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components

검색결과 895건 처리시간 0.025초

미나리과 허브식물의 향기성분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Umbelliferous Herbs)

  • 홍철운;김명곤;김철생;김남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14
    • /
    • 2001
  • 온실에서 재배한 chervil (Anthricus cerefolium)과 coriander (Coriandrum sativum)의 잎, 줄기 및 종실로부터 SDE방법에 의해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에 의해 향기성분을 분리 동정한 결과 49종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Coriander의 경엽에서는 $\beta$-sesquiphellandrene (17.6%), germacrene B (7.7%), nerolidol (6.9%), selinene-4-ol (6.0%) 등이, Coria-nder의 종실로부터는 linalool, decanal (5.6%), ${\gamma}$-terpinene (3.8%), $\rho$-cymene 등이, chervil에서는 methyl chavicol, 1-allyl-2,4-dimethoxy benzene 등이 주요 향기성분으로 나타나 주로 terpene류 들에 의해 향기성분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광화학측정망에서 측정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정도관리 방법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method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measured in the Photochemical Assessment Monitoring Station)

  • 신혜정;김종춘;김용표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44
    • /
    • 2011
  • The hourly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concentrations between 2005 and 2008 at Bulgwang photochemical assessment monitoring station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a method for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QA/QC) procedure. Systematic error, erratic error, and random error, which was manifested by outlier and highly fluctuated data, were checked and removed. About 17.3% of the raw data were excluded according to the proposed QA/QC procedure. After QA/QC, relative standard deviation for representing 15 species concentrations decreased from 94.7-548.0% to 63.4-125.8%, implying the QA/QC procedure is proper. For further evaluation about the adequacy of QA/QC procedur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PCA) was carried out. When the data after QA/QC procedure was used for PCA, the extracted principal components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 from the raw data and could logically explain the major emission sources(gasoline vapor, vehicle exhaust, and solvent usage). The QA/QC procedure based on the concept of errors is inferred to proper to be applied on VOCs. However, an additional QA/QC step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in the atmosphere needs to be further considered.

Effect of Maillard reaction with xylose, yeast extract and methionine on volatile components and potent odorants of tuna viscera hydrolysate

  • Sumitra Boonbumrung;Nantipa Pansawat;Pramvadee Tepwong;Juta Mookdasanit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393-405
    • /
    • 2023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nhance the flavor of visceral extracts from skipjack tuna. Flavor precursors and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Maillard reaction were determined. The flavor extract was prepared from the tuna viscera using Endo/Exo Protease controlled in 3 factors; temperature, enzyme amounts and incubation time. The optimal condition for producing tuna viscera protein hydrolysate (TVPH) was 60℃, 0.5% enzyme (w/w) and 4-hour incubation time. TVPH were further processed to tuna viscera flavor enhancer (TVFE) with Maillard reaction. The Maillard reactions of TVFE were conducted with or without supplements such as xylose, yeast extract and methionine. The Maillard volatile components were analyz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ixteen volatiles such as 2-methylpropanal, methylpyrazine, 2,5-dimethylpyrazine, dimethyl disulfide and 2-acetylthaizone were newly formed via Maillard reaction and the similarity of volatile contents from TVPH and TVFE were virtuali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integrated with heat-map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virtualize aromagram of TVPH and TVFE, odor activity value and odor impact spectrum (OIS) techniques were applied. According to OIS results,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1-octen-3-ol 2,5-dimethylpyrazine, methional and dimethyl trisulfide were the potent odorants contributed to the meaty, creamy, and toasted aroma in TVFE.

수증기 증류시 분산매의 조성이 냉이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강도 및 정유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persion Medium on Intensity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Recovery of Essential Oil from Capsella bursa-pastoris by Steam Distillation)

