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table fluctuat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19초

조위변동(潮位變動)으로 인한 호안제내(護岸堤內)의 침투(浸透) (Seepage in to a Dike due to Tidal Fluctuation)

  • 김상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71-84
    • /
    • 1985
  • 포화(飽和) 및 비포화(非飽和) 흐름을 함께 적용할 수 있는 transient flow 방정식(方程式)을 사용하여 조위(潮位)의 상계(上界) 하강(下降)에 따른 호안제(護岸堤) 내(內) 수두(水頭의) 시간적(時間的) 변화(變化)를 구하였다. 계산(計算)은 FEM 기법(技法)을 써서 흙 속의 흐름 문제를 해석하도록 개발(開發)된 전산(電算)프로그램 FLUMP로 행 하였는데, 본(本) 연구(硏究)에서 조위상승시(潮位上昇時)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이것을 일부분(一部分) 보완(補完)하였다. 호안제(護岸堤)는 두 가지 재료(材料)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10m의 일정(一定)한 조차(潮差)로 인한 제체(제체) 내(內) 수두(水頭)의 시간적(時間j的) 변화(變化)를 최대 96 시간까지 계산하였다. 제체(堤體) 배면(背面)의 지하수위(地下水位)는 최저(最低) 조위(潮位)로부터 0 m, 5 m, 및 10 m의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고 제체(堤體) 내(內) 수두(水頭)가 지하수위(地下水位)의 위치에 따라 어떻게 평형되어가는가 알아보았다. 해석결과(解析結果)에 의하여 조위(潮位) 상계(上界) 하강(下降)에 대응(對應)하여 제체(堤體) 내(內) 수두(水頭)도 변화(變化)하나 수두(水頭)의 변화진폭(變化振幅)은 위치마다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卽), 제체(堤體)의 상류면(上流面) 지단(趾端)에서 수두(水頭)의 진폭(振幅)이 가장 크고 상류면(上流面)에서 제체(堤體) 내(內)로 멀어질수록 진폭(振幅)은 차츰 줄어들며, 어느 위치를 넘어서면 수두(水頭)는 조위변동(潮位變動)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제체(堤體) 배면(背面)의 지하수위(地下水位)에 상응(相應)하는 어떤 평형된 수두(水頭)를 향(向)하여 안정(安定)되어간다. 제체(堤體)가 일시(一時)에 축조되었다고 가정하면 96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제체(堤體) 내(內) 수두(水頭)는 안정(安定)된 위치로 대락(大略) 접근(接近)하였다.

  • PDF

유역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고려한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 산정방안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by Considering Runoff Process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 in Watershed)

  • 정일문;김남원;이정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5호
    • /
    • pp.19-32
    • /
    • 2007
  •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어 온 지하수 함양량 산정방법은 지하수 감수곡선에 의한 기저유출분리법, 유역내의 집중형 개념모형에 의한 물수지 분석, 그리고 지하수위 변동곡선법으로 대별된다. 지하수 함양량은 기후조건, 토지이용 그리고 수문지질학적 불균질성에 따르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나타내므로 전술한 방법들은 이같은 특성을 다루기에는 많은 제약을 가진다. 이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합 지표수-지하수 모형인 SWAT-MODFLOW로부터 얻어진 물수지 성분을 기초로 한 새로운 함양량 추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천변에 위치한 지하수위는 하천흐름과 유사한 동적변화를 나타내는 반면 보다 상류부에 위치한 지하수위는 강수에 대하여 일정한 지체현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지하수위 변동의 특징은 함양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되므로 이 같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토양층을 통과한 물이 대수층 함양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적 지체를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SWAT 모형에서는 주어진 날에 대해 물이 토양층을 통과하여 대수층으로 함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지수형태의 감쇠가중함수를 가진 단일 저수지 저류 모듈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 모듈은 지체시간이 긴 경우나 추정된 함양의 시계열이 지하수위 시계열과 잘 맞지 않는 제한 사항을 가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포화대를 통과하는 시간 지체를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다단 저수지 저류 추적 모듈을 개발하여 SWAT모형에 탑재하였으며, 이 모듈내의 시간지체와 관련된 매개변수는 관측지하수위와 모의 함양량의 상관관계를 검토함으로써 최적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방법의 최종 단계는 모의 지하수위와 관측 지하수위, 그리고 관측 유역유출량과 모의 유출량을 검증함으로써 종결된다. 새롭게 제안된 방법을 우리나라 미호천 유역에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 분포를 추정하였는데 제시된 방법이 유역 모형의 효율성과 지하수위 변동법의 정확성이라는 장점을 모두 가진 방법이어서 추정된 일 함양량은 수리지질학적 불균질성, 기후조건, 토지이용과 토양층과 대수층의 거동까지 반영한 매우 개선된 값으로 판단된다.

