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insoluble dietary fiber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7초

수분주입량에 따른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Effects of Feed Mois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Corn Fibers)

  • 김철현;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27-433
    • /
    • 2013
  • 본 연구는 옥수수 섬유질을 수분주입량의 변화에 따라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과 탈전분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원료의 수분주입량은 30, 40, 50%로 조절하였으며 스크루 회전속도와 사출구 온도는 각각 200 rpm, $140^{\circ}C$로 고정시켜 압출성형 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원료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수분주입량이 30%일 때 옥수수 섬유질과 탈전분 옥수수 섬유질의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감소하고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비기계적 에너지, 직경팽화율, 밀도, 파괴력, 탄성계수는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비길이는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수분흡착지수와 환원당은 수분주입량이 증가할수록 변화가 없었으며 수분용해지수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탈전분 옥수수 섬유질의 수분흡착지수는 감소하고 수분용해지수와 환원당은 증가하였다. 수분주입량 30%일 때 유용성분의 추출이 미량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압출성형공정의 적용하여 섬유질에 포함된 유용성분의 추출이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알로에 베라 겔 가공부산물로서의 섬유질 분획의 성분 및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ibrous Material Fraction from By-product of Aloe vera Gel Processing)

  • 백진홍;이신영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18-126
    • /
    • 2010
  • The fibrous material fraction as a by-product from the commercial aloe vera gel processing was obtained and freeze dri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oximate composition, crystalline/surface structures and several physical functionalities including the water holding capacity (WHC), swelling capacity (SW), oil holding capacity (OHC), emulsion/foam properties and viscosity properties of this powdered sample (100 mesh)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comparison with commercial $\alpha$-cellulose as a reference sample.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 of powdered sample was very high as much as 87.5%, and the insoluble dietary and 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ratios were 77.6 and 22.4%, respectively. The FT-IR spectrum of powdered sample showed a typical polysaccharide property and exhibited a x-ray diffraction pattern for cellulose III and IV like structure. SW (8.24${\pm}$0.15 mL/g), WHC(6.40${\pm}$0.19 g water/g solid) and OHC(10.32${\pm}$0.29 g oil/g solid) of freeze dried aloe cellulose were about 3.3, 1.4 and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commercial $\alpha$-cellulose, respectively. Aloe cellulose (~2%, w/v) alone had no foam capacity while improved the foam stability of protein solution (1% albumin+0.5% $CaCl_{2}$) by factor of 300%. Emulsion capacity of 2%(w/v) aloe cellulose was about 70% level of 0.5%(w/v) xanthan gum, but its emulsion stability was about 1.2 times higher than that of xanthan gum. Also, aloe cellulose containing CMC (carboxyl methyl cellulose) of 0.3%(w/v) showed a very good dispersity. Aloe cellulose dispersion of above 1%(w/v) exhibited higher pseudoplasticity and concentration dependence than those of $\alpha$-cellulose dispersion, indicating the viscosity properties for new potential usage such as an excellent thickening agent.

밀기울에 대한 열처리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Thermal Treatm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at Bran)

  • 황재관;김종태;조성자;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4-403
    • /
    • 1995
  • 밀기울의 각종 열처리에 따른 밀기울의 화학적 구조 및 기능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사용한 열처리의 종류는 toasting, roasting, drum drying, autoclaving+drum drying, microwaving+drum drying, extrusion이였다. 열처리 공정에 의하여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인 것은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으로서 원료밀기울에 비하여 약 $40{\sim}110%$의 수용성 식이섬유가 증가하였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총 식이섬유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열처리에 의하여 용해도와 보수적이 증가한 반면에 보유력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용적밀도와 팽화도는 각각 보수력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들의 곱은 보수력과 높은 상관관계$(R^2=0.94)$를 보였다. 그러나 수용성 성분을 배제한 불용성 성분의 보수력은 용적밀도와 팽화도와의 곱에도 거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밀기울의 외형적 구조변화에 대한 관찰은 열처리에 따른 밀기울의 화학적 및 기능적 특징에 대한 결과를 잘 반영해주었다.

  • PDF

한국인 상용 채소류의 식이섬유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in Vegetables)

