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level measurement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37초

투습발수직물과 축열보온섬유를 이용한 스키웨어의 쾌적감 (Comfort Properties of Ski Wear Using Vapor-Permeable Water Repellent Fabrics and Thermal Insulation Battings)

  • 조길수;최종명;이정주;이선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5-25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chanical thermal resistances and comfort properties of ski wear made with vapor-permeable water repellent (VPWR) fabrics and thermal insulation battings. Four types of experimental clothing were made with the combination of two VPWR fabrics (Hipora-$TM^{\circledR}$, Hipora-$CR^{\circledR}$) and two thermal insulation battings ($Viwarm^{\circledR},\;Airseal^{\circledR}$). Thermal resistances of ski wear were objectly evaluated by thermal manikin experiment ($21{\pm}\;2^{\circ}C,\;50{\pm}5\%$ R.H.,0.25 m/sec air velocity) and thermographic accessment ($2{\pm}2^{\circ}C,\;0\%$ R.H.,0.25 m/sec air velocity, and emissivity level : 1). Garment wear tests of ski wear included the measurement of the microclimate (inner temp. and relative humidity) of the experimental clothing by digital thermohygrometer and subject wear sensation using McNall's thermal comfort ratings. CBo values of experimental clothing 4 (Hipora-$CR^{\circledR}+Airseal^{\circledR}$) and 1 (Hipora-$TM^{\circledR}+Viwarm^{\circled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2 (Hipora-$TM^{\circledR}+Airseal^{\circledR}$) and 3 (Hipora-$CR^{\circledR}+Viwarm^{\circledR}$). Thermal resistances in the points of breast, back, belly, and lo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upper am, fore arm, and shank of measuring points on the thermal manikin. According to the color map of the thermogram, the experimental clothing 4 indicated higher surface temperatures than the others showing more yellowish spots on the surface of clothing. Inner temperature of experimental cloth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types of ski wear, but relative humidities of experimental cloth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Relative humidities of experimental clothing 1 and 3 showed higher than those of 2 and 4. Relative humidity of experimantal clothing was affected largely by the thermal resis- tance of thermal insulation batting materials. The subject wear sensation of experimental clothing 2 and 4 showed lower humidity than the others. Subject wear sensation was affected more by humidity sensation than by thermal sensation.

  • PDF

황련해독탕 전탕액과 약침액이 치매유발생쥐의 인지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wangryunhaedok-Tang Decoction &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Solution on the Cognitive & Memory Impairment Induced by Scopolamine in Mouse Model)

  • 권영완;강태리;이상룡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6권4호
    • /
    • pp.230-240
    • /
    • 2019
  •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wangryunhaedok-tang decoction and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at BL10 on cognition and memory impairment in a mouse dementia model induced by scopolamine. Methods : Fifty ICR mice were divided into 6 groups : Normal group (n=5), Control group (n=9), Positive control group for pharmacopuncture group (n=9, Donepezil 0.75 mg/kg), Positive control group for oral administration group (n=9, Donepezil 5 mg/kg), Pharmacopuncture group (n=9,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undiluted solution 10 ml/kg), and Oral administration group (n=9, Hwangryunhaedok-tang 200 mg/kg). For a mouse dementia model, 1 mg/kg scopolamine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to ICR mice.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was administered on BL10 for 4 weeks at intervals of 2 days. Hwangryunhaedok-tang decoction was given orally for 4 weeks every day. Morris water maze and passive avoidance test were conducted followed by measurement of acetylcholine concentration,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and the amount of BDNF and p-CREB in the brain. Results : 1. In the Morris water maze test, the time spent staying around the platform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harmacopuncture group and oral administra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the time spent in the bright room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harmacopuncture group and oral administra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3. The level of acetylcholine in brains increased in the pharmacopuncture group and oral administra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lso, the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decreased in the pharmacopuncture group and oral administra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4. The expression of BDNF and p-CREB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but increased in the pharmacopuncture group and oral administration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wangryunhaedok-tang decoction and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at BL10 may have cognition and memory-enhancing effect in scopolamine-induced dementia in ICR mice via controlling the content of acetylcholine and the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and activating BDNF and p-CREB.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고분자 중합 및 안 의료용 소재로의 적용 (UV Absorbent-added Polymerization and its Application as Ophthalmological Material)

