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components

검색결과 895건 처리시간 0.038초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성분(香味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Kimchis)

  • 윤진숙;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6-122
    • /
    • 1977
  •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성분(香味成分)들에 관해서 확인(確認)하고 염도(鹽度) 및 숙성(熟成)에 따른 차이(差異)를 비교(比較)해 보았다. 김치를 고염(高鹽)김치, 저염(低鹽)김치, 저염(低鹽)날김치로 구분(區分)하고 침전반응(沈澱反應)을 통해 carbonyl화합물(化合物)과 함유황물질(含硫黃物質)의 존재(存在)를 확인(確認)하였다. Vacuum distillation하여 얻은 증류액(蒸溜液)을 ice+salt, dryice-acetone, liquid N trap에 각각 응축시킨 후(後). GC를 이용(利用)하여 분리(分離), 확인(確認)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날김치로부터 acetaldehyde, methylsulfide, propionaldehyde, acetone, methyl ethyl sulfide, methanol, ethyl sulfide, methyl ethyl ketone, ethanol, methyl allyl sulfide, methyl disulfide, allyl alcohol, allyl cyanide, allyl sulfide, allyl disulfide, allyl isothiocyanate, n-hexanol등 17가지를 잠정적으로 추정(推定)할 수 있었고, m.p. IR, UV, TLC,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통해서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ethyl sulfide의 4가지를 동정(同定)하였다. (2)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성분(香味成分)으로서 가장 많은 량(量)을 차지하는 것은 ethanol이며 저염(低鹽)김치가 고염(高鹽)김치나 저염(低鹽) 날김치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3) acetaldehyde는 고염(高鹽)날김치에는 상당량이 있었으나 숙성(熟成)된 김치에서는 매우 감소(減少)하였다. (4) 함유황물질(含硫黃物質)은 숙성(熟成)된 김치에서는 그 종류(種類)가 감소(減少)하였으며 이런 경향은 저염(低鹽)김치에서 현저하였다. (5) 김치가 숙성(熟成)되면 함유황물질(含硫黃物質)이나 acetaldehyde는 감소(減少)하고 ethanol과 그밖의 발효산물(醱酵産物)이 증가(增加)하여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香味)를 이룬다고 생각된다.

  • PDF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Flower and Seed of Safflower)

  • 최성희;임성임;장은영;조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6-201
    • /
    • 2004
  • 식품재료 및 약리 효과로 인한 약용재료로서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홍화꽃의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테르펜류인 p-cymene, limonene, ${\alpha}-phellandrene$, ${\gamma}-terpinene$, camphor, 4-terpineol, selinene, ${\beta}-caryophyllene$, torreyol, ${\beta}-eudesmol$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phenylacetaldehyde, 2-phenylethylalcohol, 4-terpineol, ${\beta}-caryophyllene$, ${\gamma}-terpinene$, ${\alpha}-phellandrene$ 등 통상의 꽃향기 성분과 알데히드류인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pentanal, hexanal, octanal, nonanal 및 decanal, 알코올류인 2-pentanol 및 heptanol, 케톤류의 3-penten-2-one, 2-heptanone, 2,6,6-trimethyl cyclohexanone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 이외 산류인 acetic acid, heptanoic acid, 2-methylbutanoic acid 및 rancid-cheese odor를 띄는 3-methylbutanoic acid(isovaleric acid) 등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홍화꽃에서의 이들 산류의 생성은 다른 꽃류에 비해 종류나 함량이 많았으며, 홍화꽃이 다른 꽃에 비해 좋지 않은 냄새를 내는 특징적인 요인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홍화씨의 경우는 hexanal, (E)-2-heptenal, (E,Z)-2,4-decadienal 및 (E,E)-2,4-decadienal등의 알데히드류가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일반성분 중 전체 함량의 약 30%의 지질을 함유하는 홍화씨는, 방향성과 관계된 torreyol, ${\beta}-eudesmol$ 등의 terpene alcohol류, 달콤한 향과 관계가 있는 3-methylbutanal 및 2-methylbutanal과 함께 산류의 생성도 있었으나, 지방산 산화 분해생성물인 (E,Z)-2,4-decadienal 및 (E,E)-2,4-decadienal이 전체 휘발성 함량의 약 75%를 차지하였다.

