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ge workers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 노동조합의 발전과정과 노동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process and Union movements of Korea's Union.)

  • 채규옥;한기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8권33호
    • /
    • pp.185-197
    • /
    • 1995
  • Labor union movements brought wage workers into being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y were started with efforts to solve a variety of special problems, brought up in the industrial society by systematic activities. Labor union shows us many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ccording to its philosophical tendency.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To find out the problems of labor union movements for democratization of management to present the direction of labor movements based on the democracy of Industry. Accordingly chapter II examines on the Labor union literall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abor union movements Chapter III deals with the structure, characteristic and development process of our country's labor union chronologically. And on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process chapter IV suggests the roles on the union, management and government for better union movements. Chapter V reaches a conclusion.

  • PDF

수원지역 중소기업 인력수급 불일치에 관한 연구 (Labor Mismatch Study on Medium and Small Companies in Suwon Region)

  • 오원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99-120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mismatch in labor supply and demand on small and medium industries in Suwon region by conducting surveys to potential employees and employers, and to suggest alternative policy means to eliminate those mismatch conditions. Reasons of occupation change, difference in terms desired in occupation between potential employee and employer, understanding in mismatch, and measure of labor shortage by firms a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report's recommendations to eliminate labor mismatch in small and medium industry a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working conditions and occupation competence. Narrowing the working conditions gap, utilization of idle workers, establishment of flexible wage system are suggested to eliminate labor condition mismatch. In addition, potential employees need to meet working requirements by building up both wide use ability, occupation specific ability, and industry specific ability.

  • PDF

산업재해 요통근로자의 재원기간에 관한 연구 (The length of hospital stay of the industrial workers with back injury)

  • 이복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8-29
    • /
    • 2000
  • Back injury is frequent in industry workers and is a common cause of productivity los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sured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tend to stay in hospital long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insu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 for the treatment of back injury in the workers under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insurers develop reasonabl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olicy for back injury claims and prevention strategies of work-related back injury. A total of 2,949 patients whos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claim has been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work-related back injury from January to December 199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hospital stay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 work place, back injury, and hospital were assessed using ANOVA, t-test, simple linear regression and multiple res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length of hospital stay(LOS) was 91.82 days, respectively. 2. Characteristics of Patient LOS of male patients was longer than that of female patient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LOS and between average wage and LOS. Working perio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OS. Distance from resident to hospit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S and LO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gn on type of duty. 3. Characteristics of Work Place LO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industry and geographical region of work place. Size of work pla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S. 4. Characteristics of Back Injury Occupational back pain required shorter LOS compared with back injury due to electric shock. Number of concomitant illnesses and severity of disabil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S. 5. Characteristics of Hospital Patients treated in community hospitals required significantly longer LOS. Treatment in hospitals with rehabilitation program required decreased LOS. This was more prominent as number of physicians specialized in rehabilitation. 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istance form resident to hospital, geographical region of work place, size of work place, number of concomitant illnesses, severity of disability, and type of hospital were factors affecting LOS.

  • PDF

근로환경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 이용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0-22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fundamental data and prevention measures on health promotion and occupational disease,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bsenteeism among workers using data from the third working environment survey in Korea. Methods: This study's subjects were composed of 29,711 wage workers from the 3rd working environment survey data.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everal disease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bsenc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working environ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analysis using the IBM SPSS(ver. 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Results: The effecting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were age, working shift and emotional state. The effecting factors for anxiety and depression were years of education, working condition, duties, and emotional state. The effecting factors of insomnia were duty and emotional state. The positive effecting factors for absent days were work standing, working shift, number of night shifts, autonomy, and duties. The positive effecting factor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age, work standing, working years, working shift, appropriateness of working hours, leadership of superiors, duties and emotional state.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consider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to reduce absent days, such as by reducing of number of night shifts and giving autonomy regarding duties, an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such as by controlling the appropriateness of working hours and stability of the emotional stat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fundamental data on health promotion and occupational disease among workers.

직무 및 조직특성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Social Welf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

  • 강길현;손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71-179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모형(AMOS 16.0)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인과관계를 설정하여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이 미치는지 또는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이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을 포함한 시 도에서 민간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총 297부 중 이직의도가 확인된 설문지 256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특성인 직무자율성과 조직특성인 승진절차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요구성과 직무불안정, 임금수준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임파워먼트와 사회복지업무의 시스템화, 인적관리의 체계화, 의사소통의 활성화가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중·노년층의 재취업 의지 및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re-employment will and re-employment of the elderly workers)

