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components

검색결과 895건 처리시간 0.037초

찹쌀 및 보리쌀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 이택수;최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38-643
    • /
    • 1998
  • 찹쌀 및 보리쌀을 원료로 주모를 첨가하여 담금한 발효과정 중의 탁주술덧을 고체상 추출법으로 추출 농축한 후 극성 column을 사용하여 GC 및 GC-MS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찹쌀 및 보리쌀 탁주술덧에서 alcohol 10종, ester 9종, acid 2종, aldehyde 7종 등 28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향기성분 수는 담금 직후에 $13{\sim}14$종이었으나 발효 16일에 $27{\sim}28$종으로 증가되었고 찹쌀 탁주는 보리쌀 탁주 술덧보다 향기성분이 다소 많았다. 찹쌀 및 보리쌀 탁주 술덧에서 ethyl alcohol, n-propyl alcohol, iso-amyl alcohol, n-hexyl alcohol, hexenyl alcohol, 2-phenylethyl alcohol, ethyl acetate, ethyl succinate, 2-phenylethyl acetate, butyic acid, benzaldehyde, 3-methoxybenzaldehyde의 12종은 발효 전 과정을 통하여 공통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ethyl propionate, iso-amyl acetate, ethyl caprylate, ethylphenyl acetate 및 acetaldehyde 등 5종의 aldehyde는 발효 16일에서만 검출되었다.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 %)은 시험구와 발효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ethyl alcohol, iso-amyl alcohol, 2-phenylethyl alcohol, 2-phenylethyl acetate, hexenyl alcohol, iso-butyl alcohol이 찹쌀 및 보리쌀 탁주술덧에서 공통으로 높아 탁주술덧의 주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추측된다. 이들 성분 외에 ethyl acetate, benzaldehyde는 찹쌀 탁주에서, hexenyl alcohol은 보리쌀 탁주 술덧에서만 높았다. 찹쌀 탁주 술덧에서 발효 16일에 ethyl acetate의 면적비율이 ethyl alcohol보다 다소 높아 보리쌀 탁주술덧과 다른 특색을 보였다.

  • PDF

추출방법에 의한 아니스의 휘발성 성분 조성 비교 (A Comparison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or the Volatile Components of Anise(Pimpinella anisum L.))

  • 권영주;장희진;곽재진;김옥찬;최영현;이재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44-147
    • /
    • 1997
  • 식물체의 향기성분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몇가지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서 headspace(purge & trap)법,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SDE)법, steam distillation법, 용매추출법 등으로 분리된 휘발성 성분의 조성차이를 분석하여 각각의 사용된 방법들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휘발성 성분 분석시료로는 Anise(Pimpinella anisum L.)씨앗을 사용하였으며 분리된 휘발성분중 GC/MSD를 이용하여 43종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Headspace (purge & trap)법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2-butanol, pentanal, 3-hexen-1-ol 등과 같은 alcohol류 및 aldehyde류 성분들을 주요성분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용매추출에서는 비점이 높은 성분들인 myristic acid, oleic acid 등의 acid류 성분들과 ethyl hexadecanoate, ethyl octadecanoate 등과 같은 ester 화합물들이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SDE법과 steam distillation법에서 추출된 성분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며 terpene 화합물들이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Anise의 주성분인 anethole은 SDE법, headspace(purge & trap)법으로 추출하였을때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 PDF

국내산 수박(Citrullus vulgaris S.) 과 참외(Cucumis melo L.) 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atermelon(Citrullus vulgaris S.) and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 김경수;이해정;김선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2-328
    • /
    • 1999
  • 동시증류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획득한 수박(Citrullus vulgaris S.)과 참외(Cucumis melo L.)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질량분석법으로 동정하였다. 수박에서 분리동정된 37종의 화합물로는 16종의 alcohol 류, 15종의 aldehyde 류, 2종의 ester류, 2종의 ketone 류와 기타 2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전체 상대적 농도의 68.66%를 차지한 alcohol 류가 수박의 주요 향기성분이었으며, 불포화 $C_{9}$ 화합물인 (Z)-3-nonen-1-ol, (Z,Z)-nonadien-1-ol, (E,Z)-2,6-nonadienal, (E)-2-nonenal이 특징적 향기성분으로 나타났다. 참외에서 분리동정된 55종의 화합물로는 26종의 ester 류, 16종의 alcohol 류, 10종의 aldehyde 류와 기타 3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상대적 농도의 63.8%를 차지한 ester류가 참외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Z)-3-nonenyl acetate, (Z)-6-nonenyl acetate와 (Z,Z)-3,6-nonadienyl acetate, $C_{9}$-불포화 ester 류가 중요한 향기성분이었으며, 황함유 ester 류인 ethyl (methylthio)acetate, ethyl 3-(methylthio) propanoate 또한 참외의 향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었다.

