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min %24D_3%24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6초

젊은 한국여성에서 붉은고추의 섭취량, 캡사이신 역치, 영양소 섭취량 및 신체계측치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Red Pepper Intake, Capsaicin Threshold, Nutrient Intake,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 Young Korean Women)

  • 김석영;박경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호
    • /
    • pp.76-81
    • /
    • 2005
  • The effects of the amount of red pepper intake per a day on the capsaicin threshold, nutrient intake,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investigated in 100 female students of university. Three 24-hour recalls were performed to estimate usual nutrient and red pepper intake of free-living participants. The solutions containing capsaicin at concentration of 0.05, 0.1, 0.2, 0.3, 0.4, 0.5ppm used for the evaluation of hot-taste detection threshold. Subjects were asked to recognize the burning sensation after tasting l0ml of each test solution in ascending order of capsaicin concentrations. Mean intake of red pepper was 4.6 g/d and the capsaicin threshold was 0.27 ppm. The detection threshold for capsaicin was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pepper intake per a day. Red pepper intake was correlated with energy, protein, lipid, carbohydrate, Iron, vitamin A, vitamin B$_2$ niacin, and vitamin E intakes. However, it was not correlated with intake of calcium, vitamin B$_1$ or vitamin C. The red pepper intak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t mass and waist girth and the capsaicin threshold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pulse. In conclusion, red pepper intake was associated with nutrient intake and capsaicin threshold whereas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t mass and waist girth.

재가 노인들을 위한 노인복지관의 급식 식단 평가 (Evaluation of the Menus of Senior Welfare Centers for Home-bound Elderly)

  • 정은경;박수진;김진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4호
    • /
    • pp.363-373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service menu items offered at senior welfare centers to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senior menu development. A total of 514 lunch menu items were collected from 27 senior welfare centers in April, July, October and January. The most frequently served staple foods, soups, and side dishes were multi-grain rice, seaweed soup, Bulgogi, Kimchi, and liquid yogurt. The proportion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s of total energy serving of senior welfare centers were 59.8%: 16.7%: and 22.8%, respectively. The nutrients served at less than 40% of the Recommended Nutrient Intake (RNI) and Adequate Intake (AI)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were chloride (1.0%), vitamin D (1.3%), biotin (1.7%), magnessium (4.5%), Iodine (7.5%), pantothenic acid (8.0%), vitamin E (12.5%), vitamin $B_6$ (20.0~21.4%), vitamin K (21.1~24.3%), and water (35.7~39.7%). The nutrients served in excess of the daily intake goal and RNI were iron (98.9~127.1%), sodium (104.9%), and copper (1,100.0%).

한우 비육후기 사료에 칼슘 첨가제(석회석) 제거가 성장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letion of Ca Supplement (limestone) on Growth and Beef Quality in Hanwoo Finishing Steers)

  • 이종언;박남건;성필남;진신흠;박범영;김규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455-462
    • /
    • 2003
  • 이 연구는 소 비육후기에 칼슘제(석회석)를 첨가하지 않은 사료의 급여가 성장율, 근내지방도 및 혈청 1,25-dihydroxy vitamin $D_3$ ($1,25(OH)_2D_3$)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거세 한우 24두(20${\sim}$24개월령)를 12두씩 대조구(석회석 2.5% 함유 농후사료)와 칼슘제 무첨가구(석회석 0%)로 배치하여 223일 동안 사료(농후사료 및 오차드그라스 건초)와 물을 무제한 급여하였고, 사양시험이 완료된 후 도축하여 육질을 평가하였다. 혈청 $Ca^{2+}$, Ca 및 P 함량에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으나 (P>0.05), 1,25(OH)2D3 함량은 시험 시작 후 2 또는 6개월째 모두 칼슘제 무첨가구가 대조구보다 (각각 78.3 vs 51.7 또는 80.3 vs 51.1 pg/mL) 높았다 (P<0.01). 칼슘제를 첨가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한 비육우가 대조구보다 농후사료 섭취량은 증가하고 건초 섭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보다 칼슘제 무첨가구에서 높았다(P<0.01). 등심단면적(82.8 vs 77.2 $cm^2$), 근내지방도(5.1 vs 2.2) 및 지방 함량(10.2 vs 6.7%)이 칼슘제 무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았고 (P<0.05), 수분 함량(67.6 vs 70.4%)은 낮았다 (P < 0.05). 등심 육색, pH 및 보수력에서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으나 전단력에서는 칼슘제 무첨가구에서 (2.9 vs 3.2 kg/1.27-cm diameter core) 약간 낮게 (P = 0.08)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칼슘제 무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연도 (4.9 vs 4.5) 및 향미(4.9 vs 4.6)가 약간 개선되었으나 (P<0.05) 다즙성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P>0.05). 본 연구결과는 비육후기에 칼슘제(석회석)를 첨가하지 않은 사료의 급여는 에너지 섭취의 증가 또는 1,25$(OH)_2D_3$의 합성 촉진을 통하여, 근내지방합성이 증가되어 성장율 및 근내지방도를 개선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1, 25(OH)$_2$-23ene-$D_3$ : in vitro에서 U937 세포의 증식과 분화 및 in vivo에서 쥐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 (1, 25(OH)$_2$-23ene-$D_3$ : Effect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U937 Cells in vitro and on Clcium Metabolism of Rat in vivo)