  • 최향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27-833
    • /
    • 1996
  • 연속증류추출(SDE) 장치를 이용하여 냉이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할 때 분산매의 조성(pH, 당 및 염)에 따른 향기성분의 강도 및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분산매의 pH를 3, 5, 7및 9로 하여, 각 pH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패턴 및 냉이로부터의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에 가장 적합한 pH를 조사한 결과 분산매의 pH가 7일 때 총 51종의 가장 다양한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냉이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할 때 중성 pH 부근에서 수증기 증류하는 것이 향기성분의 구성 및 회수율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냉이를 수증기 증류할 때 분산매의 sucrose 농도가 10%, 20% 및 40%로 증가함에 따라 획득된 정유량은 각각 18.1 mg, 29.0 mg 및 33.4 mg으로 40% sucrose용액에 의하여 증류할 때 정유 회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sucr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가 다양하였으며 10%, 20% 및 40% socrose 용액으로 증류할 때 각각 27종, 32종 및 38종이 확인되었다. 냉이의 수증기 증류시 분산매의 surcro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향기를 구성하는 휘발성 성분의 수는 더욱 다양하였으나 양적인 측면에서는 각 성분마다 다른 양상을 보였다. 2%, 8% 및 15% NaCl용액으로 냉이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의 함량은 각각 33.0 mg, 12.5 mg 및 22.4 mg으로 2% NaCl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정유의 회수율이 가장 좋았으나 15% NaCl용액으로 증류할 때 가장 많은 수인 22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 및 확인되었다.

  • PDF

전통 방법으로 담금한 소주 제조중의 퓨젤유 및 향기성분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 인혜영;이택수;이동선;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5-240
    • /
    • 1995
  • 전통 방법으로 제조한 안동소주, 문배주, 이강주, 진도홍주식 소주의 술덧과 소주의 퓨젤유 및 향기성분은 다음과 같다. 퓨젤유의 총량은 술덧에서 $0.090{\sim}0.324mg/ml$이었으나 이를 증류한 소주에서는 $0.357{\sim}0.868mg/ml$로 증가되었으며 문배주나 안동소주식 소주에서 그 함량이 다소 낮았다. 퓨젤유 성분 중 iso-amyl alcohol은 술덧이나 소주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다. 술덧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furfural이 증류한 소주에서 모두 검출되었다. 술덧과 소주의 향기성분으로 alcohol 7종, ester 7종, aldehyde 4종, acid 1종과 미동정물질 14종이 검출되었으며 술덧에서 $23{\sim}25$종, 소주에서 $16{\sim}23$종이 검출되었는데 술덧 중에서는 진도홍주식 술덧이, 소주 중에서는 문배주식 소주가 검출된 향기성분의 수가 많았다. 술덧과 소주에서 공통된 성분은 ethyl acetate, ethyl alcohol, propyl alcohol, iso-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n-hexyl alcohol, acetic acid, ethyl pelargonate, phenylethyl alcohol 등 9종이었고 peak area(%)로 보아 ethyl alcohol이 $62.9{\sim}95.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술덧에서는 n-hexyl alcohol, acetic acid, phenylethyl alcohol이, 소주에서는 iso-amyl alcohol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강주식 술덧에서 phenylethyl alcohol의 비율이, 진도홍주식 술덧에서 n-hexyl alcohol과 phenylethyl alcohol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색이었다.

  • PDF

느타리버섯의 향기(香氣)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Pleurotus ostreatus)

  • 홍재식;이지열;김영회;김명곤;정기태;이극로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36
    • /
    • 1986
  • Pleurotus ostreatus로 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화인하고, 마쇄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지방산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리된 향기 성분은 버섯 고유의 향(香)을 지니고 있었고 수율(收率)은 123 ppm이었다. 2. 분리 확인된 27종의 성분 중 비교적 많이 함유된 성분은 약 67%의 1-octen-3-ol을 포함하여 3-octanone, 3-octanol, 2-octenol 및 2, 4-decadienal이었으며 $C_8$화합물이 전체량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3. 버섯을 마쇄 후 시간 경과에 따라 n-hexanol, 3-octanol, 1-octen-3-ol 등의 alcohol 류는 증가하였으나 n-hexanal, 1-octen-3-one 등의 aldehyde 및 ketone 류는 감소하였으며 전체 지방산에 대한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버섯에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를 각각 첨가하여 마쇄했을 때 향기 성분 중에서 $C_6{\sim}C_{10}$화합물이 차지하는 비율도 증가하였는데 linolenic acid보다는 linoleic acid를 첨가했을 때 더 많이 증가하였다.