  • 계수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8-41
    • /
    • 2014
  • 식이섬유가 인체 내에서 나타내는 중요한 생리 기능은 각 구성 성분들의 함량과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채소를 대상으로 식이섬유 각 성분들의 함량을 분별 측정하고, 열처리 시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채소의 총 펙틴 함량은 건조물 기준으로 0.89~2.75 g/100 g의 범위였으며, 대부분 1~2 g/100 g 수준이었다. 펙틴의 각 분획 별 함량의 경우, 열수 가용성 펙틴 함량은 0.33~0.98 g/100 g, 인산 가용성 펙틴 함량은 0.29~0.81 g/100 g의 범위였고, 염산 가용성 펙틴 함량은 0.30~1.40 g/100 g의 범위로 세 가지 펙틴 분획 중에서 채소 종류에 따른 변이가 가장 컸다. 이상의 세 가지 펙틴 분획의 비율은 각 채소에서 대략 비슷한 수준이었다. 각종 채소의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건물 기준으로 총 불용성 식이섬유인 Neutral detergent fiber(NDF)는 11.8~31.9%, Acid detergent fiber(ADF)는 10.9~25.4%, cellulose는 8.8~23.8%, hemicellulose는 0.6~10.6%, lignin는 1.0~5.2% 범위였으며, 특히 고추류에서 총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Cellulose는 총 불용성 식이섬유인 NDF의 63% 정도를 차지하여 본 실험에 사용된 채소들의 경우, 불용성 식이섬유의 대부분이 cellulose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열 방법에 따른 펙틴 함량의 변화에 있어서, 총 펙틴 함량은 가열 처리 시 원료 시료에 비해 감소했으며, boiling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펙틴의 세 분획 중 열수 가용성 펙틴(HWSP) 함량은 증가했고, 비수용성 펙틴인 인산 가용성 펙틴(HXSP)과 염산 가용성 펙틴(HCLSP) 함량은 감소했다. 가열 처리에 의한 NDF, ADF, cellulose 함량의 변화는 원래 시료보다 증가했으며, 이들 성분들의 변화는 cellulose의 함량 변화에 기인했다. 그러나 hemicellulose와 lignin 함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신선물 기준으로 1.20~7.11% 범위였으며, 마늘, 우엉, 고추잎 등에서 높았다. 총 식이섬유 함량의 대부분이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 식이섬유/조섬유 비율은 1.32~4.00으로 붉은 고추가 가장 낮고, 상치가 가장 높았으나, 채소 종류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육단계별 배 과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원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Sources from Peel of Asian Pear Fruit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장선;이범수;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05-911
    • /
    • 2005
  • 상품성이 낮은 배 그리고 가공 부산물의 하나인 과피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생육단계별 풍수, 신고, 추황배의 과피로부터 식이섬유원을 분리하여 이들의 성분을 분석하고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3 품종의 3 생육단계에서 과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원의 총식이섬유 함량은 74.00-88.38%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고 그 중 92-94%가 불용성 성분이었다. 분리된 식이섬유원에 잔존하는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은 1.64-4.46mg/g이었고 신고와 추황배에서는 과실의 성숙도에 따라 잔존하는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평균입자의 크기는 $255-381{\mu}m$이었고 동일한 품종내에서 성숙된 과실일수록 분리된 식이섬유원의 입자는 증대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윈의 밀도가 유의적으로 작았다. 보수력은 3.11-6.03g water/g solid이었고 신고와 추황배에서는 유과, 미숙과, 성숙과의 순으로 점차 증가하였으며 oil 흡착력은 1.98-2.57g oil/g sample로 보수력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보수력이 낮은 유파의 식이섬유원이 oil 흡착력은 컸다. 식이섬유원의 입자의 크기는 밀도, 보수력, oil 흡착력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성분은 Cellulose와 uronic acid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 과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원은 총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생리활성 물질인 페놀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미숙과, 성숙과 식이섬유원은 비교적 높은 보수력을 갖고 있어 새로운 식이섬유원 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송기 분말이 Loperamide로 유도된 흰쥐의 변비 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ine Inner Bark (Song-gi) Powder on Relief from Constipation in Loperamide-induced Rats)

  • 이창현;장현욱;김영;이영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8-557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soluble dietary fibers from pine (Pinus radiata D. Don) inner bark powder (PIBP) on loperamide constipation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ered PIBP in their diets at concentrations of 5% and 10% for 4 weeks. Rats were divided in 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Cont), a normal diet and loperamide group (Lop), 5% PIBP experimental diet and loperamide group (Lop+PIBP 5%), and 10% PIBP experimental diet and loperamide group (Lop+PIBP 10%). Constipation was induced by oral administration of loperamide (2 mg/kg, twice per day) for the last three days of the experiment. Food intake, body weight, properties of feces, gastrointestinal transit time, and serum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When compared with the normal diet and loperamide group (Lop), there were increases in fecal pellet number (p<0.05), wet weight (p<0.001), and water content (p<0.001). Positive results were derived from relevant indicators to improve constipa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fecal pellets in the colon was not significant, and decreased as PIBP content increased. PIBP had a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 on reduction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and elevation of HDL-choleste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IBP may effectively prevent constipation.

