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soluble sugar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5초

Anti-Complementary Propertie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Fruit Bodies of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Kweon, Mee-Hyang;Jang, Hyo;Lim, Wang-Jin;Chang, Hyo-Ihl;Kim, Chan-Wha;Yang, Han-Chul;Hwang, Han-Joon;Sung, Ha-Ch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450-456
    • /
    • 1999
  • A high molecular-weight water-soluble fraction(PO) obtained by the ethanol precipitation of 0.1 N NaOH extracts of the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showed 82% anti-complementary activity for complement consumption hemolysis. The PO consisted of 42% carbohydrate (w/w), 50% protein (w/w), and 3% uronic acid (w/w). Fifty-eight percent of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y decreased by periodate oxidation and 22% by protease digestion, suggesting that the sugar and protein moieties are essential for this activity. Two polysaccharide fractions, PO-IIIa-1 and PO-IIIa-2, with anti-complementary activity were isolated from the PO using DEAE-Sepharose FF followed by Sephadex G-75 and Sepharose CL-6B gel permeation chromatographies. The PO-IIIa-2 was found by HPLC to be nearly homogeneous, with the molecular mass of 531 kDa, and showed 96% $ITCH_{50}$ (inhibition against the total complement hemolysis of deionized water as the control)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This fraction contained galactose, mannose, fucose, and glucose with molar ratios of 1.75:1:0.65 and 0.59,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galactose and mannose units in the PO-IIIa-2 were composed of TGalp1 ->, ->6Galp1->, ->2,6Galp1->, and ->Manp1->. The PO-IIIa-1 (molecular mass of 2000 kDa), exhibiting higher activity than the PO-IIIa-2, was further purified into two fractions, unbound proteoglycan (PO-IIIa-1A) and bound glucomannan (PO-IIIa-lB), by affinity chromatography using ConA-Sepharose CL-4B.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each affinity purified fraction de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the native PO-IIIa-1 fraction, indicating that the formation of complex between both polysaccharide fractions was necessary for full anti-complementary activity.

  • PDF

다중층 과립 시스템에서 니페디핀의 방출 제어 (Controlled Release of Nifedipine in Multi-layered Granule System)

  • 이수영;윤주용;김병수;김문석;이봉;강길선;이해방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4호
    • /
    • pp.229-235
    • /
    • 2007
  • Multi-layered granules were prepared by a fluidized-bed coater and uniformed granules were obtained with a size range between $950{\sim}1000{\mu}m$ in diameter. The granule system was composed of three layers, i.e. seed layer with sugar sphere bead and a water-swellable polymer, middle layer with a drug, solubilizer and polymer, and the top layer of porous membrane with a polymeric binder. The aim of this work is to find out the dependence of a drug dissolution rate on the amount of a water-soluble binder and a solubilizer in the granule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amount of hydrophilic binder in the porous membrane, gave the bigger pore size and porosity and made faster dissolution rate and also the higher amount of solubilizer in drug layer enhanced the dissolution rate of drug.

진공농축에 따른 감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Vinegar by Vacuum Concentration)

  • 이부용;육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32-113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감식초의 유효성분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음용시 느껴지는 이취인 톡쏘는 향과 맛을 약화시켜 섭취하기 부드럽게 하고, 좋은 식품소재로서 감식초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감식초 농축액을 제조할 때 진공농축 정도에 따라 변하게 되는 이화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여 적정 농축방법을 확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감식초를 진공농축시킴에 따라 색도, 점도, pH, 산도, 유기산함량, 유리당 함량과 같은 이화학적 특성들은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음용시의 기호도와 다른 식품소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감식초의 농축정도는 $30^{\circ}Bx$ 이하로 진공농축하여 음용시 이취나 이미로 작용하는 너무 강한 톡쏘는 맛과 향을 어느 정도 제거시켜 적당한 맛과 향을 유지하게 하고 유효성분을 최대한 보존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plement-activating Acidic Polysaccharides from the Fruits of Capsicum annuum

  • Paik, Soon-Young;Ra, Kyung-Soo;Chang, In-Seop;Park, Yoon-Chang;Park, Hee-Sung;Baik, Hyung-Suk;Yun, Jong-Won;Choi, Jang-Won
    • BMB Reports
    • /
    • 제36권2호
    • /
    • pp.230-236
    • /
    • 2003
  • Hot water-soluble crude polysaccharide (HCAP-0) that was obtained from the fruits of Capsicum annuum showed potent anti-complementary activity. The activity was unchanged by pronase digestion, but decreased by periodate oxidation. The HCAP-0 was fractionated by DEAE ion-exchange chromatography to give two major fractions, HCAP-II and III. These two fractions were finally purified by gel filtration to give HCAP-IIa, HCAP-IIIa1, and IIIa2 fractions that had high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The HCAP-IIIa1 and IIIa2 consisted of homogeneous polysaccharides.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were unaffected by treatment with polymyxin B, indicating that the modes of complement activation were not due to preexisting lipopolysaccharide. The molecular weight and sugar content of HCAP-IIIa2 had potent anti-complementary activity. The highest yields were 55 kDa and 75.9%, and the molar ratio of galactose (Ara:Gal, 1.0:4.6) was higher than other sugars. The crossed immuno-electrophoresis showed that both classical and alternative pathways were activated by HCAP-IIIa2.

