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ater quality change

검색결과 1,230건 처리시간 0.026초

친환경 투수 콘크리트 바이오 블록의 개발 (Development of Environment Friendly Permeable Concrete Bio Blocks)

  • 송현우;이중우;권성민;이태형;오영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05-311
    • /
    • 2020
  • 지구온난화에 따른 연안의 해수면 상승은 해안에 가해지는 파랑에너지의 상승을 유발한다. 이러한 해수면의 상승은 상대적으로 수심이 깊어지는 효과를 초래하고 이는 과거 발생하지 않았던 해안지역의 침식 및 해빈에서의 모래를 유실시킨다. 일반적으로 연안침식에 대응하는 방법은 호안을 쌓아 보호하게 되는 경성공법으로 외력의 변화에 따라 현장여건에 맞는 호안의 경사, 단면형상 및 재료를 선택하게 된다. 하지만 현상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에 근거한 공법 적용으로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신뢰도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및 융합기술 도입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파랑저감에 효과적인 다공성 구조물 바이오코스트(Biocoast)를 활용하여 해안침식피해억제를 위한 친환경 투수 바이오폴리머 콘크리트 블록을 개발하였다. 자연에서 내구성이 강하고 안정된 구조인 벌집, 주상절리, 클로버에서 정육각형 모양과 삼각형의 복합체로 디자인을 도출하였으며, 월파방지와 처오름 현상 감소를 위해 바이오코스트로 요철(凹凸)을 적용하도록 디자인에 변화를 가하였다. 한국 동해안의 해수욕장의 자연조건을 반영하여 디자인 한 블록의 중량과 크기를 계산하여 실형을 제작하고 이를 현장에의 설치를 앞두고 있다. 특히, 자연해변 및 호안시설에 대해 자연 및 인위적 외력에 의한 침식과 세굴로부터 연안을 보호하고, 블록의 단위화를 통해 품질관리 및 공정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하천, 호수의 호안과 자연산책로에 확장 적용하고자 한다.

비도시 유역에서 수질오염물질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in Non-urban Area)

  • 전지홍;함종화;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215-22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비도시 유역에서 수질오염물질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화옹간척지구의 상류 유역두 지점에서 1999견 강우시와 비강우시의 수질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오염물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비강우시에는 오염물질간 뚜렷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강우시에는 SS-TP, SS-COD, TP-COD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TN과 다른 오염물질사이에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오염물질간의회귀분석결과는 SS-TP, SS-COD사이에는 반 대수함수의 경향을 나타내고 유역특성에 영향을 받았으며, TP-COD는 선형함수의 경향을 나타내고 유역특성에 영향을 적게 받았다. 본 연구에서 발표한 수질오염물질 사이의 회귀식들은 유역의 특성에 영향을 받겠으나 화옹지구는 물론, 자료가 부족한 다른 비도시 유역에도 기본계획 단계에서는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리취 첨가량을 달리한 수리취 절편의 특성 (Effect of the Addition of Surichwi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richwijulpyurn)