  • 정수자;서명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
    • /
    • 1995
  • 1, 25(OH)2-23ene-D3 is a novel vitamine D3 analog which has a double bond between C-23 and C-24. We describe the effects of this analog on cell differentiation and cell proliferation in vitro using the human histiocytic lymphoma cell line U937, and on calcium metabolism in rats in vivo.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1, 25(OH)2-23ene-D3 was compared to the natural metabolite of vitamin D3, 1$\alpha$, 25-dihydroxycholecalciferol[1, 25(OH)2-23ene-D3 was more potent than 1, 25(OH)2-23ene-D3 for inhibition of proliferation and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of U937 cells. Especially, its effect on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as measured by superoxide production and nonspecific esterase(NSE) activity, was about 20-fold more potent that 1, 25(OH)2-23ene-D3. This analog morphologically and functionally differentiated U937 cells to monocyte-macrophage phenotype showing a decrease of N/C ratio in Giemsa staining and the increase of adherence ability to surfac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1, 25(OH)2-23ene-D3 to rats showed that the compound had at least 50 times less activity than 1, 25(OH)2-23ene-D3 in causing hypercalcemia and hypercalciuria. The strong direct effects of 1, 25(OH)2-23ene-D3 on cell proliferation and cell differentiation, coupled with its decreased activity of calcium metabolism make this compound an interesting candidate for clinical studies including patients with leukemia, as well as several skin disorders, such as psoriasis.

  • PDF

Effect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Hematological and Plasma Biochemical Parameters during Long Term Exposure of Arsenic in Goats

  • Das, Tapan Kumar;Mani, Veena;Kaur, Harjit;Kewalramani, Neelam;Agarwal, Anjal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9호
    • /
    • pp.1262-1268
    • /
    • 2012
  •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supplementation of different level of vitamin E for 12 months to arsenic exposed goats (50 ppm as sodium arsenite) affords protection against the blood hemato-biochemical parameters caused by the metalloid. A total of 24 crossbred (Alpine${\times}$Beetal) lactating goat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4 equal groups (control, $T_1$, $T_2$ and $T_3$) of 6 in each, on the basis of average body weight ($36.10{\pm}0.11$ kg) and milk yield ($1.61{\pm}0.04$ kg/d). The animals in $T_1$, $T_2$ and $T_3$ were given 50 ppm arsenic, while in $T_2$ and $T_3$, additionally; vitamin E at the rate of 100 IU and 150 IU/kg dry matter (DM) respectively was additionally supplemented for the period of 12 months. Hemoglobin (Hb), total leukocyte (TLC) and blood lymphocyte % were decreased (p<0.05) in arsenic fed groups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rotective potential. Significant increases (p<0.05) in aspertate transaminase (AST) and alanine transaminase (ALT) activities among arsenic supplemented groups were recorded, however vitamin E supplementation at higher doses showed a protective effect (p<0.05) against AST but in the case of ALT no ameliorating effect was found in either of the doses. Plasma total protein was decreased (p>0.05) but creatinine level was periodically increased in all As supplemented groups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did not produce any protective effect. It can be concluded that arsenic exposure resulted in varying degree of changes in hemato-biochemical parameters and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goats but concomitant treatment with Vitamin E is partially helpful in reducing the burden of arsenic induced effect.

김치 및 김에서 분리(分離)한 호기성(好氣性) 세균(細菌)의 동정(同定)에 관(關)하여 (Identification of the 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Laver)

  • 김호식;정윤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권
    • /
    • pp.19-24
    • /
    • 1962
  • The results of re-examination for the isolates D-28, D-28a from Kimchi and 88-3 from laver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these isolates were proved to be Gram positive, catalase positive and spore-forming. 2). While these strains were not consistent with Bacillus megaterium group with respect to Voges-Proskauer reaction and methyl red test,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well consistent with this group. 3). These isolates showed the similar suger-fermentability as B. megaterium group with a slight difference. 4). It is proved that, according to the forgoing results and vitamin $B_{12}$ producibility, the isolate 88-3 is identical with B. megaterium NRRL-B 938 and D-28, D-28a, with B. megaterium 425-1 and 425-2, respectively.

