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min $B_6$ content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1초

곰보버섯의 성분에 관한 연구 (On the Composition of Morchella esculenta Fruit Body)

  • 차월석;이희덕;김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2-90
    • /
    • 2004
  • 곰보버섯을 약용과 식용으로 이용하고자 일반성분, 무기질, 총아미노산, 유리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분석 검토한 결과 조지방이 3.8 g%, 탄수화물이 43.5 g%, 조단백질이 29.7 g%이었다. 무기물은 K가 3558.0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있고, Ca, Mg, Fe, Na, Zn의 순으로 함유되었다. 총 아미노산은 glutamic arid가 1,433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있고, leucine, alanine, arginine, valine, threonine등의 순으로 23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필수아미노산은 3510mgmg% 함유되어 있다.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522 $\mu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asparaginine, arginine등의 순이며, 총 함유량은 2,397 $\mug%$이고, 25종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곰보버섯의 맛에 영향을 미치리아 생각되어 진다. 비타민의 경우 vitamin A가 2.23$\mug%$, vitamin $B_1$은 0.13 mg%, vitamin $B_2$는 0.07 mg%, vitamin $B_6$는 0.27 mg%, vitamin C는 0.17 mg%, vitamin $D_311$는 52.27$\mug%$, vitamin E는 5.26 mg%, vitamin$K_1$, 은 3.23 $\mug%$정도 함유하고 있었다. 특히 vitamin C와 vitamin E가 함유되어 있어 노화방지에 좋으리라 생각된다.

표고버섯을 이용한 조미료의 주요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Seasoning Using Lentinus edodes.)

  • 차월석;이명렬;조배식;박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29-833
    • /
    • 2004
  • 표고버섯(IfHDHHS efodes)조미료 중의 조성물질의 성분을 규명하고자 무기질, 구성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무기질은 Na가 5.04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K, Ca, p, Mg, fe, Zn, Mn, Cu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총 19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고 인체에 필수한 9종의 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하고 있었으며, glutamic acid가 4.62%로 가장 많았었고 그 다음으로 glysine, leucine, alanine, aspartic acid, lysine, valine, proline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필수아미노산의 총함량은 41.78%였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은 20종으로 분석되었으며 glycine, glutamic acid, asparamine, proline, taurine과 aspartic acid, arginine, leucine, threonine과 serine phenylalanine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총 함유량은 71.9 mg%이었으며 인체 필수아미노산의 총 함유량은 12.80%이었다. 비타민의 경우 괴혈병의 치료제로 많이 알려져 있는 vitamin C가 224.78 mg%로 가장 많고 판토텐산은 159.09 mg%, vitamin B6 15.08 mg%, 나이아신 3.19 mg%, vitamin E 1.51 mg%, 엽산 1.14 mg%, vitamin B$_{l}$ 1.10 mg%, vitamin B$_{2}$ 0.44 mg%, vitamin D$_{3}$ 0.28 mg%, vitamin A 0.15 mg%, vitamin B$_{12}$ 0.04 mg%, vitamin $K_{l}$ 이 0.02 mg%으로 비타민의 총 함유량은 506.82mg%이었다.다.

전라북도 향토음식의 조리법 표준화 및 영양성분 분석(제 2 보) - 추어탕, 다슬기탕, 민물고기매운탕, 어죽, 백합죽-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Local Foods of Cheollabuk-do Province(The Second Report))

  • 주종재;신미경;권경순;윤계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0-258
    • /
    • 2001
  • Five representative local foods of Cheollabuk-do Province such as chuotang, ochuk, baekhapchuk, dasulgitang and minmulgokimaeuntang were subjected to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To derive a standard recipe, first a test recipe was prepared with the consideration of information obtained from literature survey, personal interview and survey of restaurant recipe. This test recipe was modified three times after sensory evaluation. Then the modified test recipe was accepted as the standard recipe when all characteristics of food was assessed over 5 points and the percentage of judges who gave a score over five exceeded 70% in seven-point hedonic scale. Actually, all characteristics of each food were judged as "satisfactory". Nutrient analysis was performed in food cooked according to the decided standard recipe. In general, it appeared that energy content was rather low. However protein contents in chuotang, ochuk and minmulgokimaeuntang were higher than the recommended value per meal. Vitamin A, vitamin C, vitamin B$_1$, vitamin B, niacin, calcium, phosphorus and iron were rich in chwotang and minmulgokimaeuntag. Onhuk contains plenty of vitamin C, vitamin B$_1$, vitamin B$_2$and the contents of vitamin A, vitamin B$_1$, and niacin in baekhapapchuk were over the recommended values per meal. The foods contained large percentage of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and major essential amino acids appeared to be leucine and lysine. On the other hand, major fatty acids were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plamitic acid. Among them the content of oleic acid was the highest in chuotang, ochuk and baekhapchuk, whereas linole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the most rich fatty acids in baekhapchuk and dasulgitang respectively.

