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ility index method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45초

Vulnerability curves of masonry constructions Algiers case study

  • Djaalali, F.;Bensaibi, M.;Bourahla, N.;Davenne, L.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2권5호
    • /
    • pp.609-629
    • /
    • 2012
  • This study deals with the assessment of low and mid rise multi-story buildings made of stone and /or brick, composite steel and masonry slabs from the sixties, known to be vulnerable to seismic hazard using the "vulnerability index" method based on buildings survey following Ain Temouchent (1999) and Boumerdes (2003) earthquakes, from where vulnerability curves are constructed using the translation method. The results obtained for the case study confirm what has been observed in situ.

부산지역 미세먼지에 대한 건강 취약성 평가 (Health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M10 in Busan)

  • 이원정;황미경;김유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55-366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human health sector for $PM_{10}$, which is reflected 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disease mortality rates for $PM_{10}$ in Busan over the period of 2006-2010. Methods: According to the vulnerability concept suggest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vulnerability to $PM_{10}$ is comprised of the categories of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The indexes of the exposure and sensitivity categories indicate positive effects, while the adaptive capacity index indicates a negative effect on vulnerability to $PM_{10}$. Variables of each category were standardized by the rescaling method, and each regional relative vulnerability was computed through the vulnerability index calculation formula. Results: The regions with a high exposure index are Jung-Gu (transportation region) and Saha-Gu (industrial region). Major factors determining the exposure index are the $PM_{10}$ concentration, days of $PM_{10}{\geq}50$, ${\mu}g/m^3$, and $PM_{10}$ emissions. The regions that show a high sensitivity index are urban and rural regions; these commonly have a high mortality rate for related disease and vulnerable populations. The regions that have a high adaptive capacity index are Jung-Gu, Gangseo-Gu, and Busanjin-Gu, all of which have a high level of economic/welfare/health care factors. The high-vulnerability synthesis of th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indexes show that Dong-Gu and Seo-Gu have a risk for $PM_{10}$ potential effects and a low adaptive capacity.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the vulnerability index to $PM_{10}$ through a relative comparison using quantitative evaluation to draw regional priorities. Therefore, it provides basic data to reflect environmental health influences in favor of an adaptive policy limiting damage to human health caused by vulnerability to $PM_{10}$.

Seismic vulnerability of old confined masonry buildings in Osijek, Croatia

  • Hadzima-Nyarko, Marijana;Pavica, Gordana;Lesic, Marija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1권4호
    • /
    • pp.629-648
    • /
    • 2016
  • This paper deals with 111 buildings built between 1962 and 1987, from various parts of the city of Osijek, for which, through the collection of documentation, a database is creat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first steps in assessing seismic risk in Osijek applying method based on vulnerability index. This index uses collected information of parameters of the building: the structural system, the construction year, plan, the height, i.e., the number of stories, the type of foundation, the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elements, the type and the quality of main construction material, the position in the block and built-up area. According to this method defining five damage states, the action is expressed in terms of the macroseismic intensity and the seismic quality of the buildings by means of a vulnerability index. The value of the vulnerability index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tructural systems, quality of construction, etc., by introducing behavior and regional modifiers based on expert judgments. Since there is no available data of damaged buildings under earthquake loading in our country, we will propose behavior modifiers based on values suggested by earlier works and on judgment based on available project documentation of the considered buildings. Depending on the proposed modifiers,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existing buildings in the city of Osijek will be assessed. The resulting vulnerability of the considered residential buildings provides necessary insight for emergency planning and for identification of critical objects vulnerable to seismic loading.

낙동강 유역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경향성 분석과 Delphi 기법을 이용한 가뭄 취약성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Drought Vulnerability Index Using Delphi Method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Trend Analysis in Nakdong River Basin)

  • 양정석;김일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2245-2254
    • /
    • 2013
  •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 중 가뭄에 대한 취약성 지수를 자료의 경향성 분석과 Delphi 기법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낙동강 유역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강우 사상적, 인문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총 12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를 Mann-Kendall trend test, Hotelling-Pabst trend test, Sen's trend test 등 3가지 경향성 검정을 통해 표준화하고, 델파이 기법을 통해 국내의 수자원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각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가뭄에 대한 취약성 지수에서 낙동강 유역 중에서 합천 주변 지역이 가뭄에 가장 취약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취약성 지수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전 지역에 적용하게 되면 향후 수자원 정책 수립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환경보건적 요소가 도시 내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mpact of Environmental Health Factors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in a Metropolitan City)

  • 이원정;강재은;김유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92-504
    • /
    • 2013
  • Objectives: This analysis seeks to evaluate the impact of environmental health factors (EHF; e.g. hospital beds per capita, employees of medical institutions)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during 2006-2010. Methods: According to the vulnerability concept suggest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extreme-heat vulnerability is comprised of the categories of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including EHF). The indexes of the Exposure and Sensitivity categories indicate positive effects, while the Adaptive capacity index indicates a negative effect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Variables of each category were standardized by the re-scaling method, and then each regional relative vulnerability was computed with the vulnerability index calculation formula. Results: The extreme-heat vulnerability index (EVI) excepting EHF was much higher in urban areas than in suburban area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When EHF was considered, the difference in the EVI between the two areas was reduc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Adaptive capacity index in urban areas. The low EVI in suburban areas was induced by a dominant effect of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e.g. green area) within the Adaptive capacity category. Conclusions: To reduce the vulnerability to extreme heat in urban areas, which were more frequently exposed to extreme heat than others areas, public health and natural environments need to be improved in sensitive areas.

