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te treatment facilities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9초

고전압 임펄스 기술을 활용한 슬러지 가용화 (Solubilization of wasted sludge using high voltage impulse technique)

  • 조승연;장인성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7-262
    • /
    • 2017
  • Several disposal processes for waste sludge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uch as landfill, ocean dump, incineration, reuse as fuels or fertilizers are practiced. However, ocean dumping is prohibited by international treat. New constructions of landfill sites or incineration facilities are limited by NIMBY and reuse processes are still suffering from low energy yield. Therefore, development of alternative processes for sludge disposal are currently needed. In this study, alternative technique for sludge solubilization using HVI (high voltage impulse) was suggested and verified experimentally. Sludge solubilization was carried out for 90 minutes using HVI discharge with peak voltage of 16 kV and pulse duration for 40 microsecond. About 3~9 % of MLSS and MLVSS concentration were reduced, but the soluble COD, TN, TP of the sludge increased to 372 %, 56 % and 102 %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the flocs and/or cells of the sludge were damaged by HVI. These resulted in flocs-disintegration and cells-lysis, which means the internal matters were bursted out of the flocs as well as the cells. Thus, electrical conductivity in bulk solution was increased. All of the results verified that the HVI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technique for sludge solubilization processes.

1MWe급 순환유동층 열병합 보일러 운전연구 (Combustion Study of 1MWe Circulating Fluidized Boiler for RDF)

  • 선도원;배달희;조성호;이승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5호
    • /
    • pp.837-842
    • /
    • 2012
  • 폐기물 고형연료의 순환유동층 연소기술의 시범을 위하여 파일롯트 규모 순환유동층 연소보일러를 설계하고 건설하였다. 보일러의 규모는 출력기준 약 6 MWth에 해당하며 증기질은 $400^{\circ}C$, 38 ata로 설계하였다. 최대 증기출력은 약 8 ton/h에 해당한다. 연료는 RDF로 휘발분을 주성분으로 하며 점화가 빠르고 연소성이 매우 뛰어났으며 보일러의 연소효율은 99.5%를 능가하였다. 순환유동층 RDF 연소의 안정성은 연료중 회분 이외의 이물질의 존재 여부와 신속한 배출 가능성에 크게 의존하였다. 오염물질의 배출농도는 염소를 제외하고는 법적 기준치 이내에 들었다. 또한 60% 정도의 연료중 염소는 비산재에 흡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Cl을 국내 법 규제에 맞추어 제어하기 위해서는 건식 또는 습식 흡수 장치와 같은 별도의 환경설비가 필요하였다.

과열증기 반응에 의한 생활폐기물 유기성분 입도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he Organic Frac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by the Reaction of Super-heated Steam)

  • 장하나;민태진;노선아;김우현;성현제;박성범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4호
    • /
    • pp.64-68
    • /
    • 2010
  • 최근, 국내에서 MBT(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처리시설이 건설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생활폐기물 등이 분리선별되어 재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활폐기물의 입도가 불균질하고, 분리선별을 하기 위해서 일정입도 이하로 파쇄하여야 하므로 운영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생활폐기물내 유기성분의 분리선별이 어려워서, 재활용 물질의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라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1ton/batch 규모의 반응기에 과열증기를 사용하여 각 반응인자에 따른 생활폐기물 분리선별 효율을 파악하였으며, 유기성분 분해에 따른 생활폐기물 입도특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전처리 가용화 공정이 잉여슬러지 혐기성 소화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lubilization Pretreatment Process on Anaerobic Digestion of Waste Activated Sludge)