  • PDF

솔잎(Pinus densiflora Sieb & Zucc)의 용매분획별 향기성분의 조성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Pinus densiflora Sieb and Zucc according to extracting solvents and steam distillation method)

  • 강성구;강성훈;최옥자;김영환;김용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3-408
    • /
    • 1996
  • 솔잎의 향기성분을 용매분획과 수증기증류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솔잎을 hexane, ethyl acetate 및 ethanol로 연속적으로 추출하였을 때, 29종의 향기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주요 성분은 hydrocarbon이었다. hexane 추출에 의한 솔잎의 주요 향기성분은 ${\alpha}$-pinene, ${\beta}$-thujene, trans-caryophyllene, ${\beta}$-cubebe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솔잎을 hexane으로 추출한 잔사에 ethyl acetate를 가하여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을 경우 추출된 향기성분은 ${\alpha}$-cubebene, 3,6,9,12,15-petaoxanonadecan-1-ol, camphene, 순으로 높았고, 솔잎을 hexane 및 ethyl cetate로 추출한 잔사에 ethanol을 가하여 분석한 경우는 ${\beta}$-D4-tetrahydropyran, ${\gamma}$-cadinene, 3-ethyl-1,4-hexadiene, ${\alpha}$-cubebene등이 주성분이었다. 솔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44종의 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hydrocarbon류가 주성분이었다. ${\beta}$-cubebene, trans-caryophyllene, 2-hexenal, T-muurolol, ${\delta}$-cadinene 순이었다.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방법으로 추출 하였을 때 용매분획 추출시 보다 더 많은 성분이 검색되었고, 용매분획에 따라 추출되는 향기성분의 함량과 조성은 차이가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서도 향 기성분의 조성비가 다르게 나타났다.

  • PDF

발효방법 및 대두품종을 달리한 청국장의 향기성분 (Volatile Compounds of Chonggugjang Prepared by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and Soybean Cultivars)

  • 유선미;김행란;김진숙;장창문;최정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11-115
    • /
    • 1999
  • 발효방법에 따른 청국장의 휘발성 성분을 비교 조사하기 위해 증자대두에 Bacillus subtilis를 접종시킨 시험구(I), 1차 종균으로서 Lactobacilli(ll) 혹은 Aspergillus oryzae(III)를 접종시켜 소정시간 발효후 Bacillus subtilis를 추가 접종시킨 시험구, 그리고 볏짚을 접종원으로 한 시험구(IV)의 청국장제품을 각각 연속증류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 농축하고 GC와 GC/MS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Bacillus subtilis 단용 발효구(I)와 볏짚을 접종원으로 사용한 시험구(IV)에서 각각 35종과 46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고 Lactobacilli처리구(II)에서는 29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시험구(I), (IV)에 비해 향미성분으로 알려진 2,3,5-trimethyl pyrazine, 2,5-dimethyl pyrazine 등의 함량이 각각 2.2배, 1.5배 증가되었다. 또한 Asp. oryzae처리구(III)에서는 총 36종의 휘발성 성분이 분리 동정되었고 이들 성분 중에서 hexadecanoic acid, 2-methyl pyrazine성분이 많이 검출된 반면 청국장의 불쾌취로 알려진 butyric valer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대두 품종별로 제조한 청국장의 휘발성 성분을 비교 검토한 결과 신팔달콩을 원료대두로 사용한 시험구의 청국장이 향미성분은 증가한 반면 불쾌취 성분은 감소되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Horseradish 뿌리의 휘발성 풍미 성분 (Volatile Compounds Characterizing the Flavor of Korean Horseradish Roots)

  • 김인숙;이미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4호
    • /
    • pp.293-300
    • /
    • 1985
  • Volatile components of Korean horseradish roots harvested at different dates were prepared by steam distillation. Samples were examin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combine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major pungent constituent, allyl isothiocyanate was confirmed add tended to increase with delayed harvest time. Pungent principles also included allyl thiocyanate, 2-phenethyl, 2-butyl, 4- pentenyl, benzyl and 3-methylthiopropyl isothiocyanates. Infrared (IR) spectroscopy study showed that allyl isothiocyanate - thiocyanate interconversion did not occur under the condition of this study.

  • PDF

국내산 잎담배의 연기성분 연구 1. 비휘발성 성분을 중심으로 (Studies on Smoke Composition of Korean Tobacco Leaves 1.On the Non-Volatile Phase)

  • 오세열;황건중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1-75
    • /
    • 1983
  • The relative proportion of the major smoke components in the nonvolatile phase from some varieties of tobacco, 1. e. flue- cured, burley, and aromatic tobacco, were determined. In flue- cured tobacco smoke, hydroquinone and glycerol we re exhibited higher concentrations than in the smoke from the other tobaccos. In aromatic tobacco smoke, the contents of non-volatile phase were present in lower concentr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