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aroma compounds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4초

꾸지 뽕나무 휘발성 향기성분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Volatile Aroma Componen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tracts)

  • 고건희;남상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493-1501
    • /
    • 2012
  • 꾸지 뽕나무(C. tricuspidata)의 휘발성 향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2 가지의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꾸지 뽕나무의 향기추출물에서 동정된 10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대한 항산화활성도 측정하였다. 꾸지 뽕나무의 줄기 및 뿌리 향기추출물들은 2가지 실험법에서 모두 뚜렷하게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에서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줄기와 뿌리의 향기추출물은 각각 $77.02{\pm}8.12%$$74.19{\pm}6.82%$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lipid/malonaldehyde assay에서 $16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줄기 및 뿌리의 향기추출물은 각각 $61.43{\pm}2.11$$76.17{\pm}4.25%$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꾸지 뽕나무의 향기추출물에서 동정된 향기성분들은 7종의 terpenes and terpenoides, 14종의 alkyl compounds, 11종의 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3종의 oxygen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12종의 aromatic compounds, 9종의 lactones와 7종의 miscellaneous compounds였다. 꾸지 뽕나무의 향기추출물에서 동정된 향기성분들 중에서 eugenol, isoeugenol 및 2,4-bis(1,1-dimethylethyl)phenol은 lipid/malonaldehyde assay에서 $16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91.74{\pm}1.33$, $94.00{\pm}0.59$$91.22{\pm}4.74%$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동일한 방법에서 BHT와 ${\alpha}$-tocopherol의 항산화활성이 각각 $91.90{\pm}0.42%$$89.47{\pm}3.04%$인 것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편 동일한 처리농도에서 vanillin과 2-acetylpyrrole은 각각 $63.36{\pm}5.83$$58.62{\pm}6.83%$로서 중간 정도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꾸지 뽕나무는 산화적 손상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과 사람들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우유와 곡류를 이용한 요구르트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Aroma Compounds of Yogurt from Milk and Cereals)

  • 김경희;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6-141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곡류(쌀, 보리, 밀, 옥수수)를 각각 첨가하고 젖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2182)으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곡류의 첨가가 요구르트에서 생성되는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와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s chromatograph를 사용하여 호상요구르트의 휘발성분을 분석한 결과,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diacetyl, butanol 및 acetoin의 6가지 취발성분이 탐지되었으며, 이 중에서 젖산균 발효에 의하여 생성된 것은 acetaldehyde, ethanol, diacetyl 및 acetoin 이었다. 곡류 첨가에 의하여 요구르트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전체적인 패턴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우유요구르트의 발효과정에 일어나는 휘발성 향기성분의 경시적인 변화를 보면, 젖산균 발효로 생성된 성분 가운데 acetoin과 ethanol은 발효 6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한 후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diacetyl은 6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그 후부터는 감소하였으며, acetaldehyde는 발효 18시간부터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Disk Sorptive Extraction Based on Monolithic Material for the Determination of Aroma Compounds from Lantana camara L.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Jang, Hye-Jin;Son, Hyun-Hwa;Lee, Dong-S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2호
    • /
    • pp.4275-4280
    • /
    • 2011
  • Present study describes the optimization of disk type sorptive extraction using monolithic material (Mono Trap) for the analysis of volatile aroma compounds from Lantana camara L. in combination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onolithic material sorptive extraction (MMSE) is a new sampling technique using a monolithic hybrid adsorptive disk (O.D. 10 mm, 1 mm thickness) made of high purity silica and activated carbon having a large surface area chemically bonded with octadecyl silane (ODS). The experimental parameters that may influence the MMSE efficiency have been optimized.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and detection limits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method was validated with real plant samples of Lantana camara L. Twenty eight compounds including the main representative compounds of ${\alpha}$-curcumene and ${\beta}$-caryophyllene were found in analyzed samples. Results proved that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as a good alternative for the analysis for such volatile aroma compounds in plant samples.