  • 유호식;안세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3호
    • /
    • pp.35-43
    • /
    • 2016
  •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잉여슬러지 감량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 전처리 가용화시설에서, 가용화율에 따른 COD 성상변화를 살펴보았다. 대상하수처리장의 농축 잉여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난분해성 COD는 총 COD의 37.0 % 이었다. 전처리 가용화시설에서 배출되는 잉여슬러지의 COD 세부성상 변화를 살펴보면 가용화율(5%, 10%, 20%, 30%, 35%)의 증가에 따라 고형성 생분해성 COD는 점차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한 용존성 생분해성 COD와 고형성 난분해성 COD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잉여슬러지를 가용화하기 위하여 물리적 전처리시설을 적용할 때 생물학적 2차처리시설의 SRT가 상대적으로 길게 운영되면 잉여슬러지의 고형성 난분해성 COD의 함유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고형성 생분해성 COD 농도가 낮게 된다. 고형성 생분해성 COD가 상대적으로 낮은 잉여슬러지의 경우 전처리 시설에 의한 가용화의 효과가 당초 예상보다 낮아질 수 있으므로, 가용화하여 혐기성 소화 할 경우 잉여슬러지에 대한 COD 성상 조사가 요구된다. 가용화율 5%에서 혐기성소화조에서의 COD 제거율은 2.1% 증가하였고, 가용화율 35%에서는 COD 제거율이 15.1% 증가 되었다. 전처리 시설에서 잉여슬러지 고형성 COD를 35% 가용화하였을 때 혐기성소화조에서의 COD 제거율은 25%에서 40%로 향상되었고 메탄가스발생량은 $607m^3$/일에서 $907m^3$/일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valuation of ammonia emission reducing effect by adding waste cooking oil in pilot-scale composting of dairy cattle manure

  • Kazutaka Kuroda;Akihiro Tanaka;Kenichi Furuhashi;Naoki Fukuju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0호
    • /
    • pp.1612-1618
    • /
    • 2023
  • Objective: In our previous study, we observed that the addition of waste cooking oil (WCO) reduced ammonia (NH3) emissions during laboratory-scale composting of dairy cattle manure under low-aeration condi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ddition of WCO on NH3 emissions reduction during pilot-scale composting of dairy cattle manure, which is close to the conditions of practical composting treatment. Methods: Composting tests were conducted using pilot-scale composting facilities (1.8 m3 of capacity). The composting mixtures were prepared from manure, sawdust, and WCO. Two treatments were set: without WCO (Control) and with WCO added to 3 wt% of manure (WCO3). Composting was conducted under continuous aeration at 40 L/min, corresponding to 22.2 L/(min·m3) of the mixture at the start of composting. The changes in temperatures, NH3 concentrations in the exhaust gases, and contents of the composted mixtu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effect of WCO addition on NH3 emissions and nitrogen loss during composting was evaluated. Results: During composting,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composting mixture became higher, and the decreases of weight and water content of the mixture became larger in WCO3 than in Control. In the decrease of weight, and the residual weight and water content of the mixtu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detected between the two treatments at the end of composting. The NH3 concentrations in the exhaust gases tended to be lower in WCO3 than in Control. Nitrogen loss was 21.5% lower in WCO3 than in Control. Conclusion: Reduction of NH3 emissions by the addition of WCO under low aeration condition was observed in pilot-scale composting, as well as in laboratory-scale compost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this method is effective in reducing NH3 emissions in practical-scale composting.

휴폐광산 지역에서 폐석의 중금속 존재 형태와 지화학적농축계수 평가 (Fraction and Geoaccumulation Assessment Index of Heavy Metals in Abandoned Mines wastes)

  • 김휘중;박병길;공성호;이재영;옥용식;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6호
    • /
    • pp.75-80
    • /
    • 2005
  • 남한강 상류지역의 금속광산인 거도, 만정, 조일광산은 1988년 석탄광산합리화 사업과 더불어 폐광되었으며, 휴$\cdot$폐광된 이후 다량의 광산 폐기물을 방치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광미, 폐석 등의 이동에 의한 주변의 토양오염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없기 때문에 이들 광산폐기물에 의한 오염정도를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폐광된 거도, 만정, 조일 광산의 광산 폐석에 의한 수질 오염 가능성 평가를 위해 각 광산에서 폐석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HCl 처리 농도에 따라 지화학적 농축 계수(Index of geoaccumulation), 중금속 존재 형태와 이동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카드뮴, 납, 아연, 구리, 니켈 그리고 크롬의 지화학적 농축 계수는 각각 6, $4\~6,\;0\~6,\;4\~5$, 2, 0을 나타냈다. 광산 폐석에서 카드미뮴, 납, 아연, 구리의 지화학적 농축계수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지역이 상당한 오염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광산 폐석에서 중금속의 존재 형태는 구리의 경우 유기물 형태, 납은 탄산염 형태, 니켈과 아연은 잔류상 형태로 나타났다.