  • 김명희;박미원;박용곤;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4-98
    • /
    • 1994
  • 수리취 첨가량(0~40%)을 달리하여 제조한 절편의 색도 중 L값은 수리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높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고 각 첨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경도와 탄력성은 수리취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각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고 탄력성 또한 경도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부착성과 응집성은 수리취의 첨가량에 따른 일정한 증감의 경향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점착성과 씹힘성은 무첨가군이 가장 높고40% 첨가군이 가장 낮아 수리취의 첨가량이 낮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절편의 색, 향기 및 쫄깃한 정도는 수리취 2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 선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달라붙는 정도는 수리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손에 더 잘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취 절편을 2$0^{\circ}C$에 저장하면서 시간별 절편의 텍스쳐 변화를 조사한 결과 수리취를 20, 30% 첨가하여 제조한 절편은 무첨가 및 10% 첨가군에 비해 저장 전기간 동안의 경도 증가의 변화폭이 적어 저장 72시간 이후에도 초기에 비해 2.4~3.0배의 경도 증가를 나타내었다. 점착성 및 씹힘성은 경도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여 씹힘성은 저장시간에 따른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으며 점착성은 0, 10, 20 및 30% 첨가군에 서는 높은 유의차를 보이나 40% 첨가군에서는 유의차가 뚜렷하지 않았고, 수리취 첨가량에 대해서는 점착성, 씹힘성 모두 각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응집성은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부착성은 저장시간 및 수리취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1% 중조용액에서 삶은 수리취와 8시간 수침한 쌀을 이용차여 수리취의 첨가량이 각기 다른 절편을 제조할 경우 경도와 탄력성은 수리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20% 첨가 절편이 색, 향 및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가장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이들 절편을 2$0^{\circ}C$에 저장할 경우 수리취가 첨가된 절편은 무첨가군에 비해 저장 중 절편이 굳어지는 것이 훨씬 지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레토르트 파우치 방법에 의한 찰옥수수의 저장성 향상 (Improvement of Storaging Ability of Waxycorn by Retort Pouch Technique)

  • 허남기;김경대;최병곤;김경희;민황기;권혜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47-151
    • /
    • 2005
  • 본 시험은 식품의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고 간편하게 유통할 수 있는 Retort pouch 기술을 찰옥수수에 접목시켜 저장 중 품질유지 및 저장비용 절감을 위하여 찰옥수수 레토르트 가공 적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품적성은 식품공전에 의한 저장전 레트로트 식품규격에 따른 성상 및 세균 조사결과 모든 처리에서 팽창되지 않았으며 세균검출 시험결과도 음성으로 나타났다. 2. 미생물 활성과 부패에 관여하는 수분활성도 측정결과 30일 저장후 부터 레토르트 공정전 전처 리로서 열수처리에서는 일반곰팡이 번식 조건인 0.80보다 높은 $0.81\~0.87$로 나타났으며 60일 후에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증숙처리, 급속냉동처리 등에서는 일반 부패세균 및 곰팡이 번식조 건 0.80 이하로 안정성으로 나타났다. 3. 색도색차는 냉동+레토르트 처리시 타처리에 비하여 어두워 외관상 상품성이 떨어졌고 레토르트 처리시 $121^{\circ}C$의 10분간은 색깔이 우수하였고 저장조건은 $5^{\circ}C,\;15^{\circ}C$ 보다 $-20^{\circ}C$ 냉동저장이 다소 우수하였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4. 저장기간에 따른 유리당 함량은 저장조건에 따른 미량의 차이는 있었지만 뚜렷한 경향은 없었다. 5. 식미는 저장 60일부터 레토르트 공정전 무처리, 열수처리 및 급속냉동처리에서는 식미가 떨어지고, 이취가 발생하여 저장성이 떨어졌으나 증숙 처리한 옥수수는 $5^{\circ}C,\;15^{\circ}C$ 저장시 $20^{\circ}C$에 냉동 저장된 시료와 큰 차이 없이 양호하였다.

삽교호의 오염물질 유달률 산정 조사 및 평가연구 (Estim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Pollutant Delivery Rate of Sapkyo Reservoir)

  • 이영신;신상희;이태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29-3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삽교호 지역을 대상으로 오염물질에 따른 구역별 유달률을 산정하고 오염물질 부하량에 따른 유달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삽교호 주변의 주요하천은 남원천, 도고천, 삽교천, 무한천, 곡교천이고 5개 주요하천의 강우 시 유달률과 그 특성을 조사되었다. 그 결과 삽교호 조사 유역 전체의 유달률 BOD는 0.40, 총질소(T-N)는 0.34, 총인(T-P)은 0.08이었고 T-P의 유달률은 다른 수질항목에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유역 전반의 특성을 살펴보면 T-N과 T-P의 유달률은 연중 변화가 거의 없었다. T-N의 유달률은 갈수기 때에 0.2~0.3이었고 홍수기 때에는 0.31~0.39였다. T-P의 유달률은 갈수기에 0.3 이상, 홍수기 때에 0.11의 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연평균 유달률인 0.08과 비슷한 값이다. 본 조사에서 계측한 각각의 유달률은 토지이용과 지형 특성이 유사한 지역의 유달률처럼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포장필름의 두께가 청매실의 저장중 펙틴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Pectic Substance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as Influenced by the Thickness of Packaging Film during Storage)