  • 성아영;김태훈;예기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98-103
    • /
    • 2011
  • 본 연구는 자외선 흡수제로 사용되는 benzophenone계(group) 및 높은 굴절률과 화학적, 물리적으로 매우 안정한 물질로 알려진 $TiO_2$를 기존의 재료에 첨가하여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진 고분자 재료를 중합하였다. 중합 결과 생성된 고분자의 자외선 흡수 정도를 기존의 재료들과 비교하였으며,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함수율, 굴절률 및 광투과율등의 기본적인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굴절률과 함수율은 각각 1.430~1.440, 35.0~45.0의 값들로 나타나 기존의 콘택트렌즈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각 파장대별 광투과율에서는 자외선 흡수제를 넣지 않은 콘택트렌즈에서는 UV-A, UV-B, 가시광선 투과율이 각각 89%, 88%, 89%로 나타나 자외선 투과율이 매우 높았으나, 2-hydroxy-4-methoxy-benzophenone와 2,4-dihydroxy-benzophenone을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각각 UV-A 0%, UV-B 6%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iO_2$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각각 UV-A 6%, UV-B 51%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광선 투과율은 모두 77~89%로 콘택트렌즈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조건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경험적 토사유실모형에서 SDR의 적정성 검토 (The Review of Optimum Level of SDR in Empirical Soil Erosion Model)

  • 이근상;박진혁;이을래;황의호;채효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774-778
    • /
    • 2010
  • 상류에서 유입된 토사는 지표수를 오염시키고 때때로 퇴적이 발생시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반의 경험적 토사유실모형을 통해 모의된 토사유실량과 관측된 유사량 자료를 이용하여 유사전달률 자료를 구축하였다. 모의된 토사유실량과 관측된 유사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강우량에 의한 결정계수는 동향과 천천에 대해 각각 0.427과 0.667인 반면, 강우 강도에 의한 결정계수는 0.873과 0.927로 높게 나타났다. 자료의 검보정을 위해 2002-2005년도(보정)와 2006-2008년도(검증) 자료로 분류한 후 USLE 모형과 관측된 유사량을 이용하여 SDR을 계산하였다. 동향과 천천유역의 강우량에 의한 SDR의 평균은 각각 6.273과 3.353인 반면 강우강도에 의한 SDR의 평균은 4.799와 2.874로 낮게 나타났으며, 표준편차는 강우량의 3.746과 2.090에 비해 강우강도가 0.930과 0.407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토사유실 모델링시 강우량에 의한 방법보다는 강우강도에 의한 SDR 추정값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함을 보여준다.

  • PDF

저온 blanching 및 갈변저해물질의 처리에 따른 최소가공 감자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in Fresh-Cut Potato (Solanum tuberosum var. Romano) after Low-Temperature Blanching and Treatment with Anti-Browning Agents)

  • 황태영;장지현;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99-505
    • /
    • 2009
  • 신선절단 감자의 저장 중 갈변저해 및 일정 유통기한 확보를 목적으로 신선절단 감자에 갈변저해 물질과 blanching 처리를 적용 하였다. 사용된 갈변저해 물질은 다양한 갈변저해 물질을 조사하여 그 중 효과적인 갈변저해 현상을 나타내는 화합물 중 일부를 선정, 조합하여 갈변저해 용액(0.5% ascorbic acid+0.5% citric acid+0.5% sodium chloride+0.1% trehalose)으로 조제하고 침지 처리 하였다. 또한 이 갈변저해용액을 $60^{\circ}C$로 가온하여 저온 blanching 처리를 병행한 후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PET) 용기에 포장하여 $4^{\circ}C$에서 냉장저장 하면서 저장 중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포장용기 내부의 산소 농도가 감소하고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신선절단 감자의 갈변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구는 C.S.구(갈변저해용액에만 처리한 경우)로써 저장 14일 경까지도 매우 좋은 외관품질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PPO 활성은 저장 초기 및 후기 모두 C.S.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페놀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나 저장 7일경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증가하고 있었으며 pH와 적정산도는 각각 처리구 및 저장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외관품질을 중심으로 C.S.구가 가장 효과적인 갈변저해 효과 및 저장품질을 나타내었다.

