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aromatic compounds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7초

대도시 교통밀집지역 도로변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a Heavy-Traffic Site in a Large Urban Area)

  • 백성옥;김미현;박상곤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3-126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temporal (daily, weekly, and seasonal) vari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oncentrations at a road-side site in a heavy-traffic central area of Metropolitan Taegu. Ambient air sampling was undertaken continuously for 14 consecutive days in each of four seasons from the spring of 1999 to the winter of 2000. The VOC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dsorbent tubes, and were determined by thermal desorption coupled with GC/MS analysis. A total of 10 aromatic VOCs of environmental concern were determined, including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m+p-xylenes, styrene, o-xylene, 1,3,5-trimethylbenzene, 1,2,4-trimethylbenzene, and naphthalene. Among 10 target VOCs, the most abundant compounds appeared to be toluene (1.5 ∼ 102 ppb) and xylenes (0.1 ∼ 114 ppb), while benzene levels were in the range of 0.3 ∼6 ppb.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trends of VOC levels were significantly dependent on traffic conditions at the sampling site since VOC concentrations were at their maximum during rush hours (AM 7∼9 and PM 7 ∼9). However, some VOCs such as toluene, xylenes, and ethylbenzene were likely to be affected by a number of unknown sources other than vehicle exhaust, being attributed to the use of paints, and/or the evaporation of solvents used nearby the sampling site. In some instances, extremely high concentrations were found for these compounds, which can not be explained solely by the impact of vehicle exha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estim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fferent emission sources in large urban areas.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median value might be more desirable than the arithmetic mean as a representative value for the VOC data group, since the cumulative probability distribution (n=658) does not follow the normal distribution pattern.

Paint booth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ssions in an urban auto-repair center

  • Cho, Minkyu;Kim, Ki-Hyun;Szulejko, Jan E.;Dutta, Tanushree;Jo, Sang-Hee;Lee, Min-Hee;Lee, Sang-hun
    • 분석과학
    • /
    • 제30권6호
    • /
    • pp.329-337
    • /
    • 2017
  • A major concern regarding most auto-repair shops in residential areas is the emission of odor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to the local atmosphere, especially during painting operations. VOCs contribute to poor local air quality and are responsible for the perceived odor and discomfort experienced by local residents. Sixteen major VOCs (6 aromatic hydrocarbons and 10 aliphatic carbonyl compounds) were selected as potential target compounds. The site was an auto-repair shop located in a central region of Seoul, South Korea, where the air quality of the site has been a subject of residents' complaints. The sampling points were as follows: 1) in the painting booth with new (NB) or old (OB) removal system, (2) in the exhaust duct after new (ND) or old (OD) odor removal filter, and (3) 2 m below the discharge vent (4 m above the ground) (outdoor air, OA). Each sample was coded: (1) before painting (BP), (2) during painting (DP), and (3) after painting (AP). The toluene level in the duct with the new removal filter during painting (ND-DP) was 1.5 ppm (v/v), while it was 3.8 ppm (v/v) in the right duct with an old removal filter during painting (OD-DP). Accordingly, the effect of filter replacement was reflected by differences in VOC levels. Therefore, accurate monitoring of odorous VOCs is an important step to reduce odor nuisance from local sources.

열처리 온도에 따른 열분해 연료유 내 휘발유분 및 잔류 중질유분의 구조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Volatile Matters and Heavy Oil Fractions from Pyrolysis Fuel Oil by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 안동해;김경훈;김종구;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297-302
    • /
    • 2019
  • 열분해 연료유(pyrolysis fuel oil)의 열처리 시 발생되는 구조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열처리 온도에 따라 발생되는 휘발유분(volatile matters) 및 중질유분을 분리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중질유분의 수율은 낮아지며, 탄화수율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휘발유분의 $^1H-NMR$ 구조분석 결과, 원료에 포함되어 있던 1~2환 방향족 성분들은 $340^{\circ}C$ 이전의 온도에서 대부분 제거되었으며, $320^{\circ}C$부터는 크래킹 반응에 의하여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지방족 탄화수소 곁사슬이 분해됨에 따라 새로운 휘발유분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중질유분의 원소분석 및 $^1H-NMR$ 구조분석 결과로부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C/H 몰비 및 방향족화도 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구조분석 결과를 통하여 PFO의 $280{\sim}360^{\circ}C$에서의 열처리에 따른 구조 변화는 비점 차이에 따른 휘발유분의 분리 및 크래킹 반응에 의한 지방족 곁사슬의 분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일부 화학종 간 중합반응 또한 발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삼겹살 구이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특성 연구 (A Study of Odorants and Volatiles Released from Pork Belly Meat When Treat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 김보원;김기현;김용현;안정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1-222
    • /
    • 2014
  • Pork belly meat is one of the most preferred food items for many Korean people. The odorants released from cooking of pork belly meat were measured by three kinds of cooking methods (Charcoal-grill (C), Electric Pan (E), and Gas burner-pan (G)). A total of 16 target compounds including carbonyl compounds,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poly aromatic hydrocarb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comparative purposes. Their emission concentrations were quantified using HPLC-UV, GC-MS, GC-TOF-MS, etc. The gas samples collected by Charcoal-grill cooking showed generally enhanced concentrations of most target compounds among all three kinds of cooking methods. In Charcoal-grill, concentration of benzene, formaldehyde and pyrene went up to 543, 516, and 402 ppb, respectively. It the results are compared in terms of the sum of odor intensity, the highest value (4.25) was also seen from Charcoal-gr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significantly reduced emission of harmful pollutants can be attained, it pork belly meat is cooked by the Gas or electric pan instead of Charcoal-grill.