강화쑥의 생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Artemisia princeps and A argyi)

  • 최병범;이혜정;방선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4-340
    • /
    • 2005
  • [ $CCl_4$ ]에 의한 실험동물의 간 손상에 미치는 사자발쑥 (Artemisia princeps)과 황해쑥 (A. argyi)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쑥 분말을 투여한 실험동물 혈청의 간 기능 지표 효소인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그리고 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을 측정하였다. $CCl_4$ 단독 투여군에 비해 $CCl_4$와 사자발쑥 혼합병행군은 AST, ALT 및 ALP 활성을 각각 33, 23 및 $19\%$ 감소시켰고 $CCl_4$와 황해쑥 혼합 병행군 역시 각각 37, 33 및 $26\%$ 감소시켰다. 사자발쑥과 황해쑥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한 쑥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성분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 함량은 사자발쑥 10.2 mg/mL, 황해쑥 4.7 mg/mL로 나타나 사자발쑥의 함량이 보다 많았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사자발쑥 $6.1\;mg\%$, 황해쑥 $3.6\;mg\%$로 나타나 역시 사자발쑥의 함량이 보다 많았다. DPPH법에 의한 전자 공여능 측정 실험에서 사자발쑥 $19.0\%$, 황해쑥 $24.4\%$로 나타나 황해쑥의 항산화 능력이 다소 높았다. 사자발쑥과 황해쑥의 추출된 휘발성 성분의 조성을 GC/ MS로 분석한 결과, 사자발쑥의 주요 향기 성분은 테르펜류의 $\delta$-3-carene ($2.2\%$)과 알코올류의 nerolidol ($0.9\%$)로, 황해쑥은 알코올류의 eugenol ($1.4\%$)과 에스테르류의 ethyl pentadecanoate ($1.1\%$)로 확인되었다.

황색종 잎담배의 후숙과정 중 정유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unds in Flue-cured Leaf Tobacco during Aging)

  • 복진영;박윤신;박원종;이종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7-74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essential oils in flue-cured leaf tobacco during aging for 21 months. The threshed leaf tobacco(BlO) produced in 2002 crop year was aged for 21 months in the warehouse of Oc-Cheon Leaf Tobacco Processing Factory. The leaf tobacco were sampled at three month intervals for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GC/MS and comparison of gas chromatographic retention time with those of the authentic standard. The total of 75 compounds from the steam volatile concentrate of the flue-cured leaf tobacco were identified; they were 15 hydrocarbons, 12 alcohols, 3 aldehydes, 18 ketones, 7 esters, 10 acids, 3 phenols, 4 furans, 2 pyrrols and 1 pyridine. The major components of essential oil were neophytadiene, solanone, megastigmatrienone and phytol. After a aging period of 21 months, most of volatile compounds showed a gradual increasing tendency.

Volatile Flavor Components as a Function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 Chiller Aging for m. longissimus and biceps femoris of Hanwoo Beef

  • Yang, Jieun;Dashdorj, Dashmaa;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74-493
    • /
    • 2019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n early post-mortem low voltage electrical stimulation (ES) to localized part of carcasses [m. longissimus lumborum (LL) and m. biceps femoris (BF)] and determined the tenderness and flavor compounds of Hanwoo steers (n=16). Carcasses were stimulated within 30 min post-mortem for 60s using 60 volts and muscles aged 2 and 14 d. Degradation of Troponin-T were accelerated by ES and degraded little faster in BF muscle than LL. Level of free amino acid content of stimulated and aged muscles was significantly (p<0.05) greater than control for both muscles. Totally 63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using SPME-GC. The ES treatment significantly (p<0.05) affected the level of 20 volatile compounds of LL as well 15 volatiles in BF muscle along with total amounts of ketones, sulfur containing, pyrazines and furans. Low voltage ES could be applied to reduce the aging time and improve volatile flavor development by increasing important desirable volatile compounds such as 2-methylpyrazine, 2,5-dimethylpyrazines and 2-acetylthiazole etc. due to released free amino acids from protein degradation.

잣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Volatile Components of Pinenut)

  • 김용갑;정규능;석정심;촌목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5-109
    • /
    • 1986
  • 잣의 향기성분(香氣成分)을 추출(抽出)하는데 우선 Maillard생성물(生成物)의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Soxhlet장치(裝置)에 의한 추출후(抽出後), 수증기증류(水蒸氣蒸溜) 연속추출법(蓮續抽出法)에 의해 추출(抽出)했다. 이 추출물은 다시 Preparative, TLC에 의해 4부분(部分)으로 나누고, 이 모든 fractions을 FID/FTD capillary GC로 동시(同時) 검출(檢出)하고. GC/MS에 의해 109성분(成分)을 동정(同定)했다. 관능기별(官能基別)로 보면 탄화수소(炭化水素) 26성분(成分), aldehydes류(類) 16성분(成分), alcohols류(類) 31성분(成分), ketones류(類) 12성분(成分), esters류(類) 17성분(成分), 산류(酸類) 2성분(成分), 대기(坮基) 11성분(成分), 기타 3성분(成分)이었다.

  • PDF

사과의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Apple (Molus pumila M.))