  • PDF

Analysis of Vitamin $B_{12}$ in the Korean Representative Foods and Dietary Intake Assessment for Koreans

  • Choi, Youn-Ju;Kim, Ji-Yung;Lee, Haeng-Shin;Kim, Cho-Il;Hwang, In-Kyeong;Park, Hye-Kyung;Kim, Tae-Hwa;Oh, Chang-H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62-266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vitamin $B_{12}$ database for the representative Korean food items and to assess the dietary intake assessment of vitamin $B_{12}$ for Koreans. The vitamin $B_{12}$ content of 106 foods had been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using column switching method. Rich sources of vitamin $B_{12}$ were meats, milk, and egg ($0.3-3.4\;{\mu}g/100g$). Vegetables and fruits contained vitamin $B_{12}$ below limit of detection (LOD). The major food sources for vitamin $B_{12}$ intake were milk (72.0%), meats (22.3%), egg (3.6%), and fishes & shellfishes (2.1%). Mean vitamin $B_{12}$ intake of Koreans was $3.16\;{\mu}g$/person/day. The proportion of population with intake below estimate average requirement (EAR) and above recommended intake (RI) of vitamin $B_{12}$ was 60.7 and 36.5%, respectively. The vitamin $B_{12}$ intake level of young children with 1-2 years which was 834.6% of RI while the intake level of the older adults 50 years and older was only 70.0% of RI. Also,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The population with intake below RI was larger than that with intake above RI in Korea.

자외선 B파 조사와 열풍건조가 표고버섯의 비타민 D$_2$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V-B Irradiation and Hot-Air Drying on the Vitamin D$_2$Content of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 이진실;김선주;안령미;최희숙;최희령;윤석권;홍완수;김명애;황혜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3-178
    • /
    • 2002
  • 본 연구는 표고버섯의 비타민 D$_2$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고버섯의 자실체 안쪽에 자외선 B파를 0, 2.5, 5.0, 7.5, 10.0 J/$\textrm{cm}^2$ 조사하여 버섯내 비타민 D$_2$함량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열풍건조시 자외선 B파 조사 시기를 달리하여 천일건조 버섯과 열풍건조 버섯의 비타민 D$_2$함량의 변화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외선 B파 조사 부위(자실체 안쪽과 바깥쪽)에 따른 표고버섯내 비타민 D$_2$함량은 각각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즉 버섯 자실체의 안쪽에 자외선 B파를 조사하였을 때 비타민 D$_2$함량이 더욱 증가하였다. 2. 0, 2.5, 5, 7.5, 10.0 J/$\textrm{cm}^2$의 자외선 B파 조사로 비타민 D$_2$함량은 각각 21.51, 120.78, 144.38, 168.08, 187.69$\mu\textrm{g}$/g로 측정되었다. 즉 자외선 조사량에 의해 비타민 D$_2$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3. 열풍건조시간에 따라 버섯내 비타민 D$_2$함량이 변화되어 열풍건조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타민 D$_2$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4. 자외선 B파 조사 & 열풍건조 복합군은 천일건조군과 열풍건조군 버섯에 비해 유의적으로 비타민 D$_2$함량이 증가하였다.

자외선 처리한 목이버섯 분말 첨가량에 따른 쿠키의 품질 특성 (Analysis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based on the Addition Rate of Ear Mushroom (Auricularia auricula-judae Quel.) Powder by Ultraviolet B Treatment)

  • 신소희;최소라;송영은;한현아;이송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72-680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ffectively supplement vitamin D and increase the consumption of ear mushroom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ear mushroom supplemented with vitamin D. Cookies were made of 0%, 1%, 3%, and 5% ear mushroom powder treated by ultraviolet B. Increased addition of ear mushroom powder led to a decrease in the bulk density of the dough as well as a spread factor, color value, and hardness of the cook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ss rate, but the water content of the dough and cookies was increa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cookies added with 1~5% ear mushroom powd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0%.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okies added with 5% ear mushroom powder (23.8%) was 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0% (10.9%). The vitamin D2 content of cookies added with 5% ear mushroom powder (835.5 ㎍/100 g D.W.) was 4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0% (19.0 ㎍/100 g D.W.). Consequently, ear mushroom powder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cookies because of high valu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vitamin D2 content.

