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discharge measurement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42초

Measurement of the Time Taken for Initial Water Dischar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Kinks in the Fire Hose of the Indoor Hydrant System

  • Hong, Suk-Hwan;Kong, Ha-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360-366
    • /
    • 2021
  •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how the kinking of the fire hose affects the time taken for initial water discharge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time taken for initial water discharge with different number of kinks at different locations of the hose. The average time taken for initial water discharge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time in the unkinked state of the fire hose. Based on this standard, we conducted the experiment by selecting the kinking locations in the hose near the water outlet and nozzle, and setting the number of kinks to 3, 6, 9, and 1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fire hose has 5 kinks or more near the nozzle, no water was released. Second, when comparing the case of no kinks and 4 kinks near the nozz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taken for initial water discharge. Third, when the fire hose was kinked 10 times near the outlet, the time required for initial water discharge increased by 1.62 seconds on average compared to the case with no kinking, but there was no problem with water discharge. Lastly, regarding the kinking locations of the fire hose, it was found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kinks near the nozzle than near the outlet, the greater the effect on the discharge.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it would be preferable to install non-kinking devices near the nozzle of the fire hose.

차압식 유량계에서 점탄성유체의 유출 및 손실계수 (Discharge and loss coefficients for viscoelastic fluids in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s)

  • 전우청;조병수;백병준;박복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0권4호
    • /
    • pp.1501-1509
    • /
    • 1996
  • Differential pressure devices such as an orifice and Venturi are widely used in the measurement of flow rate of fluid mainly due to cost effectiveness and easy installation. In the current study, the viscoelastic effect on discharge and loss coefficients of those flow meters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queous solutions of Polyacrylamide (200, 500, and 800 ppm) as viscoelastic fluids were used. Discharge coefficient of an orifice for viscoelastic fluids increased significantly up to approximately 15-20% when compared with that for water, while loss coefficient decreased up to 10-25% depending on the diameter ratio, .betha.. Also, pressure recovery for viscoelastic fluids was extended much longer than that for water. On the other hand, discharge and loss coefficients of Venturi for viscoelastic fluids were found to be strongly dependent on the Reynolds number. In both flow meters, the concentration effect for discharge and loss coefficients was not observed at more over than 200 ppm of aqueous solution. Conclusively, orifice and Venturi flow meters should be calibrated very carefully in the flow rate measurement for viscoelastic fluids.

옥내소화전설비의 방수압 측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Discharge Pressure Measurement of Indoor Fire Hydrant System)

  • 민세홍;정상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67-72
    • /
    • 2012
  • 건축물 실내에서의 화재발생 시 초기 소화설비로 적용하고 있는 옥내소화전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는 초기화재 진압용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 건축물의 지붕형태는 차별화된 지역문화와 디자인이 접목된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이 건립되고 있다. 차별화된 지붕형태, 즉 일부 건축물의 지붕형태가 경사(박공)형태로 계획 건립되고, 또한 공중정원을 활용한 조망계획을 하다 보니 옥내소화전설비의 방수압력을 측정하는데 있어 옥상공간은 제한적이고, 너무 협소하여 옥내소화전 소방호스를 전개(최대 5개)하여 방수압력 측정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옥내소화전설비의 효율적인 관리와 화재 시 초동조치가 가능하도록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유량측정 방법의 정확도 분석 -괴산댐 하류 달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Inter-comparison of Accuracy of Discharge Measurement Methods - A Case Study Performed in the Dalcheon River Downstream of the Goesan Dam-)