  • 이해정;박은령;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7-605
    • /
    • 2000
  • 사 과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후지, 쓰가루, 홍로, 홍옥(조나단) 등 4가지 품목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고, GC-FID와 GC/MS로 분석, 동 정하였다. 후지, 쓰가루, 홍로, 홍옥(조나단)에서 각각 100종, 68종, 85종, 94종의 화합물의 동 정되었으며, alcohol류, aldehyde류 , esterfb가 사과의 전체적 향기에 영향ㅇ르 미치는 것으 로 여겨진다. 주요 휘발성 향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요 위발성 향기성분으 로 hexanal, butanol, (E)-2-hexenal, 3-methyl-1-butanol, hexanol이 모든 품종에서 확인되 었으며, 그외 품종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ethy1 acetyl2-methylbutyate,hexyl, aceteate, (E,E)-$\alpha$-facetate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사과 품종별로 분리,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을 정량한 결과, 후지 17.18mg/kg, 쓰가루 7.74mg/kg, 홍로 16.71 mg/kg, 홍옥(조나단) 15.81 mg/kg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한국산 버어리잎담배의 휘발성 향기 성분 연구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KOREAN BURLEY TOBACCO)

  • 최세천;박준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7-116
    • /
    • 1984
  • Volatile aroma components were extracted from Korean burley tobacco (grades: heavy-1, heavy-5, thin-1, and thin-5) by using a vacuum steam distillation apparatus. Individual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combination of Carbowax20M (used silica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Out of the identified components, neophytadiene (43.6ppm), megastigna-4,6,8-trien-3-one (4isomers) (3.32-23.5 1ppm), ethanol (1.8ppm), and ethylacetate (4.7ppm) were contained less in burley heavy grade-5 tobacco than in heavy grade 1 ; neophytadiene (43.7pp), megastigma-4,6,8-triers-3-one (4 isomers) (1.09-3.03ppm), ethylacetate (7.9ppm), and ethanol (8.4ppm), were less in burley thin grade 5 tobacco than in thin grade 1 : nicotin (75.79ppm), and solanone (8.5ppm) were less in burley heavy grade 1 tobacco than in burley heavy grade 5: solanone (5.76ppm), geranylacetone (9.02ppm), phenylacetaldehyde (1.12ppm), $\beta$-phenylethylalcohol (1.93ppm), and dihydroactinidiolide (1.39ppm) were less in burley thin grade 1 than in burley thin grade 5. On the other hand, iso-valeraldehyde, n-valeraldehyde, dimethylpyrazine, and propionic acid were not identified in Korean burley tobacco, but in American burley tobacco.

  • PDF

수확 후 저장기간이 한국산 양다래의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Harvest Storage Period on th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Kiwifruit(Actinidia deliciosa Planch.))

  • 김정민;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23-625
    • /
    • 1997
  • 한국산 양다래의 저장기간이 향기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circ}C$ 저장시료의 향기성분의 변화를 저장기간별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동시증류 추출방법에 의해서 pentanal, methyl butanoate, ethyl butanoate, hexanal, propyl butanoate, ethyl pentanoate, heptanone, (E)-2-hexenal, ethyl hexanoate, 1-hexanol, cyclohexanol, butyl hexanoate, linalool oxide, linalool, butyl hepatanoate, methyl benzoate, ethyl benzoate가 GC/MS로 동정되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E)-2-hexenal과 ethyl butanoate의 함량변화가 많았다. 숙성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풋풋한 향기의 원인물질인 (E)-2-hexenal이 다량 존재하였으나 ethyl butanoate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숙성과정이 진행됨에 따라서 (E)-2-hexenal은 감소하였으며 향긋한 과일향을 나타내는 ethyl butanoate는 급격히 상승하였다.

  • PDF

김치재료의 주요한 냄새성분과 김치숙성중의 냄새성분 및 관능적특성의 변화 (Major Odor Components of Raw Kimchi Materials and Changes in Odor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During Ripening)

  • 정혜승;고영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7-614
    • /
    • 2010
  • Changes in major volatile odor components (VOC)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during ripening for 4 days were investigated, and major VOCs of the raw materials of kimchi were also analyzed. Seven of eight major VOCs of kimchi originated mainly from garlic, while one originated from ginger. During 4 days of kimchi ripening, the amount of ethanol, which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OCs, increased continuously but decreased slightly on the fourth day. The amount of diallyl disulfide decreased during ripening, while that of allyl mercaptan decreased on the first day and increased slightly thereafter. The amount of methyl allyl sulfide, diallyl sulfide, and methyl trisulfide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ripening, while that of dimethyl disulfide and methyl propyl disulfide increased until the second day and decreased thereafter. Scores of overall acceptability, taste, and odor for kimchi ripened for 2 day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samples (p<0.05). The correlation between scores of overall acceptability and the amount of dimethyl disulfide or methyl propyl disulfide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VO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