  • PDF

이고들빼기와 개비름의 휘발성 풍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Youngia denticulata and Amaranthus lividus)

  • 이미순;김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1-514
    • /
    • 1989
  • 야생식용 산채류인 이고들빼기와 개비름의 휘발성 풍미성분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여 GC와 GC-GMS 조합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이고들빼기에서는 alcohols류 10종, esters류 2종, aldehydes류 6종, ketones류 5종, hydrocarbons류 3충, acids류 2종 및 기타 3종의 총 31성분이 확인되었다. 개비름에서는 alcohols류 12종, esters류 4종, aldehydes류 5종, ketones류 9종, hydrocarbons류 7종, acids류 3종, phenols 2종 및 기타 6종으로 총 48성분이 확인되었다.

  • PDF

생마늘과 무취마늘의 휘발성 향기 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between Fresh and Odorless Garlic)

  • 이재곤;도재호;성현순;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51-454
    • /
    • 1997
  • An attempt was made in this study to analyz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and odorless garlic (Allium sativum L.), Essential oils in fresh garlic and odorless garlic were isolated by a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SDE) method using n-pentane/diethy ether as solvent. A total of 21 and 22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GC/MS from the essential oils of fresh garlic and odorless garlic, respectively.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and methyl allyl disulfide were found to be major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fresh garlic and odorless garlic. By the preparation of ordorless garlic, 77.5% of diallyl trisulfide, 15.0% of diallyl disulfde, 72% of methyl allyl disulfide, and 78.4% of allyl thiol components in fresh garlic were lost. Eleven compounds including 2-vinyl-4H-1,3-dithiin, eugenol and 2-methoxy-4-vinyl-phenol were identified in odorless garlic, but not m fresh garlic.

  • PDF

Terpenoid 분석을 통한 취나물류의 향기지표물질 비교 (A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of Chwi-namuls by Terpenoid Analysis)

  • 최향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30-940
    • /
    • 2012
  • A comparison of essential oils composition of Aster tataricus L. (gaemichwi), Ligularia fischeri (gomchwi),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miyeokchwi), and Aster scaber (chamchwi)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for the identification of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in chwi-namuls. The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by the hydro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One hundred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gaemichwi essential oil. ${\alpha}$-Pinene (11.5%)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followed by myrcene (8.9%) and ${\beta}$-pinene (7.5%). Ninety-on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of gomchwi. Aromadendrene (14.8%)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followed by ${\beta}$-caryophyllene (7.6%) and 1-methyl-4-(1-methylethylidene)-cyclohexene (7.3%). Ninety-five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were detected in the essential oil of miyeokchwi, moreover, spathulenol (15.7%)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Ninety-six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were detected in the essential oil of chamchwi.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21.9%)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followed by ${\beta}$-caryophyllene (9.5%) and ${\delta}$-terpinene (8.9%).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gaemichwi was characterized by a higher contents of pinenes.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gomchwi can be easily distinguished by the percentage of aromadendrene. Spathulenol and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wer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odorants of miyeokchwi and chamchwi, respectively.