  • 박강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845-3857
    • /
    • 2015
  •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 패널조사(KLoSA)자료를 활용하여 중 노년층의 근로자의 재취업 의지와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은 독립변수를 개인적, 경제적 요인, 일자리의 세부분으로 나누어 로지스틱회귀분석에 의하였다. 분석결과 재취업의지는 대졸자보다는 고졸자가 더 높은데 비해 재취업 가능성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인데 고학력의 베이비부머가 대거 은퇴한 영향으로 보인다. 연령에서도 50대가 60대보다 재취업의지가 낮았다. 배우자 취업, 주택보유는 취업의지를 약화시키고, 일자리의 경우 근무기간과 사업장의 규모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산업의 종류나, 근로유형, 직종 등은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 노년층의 재취업 유도를 위해서는 자영업진출 억제, 변화된 고령자 노동시장에 적합한 일자리 창출, 비정규직 제도 개선, 최저임금제 현실화, 맞춤형 고용서비스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중고령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결정요인과 노후준비 (Determinants of Part-Time Work and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Older Women)

  • 김소희;박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85-196
    • /
    • 2015
  • 본 연구는 중고령 여성의 시간제 근로 실태와 그들이 시간제 일자리를 선택하게 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중고령 여성 중 시간제 근로와 전일제 근로에 따른 노후준비수준 비교를 통하여, 중고령 여성의 시간제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정책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4차년도(2011년) 개인 및 가구자료에 직업력 자료를 결합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고령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결정에 '직전 일자리형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시간제 근로를 하는 중고령 여성이 노후준비수준 항목 중 가구소득, 임금소득, 공적연금 측면에서 전일제 근로를 하는 중고령 여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시간제 일자리 활성화 정책 수립 시, 중고령 여성의 공적연금 등을 포함한 사회보장 혜택과 임금수준 향상 및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고용보호 장치가 강화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5차 근로환경조사를 통해 조사된 재택근무와 수면장애 간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from home and sleep disturbances among workers: using the 5th working environment survey)

  • 김현중;박서연;권형진;방일흠;이예의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8-8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from home and sleep disorders among domestic workers using data from the 5th Working Environment Survey in 2017. Out of the total 30,108 wage workers, 818 employees work from home and 4,090 work in an office. A random sample of 1:5 pairs, considering gender and occupational group, was selected from these employees as the study subjects. The analysis included person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ork-from-home arrangements, and sleep disorders. Age, education, employment status, years in the workforce, weekly working hours, work-life balance, self-perceived health, depression, and anxiety were all adjusted as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from home (independent variable) and sleep disorder (dependent variable). This analysis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from home and sleep disorder. The analysis revealed that working from home was associated with sleep onset latency disorder OR=3.23 (95% CI=2.67~3.91), sleep maintenance disorder OR=3.67 (95% CI=3.02~4.45), and non-restorative sleep OR=3.01 (95% CI=2.46~3.67),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 three types of sleep disorders. Factors influencing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from home and sleep disorders included work-life balance, social isolation, and anxiety.

요양보호사의 노동인권에 관한 고찰 (Labor Human Rights for Care Workers)

  • 전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4-242
    • /
    • 2013
  • 2007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제정되었고 이 법은 질병 및 장애가 있는 노인들에 대한 요양비용을 사회구성원들이 함께 부담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노인 및 그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를 실현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제도가 마련되었다. 요양보호사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시설에서 돌보거나 또는 노인이 거주하는 가정을 방문하여 보호활동을 벌이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에 의하면 요양보호사들의 근무환경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저임금, 포괄임금의 남용, 장기간 근로, 인력배치기준 및 휴게시설 미비, 요양보호서비스 이외의 노무제공, 수급자에 의한 성희롱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노인들에 대한 요양보호의 중요성과 요양보호사들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이들의 업무환경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 논문은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노동인권의 측면에서 요양보호사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 해본다. 결국 요양보호사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과 요양보호사의 처우 개선 그리고 수급자의 인식 개선 등을 통해 바로잡는다면 더 나은 노동환경에서 요양보호사들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1세기 노동력 수급전망(2000년~2005년) (The Labor Force and Employment Outlook in Korea:2000-2005)

  • 최강식
    • 한국인구학
    • /
    • 제23권2호
    • /
    • pp.113-141
    • /
    • 2000
  • 21세기는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정보화 사회의 도래 등으로 지식의 창출과 확산 및 활용속도가 크게 증가될 것이다. 본 논문은 이 같은 변화 상황에서 노동수요와 공급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전망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향후 노동력 공급에 있어서는 생산가능인구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베이비 붐 세대의 장노년화와 고령화 사회 도래, 인구의 고학력화, 여성 노동력의 급증 등이 예상된다. 이 같은 변화는 기업내의 직급구조나 고용관행의 변화, 심지어는 임금체계의 변화등을 수반하게 될 것이다. 노동력 수요에 있어서도 우리 경제에서 지식집약 산업의 비중이 커지고 고용 역시 지식 집약 산업에서의 비중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고기술 산업 및 고학력 직종 등의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문기술 직종이 증가하고 정보통신 인력, 여성인력 등의 수요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변화하는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과 기능을 갖추지 못한 근로자는 실업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고 소득분배 역시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들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평생학습사회의 구축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