Effects of Microbial Transglutaminase on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Kefir Produced by Using Mixture Cow's and Soymilk

  • Temiz, Hasan;Dagyildiz, Kub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06-616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s) on the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efir produced by using mix cow and soymilk. Kefir batches were prepared using 0, 0.5, 1 and 1.5 Units m-TGs for per g of milk protein. Adding m-TGs to milk caused an increase in the pH and viscosity and caused a decrease in titratable acidity and syneresis in the kefir samples. Total bacteria, lactobacilli and streptococci counts decreased, while yeast counts increased in all the samples during storage. Alcohols and acids compounds have increased in all the samples except in the control samples, while carbonyl compounds have decreased in all the samples during storage (1-30 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alcohols, carbonyl compounds and acids in total volatiles on the 1st and the 30th d of storage were observed at 8.47-23.52%, 6.94-25.46% and 59.64-63.69%, respectively. The consumer evaluation of the kefir samples showed that greater levels of acceptability were found for samples which had been added 1.5 U m-TGs for per g of milk protein.

${\beta}-Carotene$의 열분해(熱分解)에 의한 휘발성(揮發性) 화합물(化合物)의 생성(生成)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by the Thermal Degradation of ${\beta}-Carotene$)

  • 박준영;김옥찬;김영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60-265
    • /
    • 1986
  • 잎담배의 중요(重要)한 색소성분(色素成分)인 ${\beta}-carotene$$400^{\circ}C,\;600^{\circ}C$$800^{\circ}C$에서 각각 열분해(熱分解)한 다음 생성(生成)된 휘발성(揮發性) 성분(成分)들을 GC 및 GC/MS에 의해 확인하고 분해온도(分解溫度)에 따른 생성물(生成物)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각 온도별(溫度別) 분해생성물(分解生成物)로부터 36종(種)의 방향족(芳香族) 탄화수소(炭化水素) 10종(種)의 ${\beta}-ionone$ 관련화합물을 포함하여 53종(種)의 휘발성(揮發性) 화합물(化合物)을 확인하였고 이들 중에서 ${\beta}-cyclogeraniol$을 포함한 37종(種)의 화합물(化合物)은 ${\beta}-carotene$의 열분해생성물(熱分解生成物)로서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은 성분(成分)들이다. 한편 $400^{\circ}C$$600^{\circ}C$에서 열분해(熱分解)했을 때의 중요(重要) 생성물(生成物)은 $p-xylene,\;{\alpha}-terpinene,\;{\beta}-cyclocitral,\;ionene(1,2,3,4-tetrahydro-1,1,6-trimethylnaphthalene),\;{\beta}-ionone$ 및 dihydroactinidiolide 등이었고, $800^{\circ}C$에서는 위에서의 6종(種)의 성분(成分) 이외에도 toluene이 많이 생성(生成)되었다.

  • PDF

반응향을 적용한 게향미제 Base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a Crab-like Flavoring Base Made Using Reaction Flavor Technology)

  • 안준석;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2-109
    • /
    • 2014
  • 4개의 아미노산류(proline 0.29 g, glycine 0.63 g, arginine 0.61 g, methionine 0.02 g)와 과당(fructose 1.07 g)을 홍게 농축자숙액(100 mL, 20oBrix)에 넣고 반응향(reaction flavor)을 유도한 게 향미제 base(CFB)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총 74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원료에서는 30개의 화합물이, 대조구에서는 34개, CFB에서는 55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반응향 유도 가열반응에 의해 많은 휘발성 화합물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룹별로 보면 함질소화합물(19종의 pyrazine류, 4종의 pyridine류)이 반응향 유도를 통하여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대조구에 비해 27배 이상의 함량 증가가 있었다. 함황화합물류(7종)에서는 dimethyl trisulfide 및 dimethyl disulfide 등 2종의 화합물이 전체 함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반응을 통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방향족화합물의 종류와 함량은 원료(12종) 및 대조구(3종)에서 반응향 반응을 통하여 CFB(3종)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Pearson's 상관분석 결과 tetramethylpyrazine, 2-ethyl-3,5,6-trimethylpyrazine 2,3,5-trimethyl-6-(3-methyl butyl) pyrazine, 2-ethyl-3,5-dimethylpyrazine, 2,5-dimethyl-3-(3-methylbutyl)pyrazine, 2-ethyl-3,6-dimethylpyrazine 및 2-decanone 등 7종의 화합물이 CFB의 관능적 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치 가공부산물로부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조미료 제재의 개발 2. 분말 참치 가수분해물의 향미성분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Agents from Skipjack Processing By-product with Commercial Proteases 2. Flavor Compounds in Powdered Skipjack Hydrolysate)