  • 이찬주;김동구;권성일;김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2호
    • /
    • pp.1039-105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괴산댐 하류 달천에서 6가지 직접 유량 측정 방법-유속면적법, 봉부자법, ADCP이동측정법, ADCP정지 측정법, 전자파표면유속계, LSPIV-을 적용하고, 이를 댐 방류량 및 유속면적법과 비교함으로써 정확도를 상호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된 총 39회의 유량측정결과가 분석되었다. 댐 방류량과의 비교 결과, 봉부자법을 제외한 나머지5가지 방법은 평균 6.2% 이내의 절대값오차를 나타냈다. 유속면적법과 다른 4가지방법을 비교할 경우, 전자파표면유속계는 7.35%, 나머지 3가지 방법은 6% 이내의 절대값오차를 나타냈다. 봉부자법은 댐 방류량 및 유속면적법과 비교하여도 오차의 범위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엔트로피 개념에 의한 유량측정 기법 (Measurement of Discharge Using the Entropy Concept)

  • 추태호;이승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2-346
    • /
    • 2006
  • 그 동안 기술적 또는 이론적 배경의 취약으로 인하여 측정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했던 유량을 산정하는데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형상에 관계없이 측정비용 및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전자파 표면 유속계와 함께, 실시간 유입수문곡선을 만들 수 있는 실시간 유량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유량측정 기기별 측정성과에 대한 실험적 비교분석 (Experiment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Measurement Results Using Various Flow Meters)

  • 이재혁;이석호;정성원;김태웅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5-103
    • /
    • 2010
  • 유량자료는 물의 순환과정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수자원 개발 및 이수 치수 계획 등에 매우 귀중하게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량자료를 확보하는데 많은 시간과 경비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주요 수위에서 유량자료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Stage-Discharge Curve)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있다. 따라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신뢰도는 유량자료의 품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수문학을 전공하고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고품질의 유량자료를 생산하여 신뢰성 있는 곡선식을 개발하고자 유량측정 방법과 기준, 장비개발 및 개량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다양한 유량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유량자료를 생산하고 활용하고 있으나, 측정기기별 정확도 및 실험적 측정성과에 대한 연구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규격화된 콘크리트 수로에 일정한 유량을 흘려보내는 조건에서 다양한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측정성과를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측정기기로 프라이스 유속계(USGS Type AA Current Meter), 휴대용 유량계(Flow Meter), 초음파식 디지털 유속계(ADC), C2 유속계(C2 Small Current Meter), 플로우 트렉커(Flow Tracker), 마그네틱 유속계(Electromagnetic Current Meter)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유량을 산정하였으며, 각 기기별 산정된 유량을 비교 분석 하였다. 비교검토에 적용하고자 측정한 수심으로는 0.30 m, 0.35 m, 0.40 m, 0.45 m, 0.50 m, 0.55 m의 왕복측정 6-Case로 진행이 되었으며, 신뢰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도섭법으로 수면에서 0.6d 지점의 유량측정방법(1점법)을 적용하였다. USGS Type AA Current Meter, Flow Meter, ADC, C2 Small Current Meter는 유속측정기기의 검교정을 받았으므로 다른 실험유량측정치의 비교를 위한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측정기기(USGS Type AA Current Meter, Flow Meter, ADC, C2 Small Current Meter, Flow Tracker, Electromagnetic Current meter)별 검토 결과 평균유량 및 평균유속에 있어 프라이스 유속계를 기준으로 마그네틱 유속계 $\pm$ 10 % 이상, 플로우 트렉커 $\pm$ 10 % 미만, 휴대용 유량계, 초음파식 디지털 유속계 및 C2 유속계는 $\pm$ 5 % 미만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동계측이 이루어지는 관개용수로에서의 수위-유량관계 분석 (Analysis of Stage-Discharge Relationships in the Irrigation Canal with Auto-Measuring System)

  • 박창언;김진택;오승태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1호
    • /
    • pp.109-114
    • /
    • 2012
  • Stage-discharge relationship is applied to convert water level into discharge at the auto-measuring station in many irrigation canals. The stage-discharge curve is very important for reliable application for th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ystem. We made results of discharge measurement at 18 stations in the irrigation canal nearby the Idong reservoir from 2010 to 2011. Stage-discharge relationships for each 18 stations were drawn considering of different hydraulic and geometrical characteristics at each stations. R-squared over 0.91 at each stations show high reliability for application of these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