Comparative Chemical Composition of Domestic and Imported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Oils

  • Chang, Kyung-Mi;Kim, Gu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288-1292
    • /
    • 2009
  •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indicum L. (gamguk) produced in Korea and China by the hydro distillation, an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yield of oils from Korean and Chinese gamguk were 2.0 and 0.5%(v/w), respectively. Sixty-three volatile compounds of Korean gamguk representing 89.28% of the total peak area were tentatively identified, including 35 hydrocarbons, 12 alcohols, 6 ketones, 3 esters, 5 aldehydes, 1 oxide, and 1 miscellaneous component. Thirty-six volatile components of Chinese gamguk constituted 58.15% of the total volatile composition were tentatively characterized, consisting of 19 hydrocarbons, 7 alcohols, 2 ketones, 2 esters, 4 aldehydes, 1 oxide, and 1 miscellaneous component. The predominant components of Korean oil were ${\alpha}$-pinene, 1,8-cineol, and chrysanthenone. Whereas, camphor, ${\alpha}$-curcumene, and ${\beta}$-sesquiphellandrene were the main aroma compounds of Chinese gamguk.

더덕뿌리중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 (Benth. et Hook.))

  • 박준영;김영회;김근수;곽재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38-343
    • /
    • 1989
  • 더덕뿌리의 향기성분을 분석코저 SDE법에 의해 휘발성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에 의해 성분을 확인한 결과 terpene 및 terpene alcohol류 16종, hydrocarbon류 13종, alcohol류 5종, aldehyde 및 ketone류 6종, acid류 6종, ester류 2종 및 기타 2종 등 총 50개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중 n-hexanal(7.3%), trans-2-hexenal (24.9%), n-hexanol(19.8%), cis-3-hexen-1-ol (5.6%) 및 trans-2-hexen-1-ol(29.4%)이 전체 성분의 85.0%를 차지하였으며, 관능평가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5종의 $C_6$ 화합물들이 더덕의 특징적인 향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밤꽃의 휘발성 화합물 특성 (Volatile Component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Flower)

  • 김연순;박은령;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01-805
    • /
    • 2003
  • 밤꿀의 밀원이 되는 밤꽃에서 SDE 추출법과 GC-FID 및 GC/MS 분석방법으로 122종의 휘 발성 성분을 분리ㆍ동정하였다. 밤꽃의 휘발성분 조성은 전체 향기성분 중 alcohol류가 36.58%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15종의 hydrocarbon류, 20종의 terpene류와 유도체, 7종의 ketone류,24종의 aldehyde류, 12종의 ester류, 4종의 acid류, 3종의 furan류와 2종의 기타 화합물 순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밤꽃 휘발성분의 주성분은 전 체 peak area의 18.6%을 구성하는 1-phenylethanol과 (E)-geraniol, tricosane, heneicosane, benzyl alcohol, acetophenone, 2-phenylethanol 등으로 방향족 alcohol과 홀수탄소로 구성 된 포화탄화수소들이었다. 밤꽃 추출물의 휘발성분에는 밤꿀의 밀원을 판단할 수 있게끔 하는 marker로써 사용가능성을 지닌 1-phenyl-ethanol과 acetophenone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밤꽃의 특징적인 강한 동물취와 꽃향이 혼합된 형태의 향 특성은 nonanal 등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포도의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Grape(Vitis vinifera L.))

  • 박은령;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66-372
    • /
    • 2000
  • SDE 방법으로 추출한 블랙올림피아, 캠벨, 델라웨어의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각각 77종, 72종, 74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동정하였다. 블랙올림피아의 주요향기성분으로 (E)-2-hexenal(20.36%), diethylacetal(18.03%), hexanal, ethyl acetate가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캠벨에서는 에스터류로써 30.81%를 나타낸 ethyl acetate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ethyl (E,E)-2,4-decadienoate와 ethyl butanoate가 각각 7.96%, 2.59%를 차지하였고, 알코올류와 알데이드류는 주로 $C_{6}$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었다. 델라웨어에서는 블랙올림피아나 켐벨과는 달리 알코올류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성분은 (E)-2-hexenal (21.07%)과 (E)-2-hexen-1-ol(19.43%) 이었다. 세 종류의 품종에서 공통적으로 hexanal, (E)-2-hexenal, hexanol, (E)-2-hexen-1-ol, ethyal acetate 둥이 다량 동정되어 $C_{6}$-화합물이 포도의 주된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으나 테르펜올류는 델라웨어에서만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의 총함량으로 블랙올림피아, 캠벨, 델라웨어에서 각각 13.7 mg/kg, 48.5 mg/kg,15.3 mg/kg이 정량분석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