  • 김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17-626
    • /
    • 1996
  • 참치 가공 부산물로부터 제조한 가수부내물의 질소 화합물의 경우 생시료에서는 3.91g%인 반면에, 가수분해물에서는 24.94g%로서 생시료에 비해 6.4배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시료에서는 lysine이 889.13mg%로서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22.73%를 차지하였고, 그 외 taurine, 3-methylhistidine, anserine, alanine의 순으로 함량이 많았으나 가수분해물에서는 anserine이 3,041.12mg%로서 전체 함량의 12.19%를 차지하였고 그 외 histidine, leucine, hydroxyproline, arginine, phenylalanine, taurine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분석결과에서는 두 시료 모두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각각 55.14%와 49.28%로 높았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C_{16:0}$, $C_{18:0}$, $C_{18:1/}$, $C_{22:6}$가 주요 지방산으로서 전체 함량의 75% 정도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가수분해물 중의 polyene산은 생시료에 비해 1.4배 높게 나타났다.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99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이중에서 생시료에서는 75종의 화합물이, 가수분해물에서는 72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주로 알데히드류(28종), 케톤류(20종), 알콜류(19종), 함질소화합물류(5종), 방향족화합물류(10종), 퓨란류(4종)와 기타 화합물류(12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산화취성분인 알데히드류 및 방향족화합물은 생시료에 비하여 가수분해물에서는 상당량 감소된 반면, 고소한 향기성분인 heterocyclic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다.

  • PDF

흡연시 발암성 물질의 체내 잔존율에 대한 연구 - 주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중심으로 (Studies on the body - retaining rate of smoking-related carcinogens using some important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김기현;최여진;홍윤정;양혜순;이진홍;이용기
    • 분석과학
    • /
    • 제17권5호
    • /
    • pp.410-41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담배 흡연과 관련된 유해성분들의 발생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BTEX를 위시한 주요 방향족 VOC 성분과 포름알데하이드와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카보닐 화합물의 분포특성을 다각도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접흡연에 해당하는 exhaled mainstream smoke (EMS)와 간접흡연에 해당하는 side-stream smoke (SS) 시료 등을 분석하고, 이들의 농도분포를 비교하였다. 필터를 제거한 상태에서 흡입되는 담배 연기의 경우, 유해한 성분들이 수 백 ppm 수준의 고농도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흡연자가 비흡연시에도 날숨을 통해 이들 성분을 수 십에서 수 백 ppb의 농도로 배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와 날숨과 들숨의 관계로부터 주요 흡연성분들의 체내 잔류율 등을 유추해 보았다. 이러한 추정에 의하면, 방향족 및 카르보닐 성분들의 대부분이 99% 이상 체내에 잔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고에 따른 더덕의 향기 성분과 정유 함량 (Aromatic Constituents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Cultivated at Different Altitudes)

  • 김상국;강동균;민기군;정상환;이승필;이상철;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8-62
    • /
    • 1999
  • 본 실험은 더덕을 산지에 재배할 경우 적정 표고와 함께 방향성 향상과 약리성분인 사포닌의 함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안동 재배지(150m), 안동 학가산(550m), 영양 일월산(750m)에 재배 및 야생더덕을 재배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상환경은 최고기온이 안동지역에서 $38^{\circ}C$인 것에 비해 학가산과 일월산에서는$2^{\circ}C$에서 $11^{\circ}C$정도 더 낮았고 지온은 $7^{\circ}C$정도 낮았고 조도량은 65%인 7000lux였다. 토양특성 은 토양산도가 5.6에서 6.1정도로 약산성을 띠며 유기물 함량은 6.7%에서 8.8%로 안동지역보다 4배정도 높았다. 안동 재배지의 근장이 13cm인 것에 비해 학가산이 13.2cm, 일월산이 13.8cm로 다소 길었고 근경도 표고가 높을수록 두꺼웠다. 생근수량은 안동 재배지의 더덕이 평균 238kg인 것에 비해 일월산의 더덕은 281kg으로 표고가 높을수록 증수되었다. 안동 재배지의 정유함량은 야생 및 재배더덕 모두 0.004%로 낮았으나 학가산과 일월산은 각각 0.005%와 0.006%로 높았다. 향기성분은 총 48종으로 지방족 알코올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안동 재배지는 1-hexanol이 $13.40{\sim}14.10\;%area$, cis- 3-hexanol이 $12.20{\sim}13.11\;%area$로 학가산 및 일월산 재배지의 더덕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rans-2-hexanol은 안동 재배지에 비해 학가산 및 일월산의 분포는 각각 $16.32{\sim}16.82\;%area$, $17.83{\sim}47.22\;%area$로 큰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