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Value Analysis of Hallyǒ Haesang Sea National Park

한려해상국립공원(閑麗海上國立公園)의 경관자원(景觀資源) 가치분석(價値分析)

  • Kim, Sei-Ch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l Univ.)
  • 김세천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조경학과)
  • Received : 1999.10.12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to the national park of Korean typical Sea Hally$\check{o}$ Haesang, and its visual resources and practiced inspect course by the way of suppositions and tests, to show the visual resource management objectively, and that of qualitative basic data. Accordingly by measuring the physical amount spatial structure with the visual amount originated from the Mesh Analyzing Method and the Visual Preference from the Scenic Beauty Estimation(S.B.E.) method and analyzed the valuation of the visual resource by Iverson method. Spatial image structure measured by Semantic Differential(S.D.) Scale was shown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lgorithm for the analyzing psychological amount and examined the flowing out of decisive factor and the objective importance related to the mutual factors by appling the measurement of the visual quality. As a national Park, the visual factors that have natural landscape harmonized with forest, sky, surface of the water, curious stones and rocks, and temples should be escalated their values affirmatively so as to be the scenery of pointed direction and enjoyable, and it is of more needed for visual resource and its' controlling technique to make artificial structures more intentional planning and systemical setting. When we are viewing the improvement for the national park along with the visual resource management, reasonable level of development is needed, because when men interference surpass plantations and leasts will be damaged and the quality of natural landscape can be lowered, so it is needed to set up a management end, tangibly or clearly; and it is permitted limit coming and going ablably by accounting the suitable number for availing. But the controling end should be set in every level, positive management, very actively within the permissive varcability. It is the main business for the national park to prevent the damage from human for their gay life or to prevent the damage of a land carpet, and to restorate for the visual resource management.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안형국립공원이라 할 수 있는 한려해상국렵공원의 경관자원을 대상으로 시각자원관리를 위한 객관화된 정량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된 가설과 실험에 의한 검증과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공간구성요소의 물리량을 메쉬 (Mesh)분석법에 의한 시각량과, S.B.E. Method에 의한 시각적 선호도를 측정하고 시각자원의 가치를 Iverson 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심리량 분석을 위해 S.D Scale 측정에 의한 공간의 이마지구조를 인자분석 Algorithm을 통하여 밝혔으며 시각적 선호도 측정을 실시하여 결정인자추출과 각 인자 상호간 상대적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자연경관과 융화를 전제로 한 수림, 하늘, 수면, 기암괴석 등의 자연요소와 인공구조물 등의 요소를 지닌 시각요소가 긍정적으로 높게 나타날 수 있도록 대상지향성과 형수성을 높일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이루게 하여 경관적 가치를 높이며, 인공구조물 요소에 대한 보다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설치 등의 경관자원관리 기법이 필요하다 하겠다. 한려해상국립공원 경관자원관리 개선방안의 측면에서 볼 때 인간간섭이 과다하게 되면 식생을 파괴하게 되어 자연경관의 질을 떨어뜨리게 되기 때문에 구체저이고도 명확한 관리목표를 설정하여 합리적인 수준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적정이용수를 산정하여 적정이용수의 범위내에서 출입을 허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관리목표는 수준별로 설치, 적극적 관리, 매우 적극적 관리의 3단계 목표를 설정하여 허용할 수 있는 변화의 한계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