괴산군 연풍면 일대 지하수 중 라돈 함량 분포와 변동 (Distribution and Change of Radon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in the Area of Yeonpung-myeon, Goesan-gun, Korea)

  • 조병욱;조수영;오종현;이병대
    • 지질공학
    • /
    • 제33권4호
    • /
    • pp.587-598
    • /
    • 2023
  • 지하수의 라돈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연구지역 지하수의 라돈 함량분포와 시기별 함량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0개 지하수공과 1개 하천수를 대상으로 2개월 간격으로 12회에 걸쳐서 라돈 함량 분석과 DTW(Depth to water table)를 측정하였다. 연구지역 중앙에 위치한 지하수의 라돈 함량은 37.0~2,675.2 Bq/L로 높았으나 연구지역 외곽에서는 10.6~37.9 Bq/L로 낮았다. 연구지역 중앙에 위치한 지하수의 라돈 함량이 높은 것은 옥천층군을 관입한 화강반암과 이에 따른 파쇄대가 발달하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연구지역 외곽에 위치한 지하수의 라돈 함량이 낮은 것은 화강반암 관입부로부터 떨어진 옥천층군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연구지역 중앙에 위치한 지하수의 라돈 함량 변화가 크게 일어나는 것은 연구지역 중앙이 저지대일 뿐만 아니라 계절별 지하수위 변화가 크게 일어나며 이로 인해 천부의 저 함량 라돈 지하수가 고 함량 라돈 지하수에 유입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무심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with Spatial-Temporal Variability at the Musimcheon Catchment)

  • 김남원;정일문;원유승;이정우;이병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5호
    • /
    • pp.9-19
    • /
    • 2006
  • 지하수 함양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지하수계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하수 함양량 추정방법은 지하수위 변동법, 기저유출 분리법, 연단위 물수지 분석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집중형 개념을 기반으로 하거나 국지적인 규모로 다뤄지기 때문에 기후조건, 토지이용, 토양조건, 수리지질학적 비균질성에 의한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의 토양 및 토지이용에 따른 비균질성을 반영할 수 있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SWAT 모형은 유역내 일단위 지표면 유출량, 증발산량, 토양저류량, 함양량, 지하수유출량 등의 수문성분을 계산할 수 있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미호천 유역의 최상류인 무심천 유역에 적용하였다. 2001년-2004년까지의 기간동안 지하수 함양량을 포함한 유역의 일단위 수문성분들을 모의하였으며, 유역출구점에서의 실측 일유춘자료와 모의 일유출자료의 비교를 통해서 모의결과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하수 함양량의 변동성은 토지이용도 뿐만 아니라, 유역경사와 같은 지형인자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직할시 영도지역의 정호간 지하수 간섭에 관한 수리지질 특성 연구 (A Study of Hydrogeological Properties Concerning to Groundwater Interference between Wells in the Yeongdo Island, Pusan, Korea)

  • 김항묵
    • 기술사
    • /
    • 제27권6호
    • /
    • pp.72-84
    • /
    • 1994
  • This is about an environmental study of groundwater interference by hydrodynamic dispersion between the well A and well C in Dongsam-dong, the Yeongdo Island, Pusan, Korea. The groundwater in the study wells come from the fracture zones deeply seated in welded lapilli rhyodacitic tuff of the Late Cretaceous Yucheon Group. The boring depth at the well A is 190 meters, and the optimal pumping rate of the well A is about 100 cubic meters per day therein. The fractured aquifers in impermeable welded tuff show the conjugate fracturing type and are of anisotropic. The aquifers along two fracture zones in the well A are 80 and 100 meters in depth, respectively. It is not suggested that those fractured aquifers are simply connected between the well A and C. The sea level fluctuation by ebb and high tides in a day is not effective to the groundwater table in the well A. The pumping for 15 days at the well A doesn't give rise to any changes of the groundwater levels in the neighbor well C. The radius of influence of the well A is measured as less than 200 meters. The measuring electric conductivity for the test of salt tracer doesn't testify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well A and the well C. There i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well A and the well C on the basis of the water analysis of those wells. the well A is located in the high content zone of salt much over the standard value for drinking, whereas the other wells B. C. D are in the low content area of salt below the standard value. It is elucidated for the high content zone of salt in Yeongdo around the well A to have been uplifted over 20 meters.

  • PDF

온양온천지구에서의 양수량-수위강하 관계 해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Quantity and Drawdown at the Onyang Hot Spring Area)

  • 정지곤;이철우
    • 지질공학
    • /
    • 제17권2호
    • /
    • pp.177-185
    • /
    • 2007
  • 우리나라 대부분의 온천은 자연용출된 온천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시추공 내에서 수중펌프로 양수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양수량에 따라 피압수두가 하강되어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온양온천지구를 대상으로 양수량과 수위강하의 관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온양온천지구 내에는 38개 공이 시추되어 있으며, 그 심도는 약 124-303 m이다. 이들 중 4개 관측공을 이용하여 피압수두를 관측하였으며, 관측 간격은 매 1-10분 간격으로 약 10개월간 관측하였다. 피압수두의 변화 양상은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라 1년 주기로 사인곡선(sine curve)을 보이고 있으며, 그 값은 지표로부터 약 98-139m 정도이다. 이때 양수량은 $2,300-4,800m^3/day$로 앙수량의 변화에 따라 수위강하가 변하고 있다. 따라서 각 수위강하에 대한 양수량의 관계를 해석하여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흐름 전위 특성을 고려한 수리시설물에서의 자연 전위 탐사 사례 고찰 (A Review on Past Cases of Self-potential Surveys for Dikes and Embankments Considering Streaming Potential)

