is dense and steep in the center of the coastal area. The results of particle tracing for each well show a comparatively straight line from the western boundary side to the observation position at the upper area of the well, and are analyzed as it diffuses according to getting closer to the coast at the lower area of the well. The result of effect circle examination attendant on pumping amount in study area shows variation tendency that groundwater head decreases at the side and the lower area more than at the upper area of the well when groundwater flows from west to east(coast). As mentioned above, satisfactory results of groundwater movement analysis using WINFlOW model, two dimensional groundwater movement analysis model, are obtained through the great decrease of physical uncertainty of groundwater movement system.

경관유형 분류지표에 관한 연구 - 자연 및 농촌경관 유형도 작성을 중심으로 - (Classification Index for Landscape Type - focused on Natural and Rural landscape mapping -)

  • 임승빈;서정희;박향춘;정윤희
    • 농촌계획
    • /
    • 제13권1호
    • /
    • pp.41-50
    • /
    • 2007
  • Recently, it is demanded to study about landscape. Landscape is an environment factor for improving life, a social resource for establishing image and identity of the area and also a tourist resource for earning profit. With this importance, landscape planning is being performed by local governments. However, classification for a rule about landscape planning is not prepared yet. For this purpos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is definitely required.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presenting method of classification Natural and Rural Landscape. We used Arcview 3.2 to draw watershed of the site, and calculated the percent of landform. We also took a picture which explain the landscape and made a survey of classifying the landscape. Due to this study, we were able to frame an algorithm of the landscape classification. This will contribute to classify the landscape type. This study needs more specific researches because it was supposed to target the entire Gyeonggi-Do however it only covered several regions. Through this results, it would be expected to develop the map of landscape character.

설마천 유역의 토양수분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토양수분 시공간 변화양상의 특성화 (Characterizing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for Sulmachun Watershed Through a Continuous Monitoring)

  • 이가영;김기훈;김상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9-214
    • /
    • 2004
  • 국내산지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을 이용한 토양수분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대상사면을 측량하여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구축하고 흐름분배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측정지점을 선정, 역 측량하여 효율적인 측정 체계를 구축하였다. DEM을 통하여 대상산지사면의 지형을 파악, 활용하여 정적 습윤지수(steady-state wetness index), 반동력학적 습윤지수(quasi-dynamic wetness index)를 구하였다.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토양수분 자료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하고 각각의 습윤 지수의 특징을 분석하고 습윤 지수와 토양수분 실측치와의 유의성과 제한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GIS와 중력모형을 이용한 광역 하수처리권역 설정 (A Proposal of Distribution Method for Inter-Regional Sewage Treatement Zone Using GIS and Gravity Model)

  • 하성룡;박대희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요약문
    • /
    • pp.20-25
    • /
    • 1998
  • 본 연구는 광역 하수도계획에 관련된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GIS의 공간분석 능력과 D/B간의 정보교환 체계 그리고 중력모형의 공간상호작용력 계산구조를 이용하여 광역 하수처리 권역을 설정하였다. 도출된 영향인자는 경제 지표, 사회·정책 지표 그리고 환경지표로 구분되며, 공간정보와 속성정보간의 정보교환 체계는 GIS와 D/B간의 연계를 통하여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행정구역 중심의 하수도계획을 수계전반의 경제성과 환경성을 고려한 광역하수도계획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한다.

  • PDF

위성영상과 SEBAL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공간증발산량 산정 (Estimation of Spa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satellite images and SEBAL Model in Gyeongancheon watershed)

  • 하림;신형진;박민지;김성준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9-133
    • /
    • 2009
  • 본 연구에서 소개할 SEBAL (Surface Energy Balance Algorithm for Land) (Bastiaanssen, 1995) 모형은 Landsat이나 NOAA 또는 MODIS 같은 원격탐사 위성으로부터 획득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위성영상)를 이용하여, 지표에서 일어나는 증발산과 기타의 에너지 교환을 계산하는 이미지-프로세싱 모델이다. SEBAL 모형은 1995년 Bastiaanssen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 미국의 Idaho 주립대학과 Idaho Department of Water Resources에서 NASA와 기업의 지원을 받아 활발히 연구 되었으며, 25개의 sub model들을 이용하여 지표의 증발산량과 기타 여러 에너지 교환을 계산한다. 여기서, 열적외선 방사, 표시 및 근적외선 측정은 Landsat 또는 기타 여러 위성영상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SEBAL 모형은 이러한 자료를 활용한다. 모형에서의 증발산량(ET)은 에너지 균형원리를 통해 pixel-by-pixel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본 연구에서 SEBAL 모형은 한강 유역 내의 경안천 유역 증발산량 map 생성을 위해 6개년도 지점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어 추정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SEBAL 모형을 통해 생성 된 30m 해상도의 공간 증발산량 map의 활용성 평가와 검증이며, 검증을 위해 FAO Penman-Monteith 공식을 이용하여 추정된 증발산량 값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오차가 2.7% 이내로 나타났다.

  • PDF

누적 기울기를 이용한 2차원 전기영동 영상의 복잡영역 분석 알고리즘 (A Complex Region Analysis Algorithm of Two Dimensional Electrophoresis Images Using Accumulated Gradients)

  • 김미애;윤영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1-47
    • /
    • 2009
  • 단백질 연구에 획기적인 기여를 한 2차원 전기영동법에 의한 결과영상을 처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제안되었던 기존의 영상처리기법들이 가지는 문제점 중 하나인 단백질을 나타내는 여러 개의 스팟들이 겹치고 포화되고 있는 복잡영역에서 단백질 스팟을 하나로 인식하거나 검출이 불가능하여 오류를 범하게 되는 문제점에 대한 해법을 제안한다. 복잡영역내의 각 각점의 누적 기울기를 산출하고 누적 기울기 영상을 워터쉐드 기법으로 영역 분할하여 스팟을 분리한다. 그 결과 스팟 분리에 있어서 기존의 기법들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더 우수하고 효율적인 결과를 나타내며, 2차원 전기영동 결과영상에 숨겨져 있었던 단백질 스팟을 더 많이 검출할 수 있고, 예측의 범위 또한 확장시킨다.

MPEG-1,2로부터 객체 기반 MPEG-4 변환을 위한 고속 정보 추출 알고리즘 (Fast information extraction algorithm for object-based MPEG-4 conversion from MPEG-1,2)

  • 양종호;박성욱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1권3호
    • /
    • pp.91-10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MPEG-1,2로부터 객체 기반 MPEG-4로의 고속 변환을 위한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객체 기반 MPEG-4로의 변환을 위한 정보로써 객체 영상과 형상 정보, 매크로블록 움직임 벡터, 헤더정보가 MPEG-4로부터 추출된다.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면 객체 기반 MPEG-4로의 고속 변환이 가능하다. 가장 중요한 정보인 객체 영상 추출은 MPEG-2의 움직임 벡터와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의 인지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내에서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로 연속된 프레임에서 객체를 추적하게 된다. 수행 중 객체의 빠른 움직임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내더라도, 사용자가 개입하여 다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객체 추적 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객체 추출 단계와 객체 추적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객체 추출 단계는 블록분류와 워터쉐드 알고리즘으로 자동 분할된 영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개입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 있으나 손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객체 추적 단계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객체를 추적하는 단계로, MPEG-1,2 움직임 벡터와 객체 모양 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구해지고 워터쉐드 알고리즘으로 윤곽선 보정작업을 하였다 실험 결과 MPEG-1,2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객체 기반 MPEC-4로의 고속 변환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