한국산 느타리 버섯류 (Pleurotus sp.)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sp.) Cultivated in Korea)

  • 정순택;홍재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9-305
    • /
    • 1991
  •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tion method에 의해 4종의 국내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는 느타리 버섯류 (Pleurotus sp)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의 머무름 시간 비교에 의해 성분을 확인 하였다. 확인된 54종의 휘발성 화합물중 저온성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 ASI 201)에서는 1-octen-3-ol, 3-octanone, 3-octanol등이, 원형 느타리 (Pleurotus florida--ostreatus-ostreatus)에서는 1-octen-3-ol, n-hexanol, 3-octanone, 3-octanol, phenol등이, 애느타리 (Pleurotus ostreatus)에서는 1-octen-3-ol, n-pentanal, n-hexanol, n-pentanol, 3-octanone, 3-octanol, 1,5-octadien-3-one등이었다. 특히 확인된 성분중에는 탄소수가 8개인 alcohol 및 carbonyl화합물이 많았으며 전체 향기성분에 대한 $C_8$화합물의 비율은 각각 56.60%, 72.46%, 54.84%, 35.85%이었다.

  • PDF

The Influence of Spices on the Volatile Compounds of Cooked Beef Patty

  • Jung, Samooel;Jo, Cheorun;Kim, Il Suk;Nam, Ki Chang;Ahn, Dong Uk;Lee, Kyung He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6-171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pices on the amounts and compositions of volatile compounds released from cooked beef patty. Beef patty with 0.5% of spice (nutmeg, onion, garlic, or ginger powder, w/w) was cooked by electronic pan until they reached an internal temperature of $75^{\circ}C$. A total of 46 volatile compounds (6 alcohols, 6 aldehydes, 5 hydrocarbons, 6 ketones, 9 sulfur compounds, and 14 terpenes) from cooked beef patties were detected by using purge-and-trap GC/MS. The addition of nutmeg, onion, or ginger powder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duction of the volatile compounds via lipid oxidation in cooked beef patty when compared to those from the control. Also, the addition of nutmeg and garlic powder to beef patty generated a lot of trepans or sulfur volatile compounds,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the major proportion by chemical classes such as alcohols, aldehydes, hydrocarbons, ketones, sulfur compounds, and terpen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ice vari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 of spices to the beef patty meaningfully changes the volatile compounds released from withi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pices can interact with meat aroma significantly, and thus, the character of each spice should be considered before adding to the beef patty.

생쑥과 덖음쑥차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Raw Mugwort Leaves and Parched Mugwort Tea)

  • 김영숙;이종호;김무남;이원구;김정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1-267
    • /
    • 1994
  •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쑥(A. asiatica nakai)을 이용하여 전래의 녹차제조법에 따라 덖음쑥차를 제조하였다. 생쑥과 덖음쑥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Tenax trap으로 포집한 다음, GC-MS로 분리, 동정한 결과 58가지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이들 휘발성 화합물 중 향의 특징으로 보아 쑥향과 유사한 11가지 향기성분은 benzaldehyde, pinene, myrcene, cineole, 2-pyrrlidinone, camphor, thujone, 1-acetylpiperidine, caryophyllene, coumarin 그리고 famesol이었으며, 이들의 혼합물은 4월에 채취한 쑥의 향기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었으므로 이들 11가지 화합물을 덖음쑥차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지 표가 되는 화합물로 생각되었다.

  • PDF

꽃향유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Compounds of Elsholtzia splendens)

  • 이소영;정미숙;김미경;백형희;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39-3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독특한 방향을 지닌 식용 및 약용식물인 꽃향유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및 HS-SPME법에 의해 추출한 후, GC-MSD를 이용하여 분석 동정하였으며, GC-O에 의하여 꽃향유의 aroma-active compounds를 확인하였다. SDE법에 의해 꽃에서는 aldehydes 3종, alcohols 7종, hydro-carbons 11종, ketones 5종 및 기타 3종의 총 29종이 확인되었고, 잎에서는 aldehydes 3종, alcohols 6종, hydrocarbons 11종, ketones 6종 및 기타 4종의 총 30종이 확인되었다. PDMS fiber를 사용한 HS-SPUE법에 의해 꽃과 잎에서는 aldehyde가 검출 되지 않았으며 alcohols 3종, hydrocarbons 18종, ketones 3종 및 기타 2종의 총 26종이 확인되었고, 잎에서는 alcohols 7종, hydrocarbons 15종, ketones 7종 및 기타 2종의 총 31종이 확인되었다. 꽃향유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알려진 elsholtziaketone과 naginataketone은 SDE법과 HS-SPME법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며 꽃과 잎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나타났다. 꽃향유 향기분석에서 SDE 및 PDMS fiber를 이용한 HS-SPME방법의 주요한 차이는 비극성인 SPME fiber에서 비교적 극성 물질인 aldehyde류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한 GC-O 분석을 통하여 elsholtziaketone과 naginataketone이 강렬한 운향(rue-like)을 지니며, 톡 쏘는 듯한 향신료의 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elsholtziaketone과 naginataketone이 꽃향유 특유의 향 발현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전통간장의 맛과 향에 관여하는 주요 향미인자의 분석(III) -향기성분 분석 -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s in the Flayer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III) - Aroma Compound Analysis -)