  • PDF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치료제의 치료효과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Anti-osteoporotic Agents in Postmenopausal Women)

  • 김희선;손민지;방준석;손의동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8-105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trospectively the efficacy of anti-osteoporotic agents (RAL-Raloxifene 60 mg, ALD-weekly alendronate 70 mg, RSD-weekly risedronate 35 mg, AVD3-weekly alendronate 70 mg/vitamin $D_3$ 2800IU, IBD-quarterly IV ibandronate 3 mg/3 ml, ZLD-yearly IV zoledronate 5 mg/100 ml) in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osteoporosis or osteopenia. Method: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 and compared the lumbar spine BMD percentage changes of each medicine group one year later from the baseline. 209 patients (27, 50, 60, 30, 35, and 7 patients in RAL, ALD, RSD, AVD3, IBD, and ZLD groups, respectively) are within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e study. Results: From baseline to month 12, lumbar spine BMD increased significantly larger with bisphosphonate groups, compared to SERM (p < 0.05). In all bisphosphonate groups, the lumbar spine BMD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baseline. Of the bisphosphonates, the changes from baseline in BMD of IV bisphosphonates were more larger than those of oral bisphosphonates, and yearly, quarterly bisphosphonates yielded significantly greater BMD gains, compared with weekly bisphosphonate groups (p<0.05). In addition, patients receiving 70 mg weekly alendronate+vitamin D3 had greater gains in BMD than alendronate Single preparation (p<0.05). Conclusion: Bisphosphonates yielded significantly greater BMD gains than SERM. Of the bisphosphonates, the changes from baseline in BMD of yearly, quarterly IV bisphosphonates yielded significantly greater BMD gains, compared with weekly oral bisphosphonate groups. In addition, vitamin D3 plays an significant role in BMD gains.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 성인 및 노인의 계절별 영양소 섭취실태 (Seasonal Variation of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in Adults in Longevity Areas)

  • 최정숙;백희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68-678
    • /
    • 2004
  •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469명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1년 간 4계절의 식이섭취 조사를 하여 영양 섭취 상태를 양ㆍ질의 평가와 함께 계절적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조사 대상자의 연평균 1일 열량 섭취량(%RDA)은 1313.3$\pm$334.7 ㎉(72.0%)이며, 단백질은 47.3$\pm$17.0 g(82.2%)으로 남녀간에 권장량 대비 백분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방과 탄수화물, 식이 섬유소는 각각 20.2$\pm$12.8 g, 228.0$\pm$48.3 g, 12.8$\pm$4.5 g을 섭취하였으며, 남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비타민 및 무기질의 섭취량은 대부분 권장량 수준에 못 미쳤으며, 특히 칼슘, 비타민 B$_2$, 비타민 E, 비타민 D의 섭취는 권장량의 약 50%로 섭취율이 매우 낮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비타민 및 무기질의 섭취량이 낮았으며, 계절별로는 대부분의 비타민과 무기질의 섭취율이 봄에 높았는데 예외적으로 비타민 C는 가을과 겨울에 섭취율이 높았다.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은 남녀 각각 151.7$\pm$162.0 mg, 124.3$\pm$147.7 mg 이었으며 PUFA : MUFA : SFA의 비율은 1.0 : 1.3 : 1.2이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구성비율(CPF)은 72.7 : 14.4 : 12.9로, 성별에 따라서 탄수화물 에너지 구성비는 여자가 높았으며, 단백질 에너지 구성비는 남자가 높았다. 계절에 따라서는 남녀 모두 봄에 탄수화물 에너지 구성비율이 낮은 반면 단백질 에너지의 구성비율은 높았다. 대부분의 영양소 적정도는 0.8∼0.6의 범위였으나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E의 경우 0.5내외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라서 단백질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적정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평균 적정도는 0.66으로 다른 계절에 비해 남자는 봄에 높았고, 여자는 봄과 여름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영양의 질적 지수(INQ)는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E에서 1을 하회하였으며, 단백질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질적 지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계절에 따른 질적 지수는 남녀 모두 비타민 A와 나이아신은 봄에 높은 반면 비타민 C는 가을과 겨울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의 주민들은 전체적인 영양소 섭취 상태는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권장량에 미달하여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나, 질적인 영양섭취 평가 즉 영양소 적정도 및 평균 적정도, 영양의 질적 지수는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E를 제외하고 적절한 상태를 보였다. 또한 남녀를 비교할 때 여성이 남성보다 양적 질적 영양소 섭취 평가에서 낮은 상태를 보였다. 계절적으로는 다른 계절에 비해 봄에 영양소 섭취 상태가 좋았고 겨울에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지역 주민들은 계절에 따라 영양소 섭취에 대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의 증가와 함께 질적으로 부족한 영양소의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농촌의 특성을 고려하여 계절 식품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식품의 선택과 조리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영양교육은 상대적으로 영양상태가 취약한 여성에게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하겠다. 그리고 앞으로 미량영양소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 더 많은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보완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방사면역 측정법에 의한 25-OH-VitD와 25-OH-VitD3의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25-OH-VitD and 25-OH-VitD3 by Radioimmunoassay)