효소처리한 미선나무 잎의 용매 추출 후 이화학적 품질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Quality of the Extracts by Solvents in the Enzyme-Treated Abeliophyllum distichum Leaves)

  • 이경행;장다빈;이재준;한기정;배경아;이원종;권순영;이호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2-49
    • /
    • 2023
  • To enhance the efficacy of Abeliophyllum distichum leaves,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solvents for hydrolytic enzyme-treated Abeliophyllum distichum leaves. Physicochemical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measured. Soluble solids, reducing sugar, ascorbic acid, flavonoids, and polyphenols contents showed the lowest values in the control without enzyme treatment. However, they showed high contents in ethanol extract. In the case of enzyme treatment, their valu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n particular, verbascoside content increased about 220 times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en treated with enzymes and extracted with 50% ethanol. pH was lowered upon enzymatic treatment. Regard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enzyme-free, 25%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mong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For cellulase and pectinase-treated leaves,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For leaves treated with enzyme combination, 50%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Regarding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t was generally higher in the 50% ethanol extract than in the water extract and 25% ethanol extract. In particular, verbascoside content was increased when the extract was prepared by co-treatment with enzymes and 50% ethanol.

단호박과 늙은 호박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활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 김성란;하태열;송효남;김윤숙;박용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1-177
    • /
    • 2005
  • 생과의 저장기간이 짧아 가공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단호박의 이용 확대와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의 활용을 위해 국내에서 건강식품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늙은 호박과 단호박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단호박의 당도는 $14-16^{\circ}Brix$로 늙은 호박보다 높았으며 경도는 단호박이 1,602g, 늙은 호박이 788g로 나타났다. 단백질과 지방함량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은 단호박이 늙은 호박보다 높았다. 유리당 함량도 단호박이 늙은 호박의 2.1배에 달했고, 당 조성도 sucrose가 83%로 가장 많았다. 단호박의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인 반면, 늙은 호박의 주요 유기산은 malic acid였다. 단호박은 비타민 $A,\;B_1,\;B_2,\;C$의 함량이 모두 늙은 호박보다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Ca Na, K, Mg 및 P함량은 유사하였으나, Fe함량은 단호박이 높았다. 펙틴을 분획별로 분리하고 함량을 분석한 결과 단호박 알콜불용성고형물(AIS)의 총 펙틴 함량은 17.00%였으며 염산가용성펙틴(HSP)의 함량이 7.37%로 가장 많았다. 늙은 호박 AIS의 총 펙틴 함량은 25.14%였으며 이중 절반 이상인 16.51%가 수용성펙틴(WSP)이었다. 호박의 대표적인 기능성 성분인 카로틴 함량을 정량한 결과 단호박의 카로틴 함량은 285.91mg%로 늙은 호박의 24.62mg%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HPLC로 정량한 카로티노이드의 조성에도 큰 차이가 있었다. 단호박은 전자공여에 의한 래디칼 소거능이 크고, SOD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으며, 이들의 활성은 늙은 호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배추 김치의 숙성과정 중에 나타나는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조희숙;박복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00-608
    • /
    • 2006
  • 토하액젓, 멸치액젓 및 새우젓을 각각 첨가하여 담근 양배추 김치를 4${\pm}$1$^{\circ}C$에서 49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경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군에서 점차로 낮아졌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젓갈 첨가 양배추 김치의 경우 대조군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산화환원전위 값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7일 전까지는 급격하게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는데, 새우젓 첨가 양배추김치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총 비타민 C 함량은 젓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양배추 김치의 발효숙성 중 명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멸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가 가장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다가 35일 이후부터 다시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적색도와 비슷한 경향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경도는 발효숙성 14일까지 모든 시료에서 감소되었으며, 그 이후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는데, 멸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 대조군, 새우젓 첨가 양배추김치 및 토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 펙틴의 함량은 숙성과정 중 산가용성, 염가용성 및 열수가용성 펙틴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용성 펙틴질인 열수가용성 펙틴 함량은 감소하였고, 저 methoxyl 기를 가진 염가용성 펙틴과 protopectin인 산가용성 펙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젓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산가용성 펙틴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젓갈을 첨가하여 담근 양배추 김치에서 대조군보다는 토하액젓과 새우젓 첨가 양배추 김치가 환원당, 총 비타민 C, 경도, 열수가용성 펙틴 및 산가용성 펙틴에서 높게 나타났다.