침윤소화약제의 효과성 증대를 위한 기술기준 개선방안 (The Ways of Improving Technical Standards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Wetting Agent)

  • 장관수;김정민;조영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81-588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석탄 심부 화재 발생 시 대응과 침윤소화약제의 실효성 확대를 위한 기술기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석탄 8톤과 침윤소화약제 3종, 소화용수를 활용하여 침투 실험을 수행하고, 국내·외 기술기준 및 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화용수는 높은 표면장력으로 인해 석탄 심부로 침투하지 못하였고, 침윤소화약제는 5~25cm 깊이까지 침투되었다. 국내 기술기준은 침투성에 대한 간접 측정 방식인 표면장력만 언급되어있고, 소화능력시험도 목재를 활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해외에서는 면직물을 활용한 심부 화재 실험, 헵탄을 이용한 B급 화재 실험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외, 미 광산국에서는 모세관 상승 시험, 침전시험, 접촉각 측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미국 NFPA 및 광산국의 기준과 사례를 토대로 국내 기술기준도 침투성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추가하여 실효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XPERIMENTAL SIMULATION OF A DIRECT VESSEL INJECTION LINE BREAK OF THE APR1400 WITH THE ATLAS

  • Choi, Ki-Yong;Park, Hyun-Sik;Cho, Seok;Kang, Kyoung-Ho;Choi, Nan-Hyun;Kim, Dae-Hun;Park, Choon-Kyung;Kim, Yeon-Sik;Baek, Won-Pi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5호
    • /
    • pp.655-676
    • /
    • 2009
  • The first-ever integral effect test for simulating a guillotine break of a DVI (Direct Vessel Injection) line of the APR1400 was carried out with the ATLAS (Advanced Thermal-hydraulic Test Loop for Accident Simulation) from the same prototypic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as those of the APR1400. The major thermal hydraulic behaviors during a DVI line break accident were identified and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 method for estimating the break flow based on a balance between the change in RCS inventory and the injection flow is proposed to overcome a direct break low measurement deficiency. A post-test calculation was performed with a best-estimate safety analysis code MARS 3.1 to examine its prediction capability and to identify any code deficiencies for the thermal hydraulic phenomena occurring during the DVI line break accidents. On the whole, the prediction of the MARS code shows a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data. However, the code predicted a higher core level than did the data just before a loop seal clearing occurs, leading to no increase in the peak cladding temperature. The code also produced a more rapid decrease in the downcomer water level than was predicted by the data. These observable disagreements are thought to be caused by uncertainties in predicting countercurrent flow or condensation phenomena in a downcomer region. The present integral effect test data will be used to support the present conservative safety analysis methodology and to develop a new best-estimate safety analysis methodology for DVI line break accidents of the APR1400.

하수관거정비 임대형민자사업에 있어 침입수 성과지표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Improvement of Infiltr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in BTL (Build-Transfer-Lease) Sewer Rehabilitation Projects - Focusing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고영남;이동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1133-1143
    • /
    • 2016
  • 본 연구는 하수관거정비 임대형민자사업에 있어 사업효과 분석지표의 개선에 대한 연구이다. 하수관거정비 임대형민자사업의 평가지표 중 침입수에 대한 평가지표는 단일평가항목으로 17.5점의 높은 점수가 부여되고 있다. 침입수에 대한 평가지표는 침입수의 발생량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되고 있으며, 현재 '야간 생활하수 평가법'에 따라 계산되고 있다. 그러나, 본 평가지표가 제주지역의 지질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운영단계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평가지표에 따른 계산 결과와 실제 침입수의 발생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주도내 5개 지역에 대하여 '야간 생활하수 평가법'에 따른 침입수 발생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적으로 침입수가 발생하는 조건에 대하여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하수위가 하수관거보다 밑에 분포되고 있으며, 하수관거의 기능에 대한 검증 결과 하수관거의 결함 등에 의한 침입수 발생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현재 평가지표로 활용되고 있는 '야간 생활하수 평가법'은 제주지역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으며, 제주지역만의 침입수 관련 기준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첨가가 녹두전분 Gel의 Texture에 미치는 영향 -제1보 : 이화학적 특성 및 기계적 검사에 의한 평가 (Effect of Oil Addition on Texture of Mungbean Starch Gel)