  • 이영지;박지혜;임수연;천준홍;이선호
    • 핵의학기술
    • /
    • 제24권1호
    • /
    • pp.33-38
    • /
    • 2020
  • 비타민D는 체내에서 칼슘 대사를 조절하여 뼈의 건강을 유지하며, 세포의 증식 및 분화의 조절, 면역 기능 등에 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족 시 구루병,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지고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일부 암 등의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한국은 비타민D 부족의 인구 비율이 매우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 따라서 비타민D 부족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혈중 25-OH-VitD 또는 25-OH-VitD3의 정확한 측정이 요구된다. 이에 본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25-OH-VitD와 25-OH-VitD3검사를 비교 평가하여 비타민D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고자 한다. 25-OH-VitD와 25-OH-VitD3의 결과를 전향적으로 측정하여 상관성, 재현성, 모집단 분포율을 구하였다. 또한 2017년 4월에서 2019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혈액검사실에서 측정한 내부정도관리와 대한핵의학기술학회에서 주관하는 2018년 상반기, 하반기 외부정도관리(기관간 숙련도 평가)에 참여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97개의 검체를 대상으로 25-OH-VitD는 25-OH-VitD3 × 0.9 + 0.3 (R >0.9)로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복 측정을 통한 재현성 평가 결과 평균 diff(%) 값은 7.7%, 7.4%로 모두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집단 분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017년 4월에서 2019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핵의학 혈액검사실에서 측정한 내부정도관리 결과값은 평균(CV%) 6.2%, 6.8%을 나타내었다. 2018년 상반기 외부정도관리(기관간 숙련도 평가) 수행도 평가 결과 Z 값이 25-OH-VitD는 저, 중, 고농도에 대해 -1.10, -1.00, -0.90이며 25-OH-VitD3는 0.22, 0.47, 1.10이고 하반기 수행도 평가 결과는 각각 -0.80, -0.30, -0.10과 -0.01, 1.50, 1.30으로 모두 Z ≤ 2.0의 적합한 결과를 얻었다. 방사면역 측정법에 의한 25-OH-VitD와 25-OH-VitD3 검사의 비교 평가 결과 상관성, 재현성, 모집단 분포율, 내부정도관리, 외부정도관리(기관간 숙련도 평가) 모두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따라서 혈액 내 25-OH-VitD 또는 25-OH-VitD3로 단독 측정이 가능한 방사면역 측정법은 비타민D 부족에 대한 스크리닝 검사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 온도 및 상대습도가 비타민 정제 중 수용성 비타민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Water Soluble Vitamin Contents in Commercial Vitamin Tablet)

  • 이재황;김세곤;이동언;박석준;이진희;이강표;김동섭;최성원;백무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28-1034
    • /
    • 2005
  • 시판 비타민 정제 중의 수용성 비타민의 저장 습도 및 온도에 따른 저장안정성을 연구한 결과 개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장온도에 상관없이 상당히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판 비타민 정제 중의 vitamin $B_2$$B_3$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용성 비타민 개봉을 한 상태에서는 습도에 매우 민감하여 그 손실 속도가 매우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 볼 때 tablet형태의 복합 비타민제의 경우 저장 온도보다는 저장 습도에 유의를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포장 재질 및 방법 등에 대한 사전 검토가 충실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소비자들에게도 개봉 후 수분에 일정시간 노출이 된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변화 또는 분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개봉 후에도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서 저장을 해야 된다는 사실을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봉 후 제품은 뚜껑과 실리카 겔이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수행한 실험이므로 실제적으로 가정에서 뚜껑과 실리카 겔이 존재한 상태에서의 저장 결과와는 같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