  • 송서영;조아현;강경철;남명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6호
    • /
    • pp.1-17
    • /
    • 2021
  • Self-potential (SP) surveys measure naturally occurring differences in electrical potential in the absence of artificial sources and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since the first application in mineral explorations. Among various causes of SP occurrences, streaming potential is generated by the flow of groundwater, and makes SP surveys suitable for the exploration of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fractures, sinkholes and landslide occurrences. Recently, there has been many studies that applied SP surveys to monitor water leakage through dikes and embankments. In this review paper, we first review the characteristic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streaming potential in saturated or unsaturated porous media to introduce it in the embankment among various application field. After the review of the background theory, we review the past cases of field SP surveys on dikes and embankments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streaming potential data in the surveys. Further, by analyzing past studies of qualitative as well as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SP survey data, we show the possibility of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streaming potential data obtained on dikes and embankments. Consequently, it is hope that this review paper helps researches on SP surveys on dikes and embankments, and provides basis for interpretation methods of the SP data to identify leaked area and further leakage rate (or permeability).

한국의 대심도 암반 굴착 위험도 산정을 위한 인자 분석 (Analysis of Geological Factors for Risk Assessment in Deep Rock Excavation in South Korea)

  • 임명혁;이하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4호
    • /
    • pp.211-220
    • /
    • 2021
  • 한국의 대심도 (>40m 깊이) 터널 공사 시에 터널 붕괴 사고가 종종 일어나고 있으며, 도심지 지하공간의 얕은 심도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지반에는 자연 공동뿐만 아니라 상수도관, 하수도관, 전력구 및 지하철 건설로 인한 인위적인 공동들이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다. 대심도 터널 굴착을 위해서는 이러한 다공질의 특성을 보이는 다양한 지반의 특성 및 지질구조가 지반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의 대심도 굴착에서 암반의 위험 산정을 위한 위험 인자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심도 터널 굴착시 지반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총 7개의 카테고리들과 총 38개의 인자들이 도출되었다.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인자들은 단층 및 단층점토, 차응력, 암종, 지하수 및 머드 유입, 암석의 일축압축강도, 터널 단면의 크기, 터널 상부 암반의 두께, 카르스트 및 계곡지형, 습곡, 석회암의 협재, 지하수위 변동, 터널 심도, 암맥, RQD, 절리 특성, 이방성, 암반파열(rockburst)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주둔한 미군지역내에서의 모기 성충과 유충 채집(1979~1983) (Collection of Adult and Larval Mosquitoes in U.S. Army Compounds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1979~1983)

  • 이관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102-108
    • /
    • 1984
  • 본 논문은 1979∼1983년에 걸쳐 한국내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지역에서 5월부터 10월간 유문등(New Jersey)에 의한 모기 성충 채집과 그리고 유충 채집을 실시한 것이다. 성충 채집수는 연평균치로 나타냈으며 유문등당 1일 채집수를 표시하여 미군영내에 출현하는 모기 종과 출현시기 및 그 밀도를 파악하여 모기 구제대책을 강구하는데에 기본자료로 이용하였다. 모기 구제를 위한 살충제의 살포 기준은 자충의 탐집수가 2단 계속 10마리를 초과하거나 매개근로 알려진 자충이 5마리 이상 채집될 때 그 주변에 살포작업을 실시하도록 건의하였다(미륙단규정 TM 5-632 p.7-3참고). 1. 모기 탐집을 실시한 지역은 5개도내의 12개지역으로 39개의 유문등이 설치되었으며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종은 3속 17종으로 분류되었으며, 그중 개체군의 밀도가 높아 구제대상으로 생각되는 종은 다음의 3속 4종으로 나타났다. 1) Anopheles sinensis (40.2%, 2) Culex tritaeniorhynchus (31%), 3) Aedes vegans nipponii(19%, 4) Culex pipiens pallens (10%). 2. 유준등 설치지역은 경기도내 5개지역, 강원도 2개지역, 충남 1개지역 경북 3개지역 경남1개 지역으로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중요 모기종은 공통적으로 같은 종류였으며 출현시기도 대체로 일치하였다. 특히 매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뇌염매개종인 Culex tritaeniorhynchus는 출현시기가 7∼9월간이었으며 그중 8월이 나정기로 나타났다. 3. 미군험둔지역에서 체사된 유충서식지는 16개 형태로 구분되었으며 그곳에서 채집된 유충은 4속 15종으로 분류되었다. 확인된 유충서식처는 일반적으로 우기에 존재하는 일시적인 장소가 많았다. 4. 경기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종과 높은 채집률을 보인 것은 유문등설치장소가 주로 논과 접해 있는 농촌지역내에 속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