  • 차환수;정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1-628
    • /
    • 2002
  • 청 매실을 수확한 후 LDPE 필름 포장재에 넣어 상온에서 일정 기간 보관할 때 포장재의 두께가 청매실의 조직 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 30, 40$\mu\textrm{m}$두께의 포장재에 청매실 500 g씩을 각각 넣고 8일간 보존하면서 경도의 변화 및 무기성분과 펙틴질 성분의 함량 변화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무포장구의 경우와 비교하였고, 세포벽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저장 중 매실의 연화와 관련된 경도와 펙 틴질의 감소 및 가용성펙틴 중 Ca 함량의 감소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LDPE 30 포장재에 저장된 시료가 8일 동안 무포장구나 다른 포장재에 저장된 시료에 비 해 각종 펙틴질 성분 및 무기 성분의 변화와 그에 따르는 경도 변화가 가장 적었고 가용성 펙틴의 분자량 분포도 초기 상태와 가장 유사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하여 관찰된 외 형적인 상태도 LDPE 30 포장재에 저장된 시료가 저장전의 상태를 가장 잘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찌는 시간과 양파 첨가량에 따른 깻잎장아찌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Preparation of Perilla Jangachi according to Steaming Time and Onion Contents)

  • 이혜란;남상민;이종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53-662
    • /
    • 2002
  • Korean native Perilla Jangachi (salted and fermented vegetable) is popular and well-known but little study on its composition and most palatable condition has been repor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change in the contents of chemic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of Perilla Jangachi which was prepared through two processing. First, as a pretreatment, Perilla leaves were soaked in salt water. The optimal level of salt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salt 4%, soaking time 42hours) was determined. Second, soaked Perilla Jangachi was steamed and then fermented in various ingredients like soy sauce, sugar, onion and so on. In this study, Perilla Jangachi was made by 3 levels of steaming time(30 seconds, 60 seconds, 90 seconds) and onion contents (10%, 30%, 50%). The optimal level of onion contents and steaming time was determined with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analysis of composition. Sodium contents were decreased as the levels of onion contents were increased. Flavonoids contents weren't increased although contents of onion were increased. But they were influenced on steaming time that as the levels of steaming time were shortened, flavonoids contents were increased. To lengthen the shelf-life of Perilla Jangachi, the activities of enzyme peroxidase - which changes Jangachi's quality bad - by various levels of steaming time were measured. After steaming 50 seconds, peroxidase became inactive. Reducing sugar contents were decreased relying on either increased steaming time and onion contents. While steaming 30 seconds and 10% onion contents,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 was 0.858% but steaming 90 seconds and 50% onion contents, it became 0.372%. Among the sensory attributes, brownness was increased as onion contents increased and steaming more than 60 seconds. Saltiness, sweetness, perilla flavor were greater relying on decreased onion contents. Toughness was decreased as both the amounts of onion and steaming time were increased. With this results, the most optimal adding level of onion content and steaming time was determined. Steaming 72 seconds and adding onion 27% was established as a optimal condition of Perilla Jangachi.