전곡립의 압출성형 및 효소처리에 의한 수용화 (Solubilization of Whole Grains by Extrusion and Enzyme Treatment)

  • 신해헌;이선희;박보선;임태수;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49-855
    • /
    • 2003
  • 전곡립(Whole grains)의 압출공정에 따른 수용화 현상과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곡립으로는 현재 산업적으로 분말곡류 제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현미, 현미찹쌀, 보리 및 율무의 4종을 사용하였다. 전곡립은 스크류 속도 $200{\sim}300\;rpm$, 온도 $110{\sim}130^{\circ}C$, 수분함량 $15{\sim}25%$의 범위에서 13개의 각각 다른 조건으로 압출공정을 시행하였다. 압출공정한 전곡립 시료의 특성은 수분용해지수(water solubility index), 점도, 식이섬유, 분산성, 팽화(expansion) 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압출공정 처리하지 않은 생원료 및 볶은 시료(roasted grains)와 비교하였다. 수분용해지수는 압출공정에 의해 모든 곡류에서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밀로펙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현미찹쌀은 현미보다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압출공정에 따른 곡류의 식이섬유함량을 측정한 길과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불용성 식이섬유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 식이심유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압출공정에 의해 분산성의 향상, 팽화 현상 등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새찰쌀보리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취반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y of Naked Waxy Barley (Saechalssal bon))

  • 전현일;차미나;송근섭;유창성;김윤태;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5-17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새찰쌀보리의 보리밥 제조 적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영양성분 및 취반특성을 분석하였고, 보리밥의 관능평가와 조직감을 측정하였다. 새찰쌀보리의 수분은 11.6%, 조단백질은 10.8%, 조지방은 1.6% 및 조회분은 1.1%이었으며, ${\beta}$-glucan은 3.7%, 불용성 식이섬유는 10.8%, 수용성 식이섬유는 9.5%, 총 식이섬유는 20.3%로 나타났다. 새찰쌀보리의 호화개시온도는 $66.5^{\circ}C$ 이었고, 최고, 최종, 강하 및 치반점도는 각각 383.2, 231.3, 207.5 및 55.6 RVU로 나타났다. 새찰쌀보리의 취반특성에서는 흡수성이 232.2%, 퍼짐성이 405.3% 및 용출 고형물이 3.5%로 나타났다. 보리밥의 색도는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증가하였으나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보리밥의 관능평가 결과, 가수량이 많을수록 색깔과 단단함은 낮았으나 질은 정도와 종합적 평가는 높게 나타났으며, 종합적 평가가 높은 2.1배를 최적 가수량으로 선정하였다. 최적 가수량 조건에서 제조한 보리밥의 조직감 측정 결과, 경도는 1.2 kg, 응집성은 4.0, 탄성은 1.0, 검성은 5.1, 씹힘성은 5.3, 부착성은 0.2 kg 및 부착성/경도는 0.8로 나타났다.

Medicinal food로 활용하기 위한 산사(山査)에 관한 연구(1) -활용 형태에 따른 영양학적 특성 및 식품으로의 활용방안 모색- (Study of Crataegi Fructus for Medicinal Foods Applications -Nutrition Composition and Scheme for Foods-)

  • 전정우;박성진;한종현;박성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220-1224
    • /
    • 2005
  • Crataegi Fructus has often been cited in medical literature for its medicinal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rataegi Fructus application as an edible medicinal (nutritional supplement) food resource. In this study, Crataegi Fructus, which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and folks remedy, was investigated to characteristics of nutritional composition(protein, lipid, ash, fiber, free sugar and minerals). The approximate composition of low Crataegi Fructus was crude protein, 0.26%, crude lipid, 0.30% and crude ash, 0.66%. And total dietary fiber 5.60%(insoluble 4.66%, soluble 0.94%), contents of glucose and fructose were 5.02mg% and 6.21 mg%, Nutritional composition of fermented liquid was crude protein 0.24%, crude lipid, 0.03%, crude ash, 0.53% and total dietary fiber, 0.24%. And glucose, fructose contents were 14.77mg% and 7.30mg%. The other hand, nutrition contents in water extract of Crataegi Fructu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low Crataegi fructus and fermented liquid.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Crataegi Fructus and fermented liquid have sufficient values to use as a food stuff for medicinal food and nutritional supplement.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ing Wooung (Burdock, Arctium lappa L.) an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 이연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70-877
    • /
    • 2016
  • 본 연구는 손쉽게 가정에서 볶음 처리하여 우엉차와 돼지감자차를 만들어 영양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여 다양한 기능성 식품으로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10.43, 8.50, 1.77, 3.43 및 75.87%로 나타났으며,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는 각각 10.67, 7.83, 1.23, 2.80 및 77.47%를 보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의 수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4.8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1.5 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의 수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2.4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1.6 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에서 무기질함량 중에서 가장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칼륨>마그네슘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볶음 처리한 우엉은 총 25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1,382.112 mg/100 g이었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766.031 m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는 총 24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2,678.018 mg/100 g이었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157.294 mg/ 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2.56, 29.56 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6.54, 16.71 mg CE/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 및 돼지감자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_{50}$ value은 각각 12.99, 19.74로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는 낮았지만 모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 및 돼지감자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IC_{50}$ 값은 각각 25.96, 22.93으로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는 낮았지만 모두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