석탄회를 이용한 염류집적 토양 개선과 작물 생육 증진 (Improvement of Salt Accumulated Soil and Crop Growth using Coal Ash)

  • 이종철;오세진;강민우;김영현;김동진;이상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3-91
    • /
    • 2021
  • 본 연구는 폐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농업적 유용활용(beneficial use)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영가철과 석탄회로 제조한 토양개량제를 투입하여 토양 염류 농도와 작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배양시험과 재배시험으로 평가하였다. 토양개량제는 석탄회를 구형으로 제형하고 영가철이 함유된 용액(0.1, 1.0%)을 표면에 살포하여 제조하였다. 토양개량제는 밭토양으로 충진된 와그너포트에 40 g/10a과 400 g/10a를 처리하였고, 30일 간 배양한 후 토양 EC와 염 농도를 분석하였다. 토양의 EC는 400 g/10a 실험구에서 대조구 대비 약 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표적인 염류인 유효인산의 경우 개량제의 처리 후 1/3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개량제 처리에 따른 토양 내 EC와 염 농도의 감소는 매우 유의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r=0.672~0.985). 또한 개량제 처리 후 뿌리와 줄기의 생육은 약 10% 증가였고, 건중량 또한 대조구에 비해 줄기와 뿌리에서 각각 30-50%와 60-7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석탄회와 영가철을 농업용 토양개량제로 재활용할 경우 농업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농업 생산성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액체금속 피동냉각유동모사 실증설비의 개발 (Development of Liquid Metal Passive Cooling Flow Simulation System)

  • 류경하;김재형;이태현;이상혁;반병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4호
    • /
    • pp.257-264
    • /
    • 2015
  • 원자력 발전이 중요한 에너지 공급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 후 핵연료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듐이나 납비스무스 공융합금 등과 같은 액체금속을 냉각재로 이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액체금속 유동모사 실증 설비 개발을 위한 설계변수 검토, 설계 해석, 구조재의 선정 및 설비 개발 결과를 서술하였다. 설비의 개발은 열수력 해석코드의 해석을 통해 수행되었고 충분한 자연순환 유량을 갖는 설비제작 기술을 확보하였다.

Assessment of Water Pollution by the discharged water of the Abandended Mine

  • Kim, Hee-Joung;Yang, Jae-E.;Lee, Jai-Young;Park, Beang-Kil;Choi, Sang-Il;Jun, Sang-Ho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67-174
    • /
    • 2004
  • Several metalliferous and coal mines, including Myungjin, Seojin and Okdong located at the upper watershed of Okdong stream, were abandoned or closed since 1988 due to the mining industry promotion policy and thus disposed an enormous amount of mining wastes without a proper treatment facilities, resulting in water pollution in the downstream areas. AMD and waste effluents from the closed coal mines were very strongly acidic showing pH ranges of 2.7 to 4.5 and had a high level of total dissolved solid (TDS) showing the ranges of 1,030 to 1,947 mg/L. Also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se samples such as Fe, Cu, Cd and anion such as sulfate were very high. These parameters of AMD and effluents were considered to be highly polluted as compared to those in the main stream area of the Okdong river and be major pollutants for water and soil in tile downstream area. Pollution indices of the surface water at the upper stream of Okdong river where AMD of the abandoned coal mines was flowed into main stream were in the ranges of 16.3 to 47.1. On the other hand, those at the mid stream where effluents from tailing dams and coal mines flowed into main stream were in tile ranges of 10.6 to 19.5. However, those at the lower stream were ranged from 10.6 to 14.9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ining wastes such as AMD and effluents from the closed mines were tile major source to water pollution at the Okdong stream areas.

  • PDF

호흡기 감염 격리병원의 물류시스템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Material Handling System for the Airborne Infection Isolation Hospitals)

  • 최광석;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63-7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aterial handling system of the Airborne Infection Isolation Hospitals which is the one of the key elements of infection control and to improve the basic data for the planning and design of those facilities. Methods: Research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for the material handling system of domestic and foreign Isolation hospitals.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First, a general isolation unit and a high level isolated unit need to be distinguished in terms of efficiency and safety.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hat a high level isolated unit have to completely separate clean and soiled circulations, and soiled corridor should be installed by those means. By doing this, the medical staff can observe patient rooms and supply clean materials directly in the clean zone without wearing PPE, so that safety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Second, for the safe disposal of wastes,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dedicated sterilizer per ward and sterilize it at least in the ward.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central waste treatment room and a dedicated soiled corridor in consideration of the inadequate handling capacity and emergency situation.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flow chart in the negative pressured isolation hospitals and the corresponding material handling system have been presented. Implications: Infection control is very important in safety, but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e symptoms of the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