늙은 호박의 부위별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 박용곤;차환수;박미원;강윤한;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9-646
    • /
    • 1997
  • 늙은 호박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연구로서 호박의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카로데노이드 및 펙틴물 질의 함량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호박의 중량에 대해 과육부위가 84%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나타내었고, 껍질이 10%, 내부 섬유상물질이 3.5%를 차지하였다. 호박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과육부는 fructose와 glucose가 전체 유리당의 87%를 차지한 반면 내부 섬유상물질은 sucrose의 함량이 높았고, 총 유리당 함량은 과육부가 섬유상부위 보다 3배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과육부는 serine이 102.0mg%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45%, 섬유상부위는 aspartic acid가 241.3mg%로 70%를 차지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은 호박의 부위에 관계없이 aspartic, glu-tamic acid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은 malic, cit-ric, succinic, fumaric acid로 구성 되어 있었으나 malic acid가 과육의 경우 85.2mg%, 섬유상 부위의 경우 226.5mg%로서 전체 유기산의 63~70%를 나타내었다 총 카로테노이드의 함량은 내부 섬유상물질이 65.3mg%로 호박 총 카로테노이드의 87%를 차지하였고, 과육, 껍질은 각각 6.6, 3.3mg%였다. 호박의 가용성 펙틴 함량은 수용성 펙틴이 총가용성 펙틴의 58%를 차지하였고, 섬유상부위가 과육부에 비해 그들의 총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펙틴의 분자량 분포를 조사한 결과 과육부의 펙틴이 섬유상에 비해 다소 분자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박펙틴의 중성당은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로 분리되었고, 이중 과육은 galactose가 45%, 섬유상은 glucose가 36.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전남지역 김장 배추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for the Winter around Chonnam Area)

  • 박복희;조희숙;유맹자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7-65
    • /
    • 2003
  • 전남 지역의 김장 배추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2개 지역의 김장 배추김치를 수거하여 -1$\pm$1$^{\circ}C$의 김치냉장고(ANAX, KC-070S)에 보관하면서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김치 담그는 시기는 2001년 11월말부터 12월 중순이였으며 8개월 가량 숙성한 뒤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배추김치는 pH는 4.75 정도였으면 산도는 0.84% 수준이었다. 염도는 3.50%였으며, 환원당은 13.25mg%를 나타내었고, 김치의 저장 과정 중 커다란 변화중의 하나인 총 비타민 C는 10.18mg%가 함유되어 있었다. 휘발성 산도는 0.09%를 나타냈으며, 산화환원 전위값은 시료간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Eh/sbu 7/ 값이 -134.08mV였다. 색도는 L값이 52.29의 높은 값을 보였으며, a값과 b값은 19.68 및 27.69를 나타내었다. 미생물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총 균수는 5.5${\times}$$10^{6}$을 나타내었고, 총 젖산균수는 4.6${\times}$$10^{5}$, 총 효모수는 8.8${\times}$$10^{5}$을 나타내었다. 김치의 조직감의 변화를 기계적으로 측정한 결과 9.26kgf로 나타났다. 펙틴 조성의 변화를 보면 알코올불용성 고형물함량은 5.53%를 나타내었고, 알코올불용성 고형물로부터 분리해 낸 열수가용성펙틴(HWSP), 염가용펙틴(NaSP), 산가용성펙틴(HClSP)의 함량비를 살펴보면, methoxyl group이 비교적 많은 수용성 펙틴인 열수가용성펙틴(HWSP)은 17.35%, low methoxyl group을 갖고 있는 펙틴질인 염가용성펙틴(NaSP)은 29.65%, protopectin의 양으로 표시되는 산가용펙틴(HClSP)은 53.0%로 나타나 산가용성펙틴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높았다.

  • PDF

증숙 및 건조 조건이 호박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Steaming and Drying Temperature Condition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umpkin Powder)

  • 신동선;유선미;박보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42-74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증숙 및 건조 온도를 달리하여 호박분말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 색도,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지수, 총 카로틴 함량,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료는 숙과형 호박인 맷돌호박을 사용하였으며 일정한 크기($4.5{\times}4.5$ mm)로 세절한 다음 $100^{\circ}C$에서 30초 또는 60초 동안 증숙하였고 열풍건조 온도를 40, 50, 60 및 $70^{\circ}C$로 달리하여 호박분말을 제조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은 건조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당도 및 수율은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호박 분말의 색도의 변화는 건조 온도가 높을수록 L, a 및 b값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 수분흡수지수와 수분용해지수는 증숙 60초 처리군이 증숙 30초 처리군보다 건조 온도가 높을수록 수분흡수지수는 증가하였고 수분용해지수는 감소하였다. 총 카로틴 함량은 증숙 및 건조 온도가 높을수록 카로틴 함량의 파괴율이 더 높았다.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증숙 및 건조온도는 즉석용 호박분말의 품질을 좌우하는 영향인자로서 중요성을 나타내는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