계전기 동작에 의한 광역정전 방지방안 (A Method of Preventing Blackout Caused by Relay)

  • 진보건;이승재;김상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7-8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n vulnerability index for hidden failure of protective relays in transmission system. The bad influence can be quantized by an vulnerability index. When there is mis-operation, no-operation or mis-setting, power flow can be quantized by an index. According to the index, relays can be resetting. So the wide area blackout can be prevented.

  • PDF

통합 재해지도 작성 기법 개발(II) : 리스크 분석을 적용한 재해지도 작성 (Development of integrated disaster mapping method (II) : disaster mapping with risk analysis)

  • 박준형;김병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호
    • /
    • pp.85-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를 나타내는 침수예상도와 취약도를 나타내는 재해취약지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지도 작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한 장의 지도에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피계획을 동반한 실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재해지도를 작성하였다. 재해지도에 인문·사회·경제적인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연구유역을 노출성, 취약성, 대응성, 복구성 인자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인자들에 대한 7가지 지표를 GIS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각 지표별로 추출된 자료를 1~5등급으로 등급화 하였으며, 각 등급화된 자료를 재해취약지수로 선정하여 통합 리스크 분석 및 인자별 리스크 지도 작성에 활용하였다. 침수예상도와 재해취약지수 인자를 중첩한 인자별 리스크 지도는 인구, 자산, 건물 등을 포함한 지역별 상황을 반영하여 대피계획 수립에 활용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단위와 성질을 가진 재해취약지수 인자들의 표준화를 통해 하나의 취약도로 환산하고, 위험도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분석 방안도 제안하였다. 이는 재해지도 작성시 침수 위험도와 사회·인문·경제적인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재해에 대한 대비·대응·복구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천 제방의 취약성 분석 지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ulnerability Analysis Index for River Levee)

  • 이후상;이재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134-14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으로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제안하였고 제방홍수취약성 지수를 산정하는데 있어 필요한 인자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상 제방의 계획홍수위를 적용하여 제방의 안전율을 분석하였고, 제방의 인자들로는 여유고, 둑마루폭, 제방단면의 비, 활동안전율, 턱(소단)의 길이, 침윤선 길이 비, 한계유속으로 7가지의 인자들을 바탕으로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산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제방의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결과를 제방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값을 이용하여 1~7등급으로 나누어 제방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제주도 서부지역의 지하수 오염취약성 작성 연구

  • 이용두;송희경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16-31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write out vulnerability for western area in Jeju island by using drastic method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among the writing techniques of underground water vulnerability. In case of aquifer, it was divided into two types, gravel layer or not and rated. And soil media was rated two kinds of method. Plan 1 is concerned with only soil class and plan 2 is concerned with soil class and gravels (or rocks), Vadose zone was 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atio of gravel layer. In case of plan 1, the scope of drastic index is from the minimum 77 to the maximum 176, on the other hand, plan 2, the scope of drastic index is from the minimum 79 to the maximum 182. In case of using the water quality data of Nitrate from 1994 to 2004,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re 0.164(Plan 1) and 0.124(Plan 2)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re 0.132(Plan 1) and 0.113.

  • PDF

한국 도심지에서의 홍수취약성 분석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in Seoul, Korea)

  • 황난희;박희성;정건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0호
    • /
    • pp.729-742
    • /
    • 2019
  • 국내의 자연재해피해 중 가장 큰 부분을 대부분은 매년 여름철에 발생하고 있는 태풍과 장마로 인한 침수피해이므로, 도시 홍수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반복되는 피해 저감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홍수취약성을 분석하지만, 반복되는 도시(재)개발로 인해 지형 및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이 바뀌고 있어, 기존에 실시했던 홍수취약성 분석결과가 현실적으로 반영이 되기 힘든 상태이다. 이에 홍수피해 예방을 위해 변형된 지형과 환경에 맞춰 새로운 홍수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여 지역의 투자 우선순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 가장 도시화가 된 서울시 25개 구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홍수취약성 인자들을 Pressure-State-Response (PSR) 구조로 구분하였다. 압력지수(PI)는 인구밀도, 차량 수 등 9개의 인자를, 상태지수(SI)는 공공시설 피해액 등 4개의 인자를 선정하였으며, 대책지수(RI)는 대피시설 수, 재정자립도 등 7개의 인자를 선택하여 홍수취약성지수를 계산하였다. 각 인자들의 가중치를 계산하기 위해 AHP 방법과 Fuzzy이론을 결합한 Fuzzy AHP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세부지수인 압력지수나 대책지수는 가중치 결정방법에 따라 숫자가 변하기는 하지만, 순위 변화는 없었으며, 상태지수는 값 뿐만 아니라 순위에도 다소 변화가 있었다. 또한 세부지수들을 결합하여 계산한 홍수취약성지수는 Fuzzy AHP 방법으로 계산하였을 경우, 강남 지역의 취약성이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 이는 강남지역의 홍수피해복구금액이나 재정자립도가 높고, 다른 지자체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Fuzzy 수를 이용하여 불확실성을 고려할 경우 취약성이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