  • 박현경;손경희;박옥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3-182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ive aroma component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Volatile aroma compounds were extracted by solvent extraction, TMS esterification of methyl acetate extracts and SDE, and analyzed by GC/MSD. 140 voltile aroma compounds were detected by thre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Most abundant volatile compounds were acids and phenols and identified aldehydes, hydrocarbons, ketones, furans, furanone, alcohols, esters, nitrogen compounds, sulfur compounds and thiazoles, too. In the analytical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arom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soy sauce sample in all test item. To sum up, Sweet odor was high in Kyupjang. Nutty odor and traditional soy sauce odor were similarly high in Kyupjang and high concentration soy sauce. Kyupjang had high score in overall odor preference than Chungiang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of soy sauce odor characteristics and gas chromatography pattern demonstrated that offensive and sour odor was affected by octadecanoic acid. Contributive compounds to sweet odor were 1,2-benzenedicarboxylic acid and 3,6-dioxa-2,7-disilacotane. Benzoic acid 4-methyl ethyl ester and nonacotane were identified as major compounds of nutty odor. Contribu live variables of traditional soy sauce odor were benzoic acid 4-methyl ethyl ester and 9,12-octadecadienoic acid. The main factors of odor preference were 3-methyl pentanoic acid, acetic acid, 2,6-dimethyl heptadecane and 3,6-dioxa-2,7-disilacotane.

  • PDF

한, 중, 일 고품질녹차의 향기성분 비교 (A Comparison of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in High Grad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reen Tea)

  • 최성희;정대수;제순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3-40
    • /
    • 2005
  • This study compared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in high grad Korea, Chinese and Japanese green tea. The aroma components of green tea were analyzed and compared. Aroma compared. Aroma compounds were extracted by a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using Likens and Nickerson's extraction apparatus. The concentrated aroma extract was analyzed and identified by GC and GC-MS. All the green tea samples contained relatively large amounts of terpene alcohols such as linalool, geraniol and nerolidol. The Korean green tea (A) manufactured in Cheju island contained remarkably large amounts of geraniol (9.12 %) and linalool (5.18 %). The Korean green tea (B) manufactured in Hawgae contained remarkably large amounts of geraniol (5.85 %) and linalool (5.33 %). The Korean green tea (C) manufactured in Bosung contained remarkably large amounts of linalool (7.79 %) and Z-jasmone (3.08 %). The Chinese green tea (D) manufactured in Longjing contained remarkably large amounts of geraniol (3.43 %) and linalool (2.86 %). The Japanese green tea (E) manufactured in Shizuoka contained remarkably large amoung of linalool (3.95 %) and nerolidol (2.76 %).

시료상층부 원판 형태 단일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바닐라 향수의 휘발성 아로마 성분 추출 분석 (Analysis of volatile aroma compounds from vanilla perfume using headspace disk type monolithic material sorptive extraction)

  • 손현화;이동선
    • 분석과학
    • /
    • 제24권6호
    • /
    • pp.421-42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료상층부 원판 형태 흡탈착 추출법(HS-MMSE)을 개발하여 검증하고 바닐라 향수의 휘발성 아로마 성분들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에 적용하였다. HS-MMSE 방법은 실리카에 octadecyl silane (ODS)과 활성탄을 결합하여 만든 단일 다공성 물질(monolithic material, MonoTrap)을 흡착제로 이용한다. MonoTrap은 시료상층부에서 아로마 성분들을 흡착하고 100 ${\mu}L$ 소량의 용매로 추출한다. HS-MMSE를 이용하여 바닐라 향수로부터 12개의 성분들을 성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 benzyl acetate, linalyl acetate, vanillin, ethyl vanillin을 이용하여 추출 효율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들에 대한 실험을 통해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또한, 대상 물질들에 대한 분석 방법의 검증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검출한계, 정량한계는 각각 8.35~13.76 ng, 27.82~45.88 ng 범위였고 $r^2$값이 0.9888 이상인 우수한 직선성과 양호한 회수율 및 재현성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원판 형태 MonoTrap을 이용한 HS-MMSE 방법은 바닐라 향수의 휘발성 아로마 성분들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