Bacillus sp. koji가 고추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Prepared by Bacillus sp. Koji)

  • 김동한;최희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74-1181
    • /
    • 2003
  • 고추장의 품질 개선을 위하여 Aspergillus oryzae koji의 일부를 Bacillus sp. koji로 대체$(0{\sim}100%)$하여 고추장을 담그고 숙성중의 효소활성도와 미생물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추장 숙성중의 amylase의 활성은 Asp. oryzae koji구에서 높았으나 protease 활성은 Bacillus sp. koji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고추장 숙성중의 효모수와 세균수는 Bacillus sp. koji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많았다. 고추장의 색도는 Bacillus sp. koji 고추장이 값이 높아 진한 붉은 색을 띄었으며 숙성중에 ${\Delta}E$값의 변화도 적었고 점조성과 Aw는 높았다. Bacillus sp. koji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고추장 숙성중의 pH가 높아 적정산도는 낮았다. 고추장의 환원당은 Asp. oryzae koji구에서 높았으나 알콜 함량은 차이는 적었다. 고추장 숙성중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Bacillus sp. koji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나 암모니아태 질소는 적었다. 12주 숙성시킨 고추장의 맛, 색, 향기는 모두 Bacillus sp. koji를75% 첨가한 고추장에서 양호하여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p<0.05)으로 좋았다.

Investigation of Drying Kinetic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White Radish Strips under Microwave Drying

  • Lee, Dongyoung;So, Jung Duk;Jung, Hyun Mo;Mo, Changyeun;Lee, Seung Hyu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3권3호
    • /
    • pp.237-24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 investigated the effect of microwave power intensity and sample thickness on microwave drying characteristics of radish strips, and (b) determined the best-fit drying model for describing experimental drying data,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D_{eff}$), and activation energy ($E_a$) for all drying conditions. Methods: A domestic microwave oven was modified for microwave drying and equipped with a small fan installed on the left upper side for removing water vapor during the drying process. Radishes were cut into two fixed-size strip shapes (6 and 9 mm in thickness). For drying experiments, the applied microwave power intensities ranged from 180 to 630 W at intervals of 90 W. Six drying models were evaluated to delineate the experimental drying curves of both radish strip samples. The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D_{eff}$) was determined from Fick's diffusion method, and the Arrhenius equation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activation energy ($E_a$). Results: The drying time was profoundly decreased as the microwave power intensity was increas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radish strips; however, the drying rate of thicker strips was faster than that of the thinner strips up to a certain moisture content of the strip samples. The majority of the applied drying models were suitable to describe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the radish strips for all drying conditions. Among the drying models, based on the model indices, the best model was the Page model. The range of estimated $D_{eff}$ for both strip samples was from $2.907{\times}10^{-9}$ to $1.215{\times}10^{-8}m^2/s$. $E_a$ for the 6- and 9-mm strips was 3.537 and 3.179 W/g,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microwave drying characteristics varied depending on the microwave power intensity and the thickness of the strips. In order to produce high-quality dried radish strips, the microwave power intensity should be lower than 180 W.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가 유화형 소시지의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ite and Ascorbic Acid-derived Gas on Color Developmen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Emulsified Sausage)

  • 김남국;정한혁;이창수;이승환;김언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2-117
    • /
    • 2012
  • 본 연구는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직접 첨가하는 방법을 개선, 대체하기 위하여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를 이용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고,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아질산염 150 ppm, 아스코르브산 450 ppm을 직접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실험구는 동일량의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반응시켜 생성된 가스를 포집하여 유화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대조구 및 실험구에서 원료육 보다 높은 pH를 보였으나, 저장기간 중 pH의 범위가 6.22-6.34로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육색의 경우 원료육에 비해 높아진 명도(lightness, CIE $L^*$)와 적색도(redness, $a^*$)를 보였으며, 저장기간 중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적색도, 높은 황색도(yellowness, $b^*$)를 나타내었다(p<0.05). 그러나 명도의 경우 실험구와 대조구간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물리적 특성 변화로 가열 및 저장감량에서 실험구와 대조구간 차이가 관찰되었으나(p<0.05), 보수력 및 전단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저장기간 중 실험구와 대조구 모두에서 저장감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의 처리가 유화물의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있어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직접 처리한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가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직접 첨가하는 방법을 개선,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