  • 주나미;전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3-69
    • /
    • 1991
  • 1. 이화학적 특성 1) 선화녹두의 일반성분 조성은 수분 13.19%, 지방 1.02%, 단백질 23.57%, 회분 3.13%였고 선화녹두 조전분의 일반성분 조성은 수분 12.45%, 지방0.63%, 단백질 0.94%, 회분 0.13%로 나타났다. 2) 거피시킨 녹두로부터 얻은 건조 전분(수분 12.48%)의 수율은 22.84% 이었고 이는 통 녹두로부터의 수율로 환산하면 20.35%로 도토리 전분의 수율과 비교해 볼 때 전분 함랑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물결합 능력은 183.1%였고 팽윤력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인데 $70^{\circ}C$까지는 미약하게 증가하나 그 이상의 온도가 되면서 팽윤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용해도의 변화도 팽윤도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4) amylose와 amylopectin함량은 22.5%, 77.5%로 나타났고 amylograph에 의한 조전분의 호화는 8%와 10% 전분에서 모두 최고 점도가 나타났으며 농도에 따른 차이는 점성의 크기에만 나타났고 전체적인 양상은 비슷했다. 2. 기계적 검사결과 기계적 검사 결과는 8% 녹두 전분 Gel과 10% 녹두전분 Gel에서 같은 양상이었다. 지방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Hardness와 Fractuability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Elasticity, Adhesiveness, Chewiness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L, a, b값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서 지방 함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높고 적색 및 황색에 가까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Delta$E 값도 지방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방의 첨가는 녹두전분 Gel의 Texture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관능검사까지 실험을 확대하여 주관적 평가를 하고자 하며 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간의 상호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閑麗海上國立公園)의 경관자원(景觀資源) 가치분석(價値分析) (Landscape Value Analysis of Hallyǒ Haesang Sea National Park)

  • 김세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145-160
    • /
    • 2000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안형국립공원이라 할 수 있는 한려해상국렵공원의 경관자원을 대상으로 시각자원관리를 위한 객관화된 정량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된 가설과 실험에 의한 검증과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공간구성요소의 물리량을 메쉬 (Mesh)분석법에 의한 시각량과, S.B.E. Method에 의한 시각적 선호도를 측정하고 시각자원의 가치를 Iverson 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심리량 분석을 위해 S.D Scale 측정에 의한 공간의 이마지구조를 인자분석 Algorithm을 통하여 밝혔으며 시각적 선호도 측정을 실시하여 결정인자추출과 각 인자 상호간 상대적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자연경관과 융화를 전제로 한 수림, 하늘, 수면, 기암괴석 등의 자연요소와 인공구조물 등의 요소를 지닌 시각요소가 긍정적으로 높게 나타날 수 있도록 대상지향성과 형수성을 높일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이루게 하여 경관적 가치를 높이며, 인공구조물 요소에 대한 보다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설치 등의 경관자원관리 기법이 필요하다 하겠다. 한려해상국립공원 경관자원관리 개선방안의 측면에서 볼 때 인간간섭이 과다하게 되면 식생을 파괴하게 되어 자연경관의 질을 떨어뜨리게 되기 때문에 구체저이고도 명확한 관리목표를 설정하여 합리적인 수준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적정이용수를 산정하여 적정이용수의 범위내에서 출입을 허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관리목표는 수준별로 설치, 적극적 관리, 매우 적극적 관리의 3단계 목표를 설정하여 허용할 수 있는 변화의 한계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