동결건조 목이버섯의 자외선(UVB) 처리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 및 유효성분 함량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Available Components of Freeze-dried Ear Mushroom by UVB (Ultraviolet B) Treatment Conditions)

  • 최소라;신소희;송영은;한현아;이송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6
    • /
    • 202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ptimal UVB (ultraviolet B) treatment conditions for vitamin D2 enhancement of freeze-dried ear mushroom, sample size (below 300 ㎛~whole), UV treatment temperature (30~60℃), treatment density (6.25~50.0 mg/cm2) and the samples mixing frequency (1~32 times) were treated differently. After that, chromaticity, vitamin D2 and ergosterol (vitamin D2 precursor) content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ng, effective UVB treatment conditions for vitamin D2 enhancement are as follows. The sample sizes were 2~4 mm and finely crushed pieces. The treatment temperatures were 50℃ and 60℃. The treatment density was 12.5 to 25.0 mg/cm2, and the number of sample mixing was 8 times or more. As the amount of vitamin D2 increased by UVB treatment, the ergosterol content generally tended to decrease. However, under some UVB treatment conditions, the vitamin D2 content was not high despite the decrease of ergosterol content. Under the conditions set in this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obtain ear mushrooms with enhanced vitamin D2 up to 26,968.7 ㎍/100 g.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ear mushroom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 vitamin D source and nutritionally fortified food ingredient.

Analytical Determination of Vitamin B12 Content in Infant and Toddler Milk Formulas by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 Lee, Jung-Hoon;Shin, Jin-Ho;Park, Jung-Min;Kim, Ha-Jung;Ahn, Jang-Hyuk;Kwak, Byung-Man;Kim, Jin-M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65-771
    • /
    • 2015
  • The development of a sample preparation method and optimization of the analytical instrumentation conditions were perform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vitamin B12 content in emulsified baby foods sold on the Korea market. After removal of the milk protein and fats by chloroform extraction and centrifugation, the vitamin B12 was water extracted from the sample. Following filtration of the solution through a nylon filter, the water-soluble extract was purified by solid-phase extraction using a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he solution eluted from the cartridge was dried under a stream of nitrogen gas and reconstituted with 1 mL of water. The sample solution was injected into an LC-MS/MS system after optimizing the mobile phase for vitamin B12 detection. The calibration curve showed good linearity with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value of 0.9999. The limit of detection was 0.03 µg/L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was 0.1 µg/L. The method of detection limit was 0.02 µg/kg. The vitamin B12 recovery from a spiking test was 99.62% for infant formula and 99.46% for cereal-based baby food. The sample preparation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the vitamin B12 content in infant formula and baby foods with emulsified milk characteristics. The ability to obtain stable results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would also allow governments to exercise a more extensive quality control inspection and monitoring of products expected to contain vitamin B12. This method could be implemented in laboratories that require time and labor saving.

한국인 상용 수산물 식단의 비타민 B9과 B12 함량 (Contents of vitamin B9 (folate) and B12 (cobalamins) in commonly consumed seafood menus in Korea)

  • 박은영;정보미;천지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2호
    • /
    • pp.211-223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인이 주로 상용하는 수산물을 이용한 다소비 메뉴 39종을 선정하고, 이를 기준 레시피로 조리한 후 이들에 대한 비타민 B9 (엽산)과 B12 (코발라민류) 함량을 분석하였다.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비타민 B9(trienzyme-L. casei법)과 B12 (immunoaffinity-HPLC/PDA)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으며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였다. 각 성분 분석법의 정확성, 정밀성, 특이성, 상관성, 검출한계 및 정량 한계를 분석한결과 모두 AOAC 가이드라인 수용 기준에 충족되는 결과를 얻었으며, 분석품질관리도표를 전 분석 기간 동안 작성하여 확보된 분석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상용 수산물 메뉴의 비타민 B9과 B12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각 1.83-523.08 ㎍/100 g과 0.11-38.30 ㎍/100 g의 범위로 사용된 재료와 조리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비타민 B9 함량은 구이류의 김구이 (523.08 ㎍/100 g)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볶음류에서 건새우볶음 (128.34 ㎍/100 g)과 잔멸치볶음 (121.53 ㎍/100 g)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타민 B12함량은 찜·조림류의 꼬막찜 (38.30 ㎍/100 g)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구이류의 김구이 (29.79 ㎍/100 g)와 볶음류의 멸치마늘종볶음 (18.99 ㎍/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사 재료의 조리법에 따른 비타민 B9과 B12 함량을 비교하면 비타민 B9의 경우 물 사용량이 많은 국·탕·찌개류는 다른 시료군 (볶음, 찜, 조림, 구이, 튀김 및 무침)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수산물과 다양한 채소류를 함께 볶는 볶음 메뉴가 비타민 B9 섭취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비타민 B12의 경우 식물성 식품에는 발견되지 않고 주로 동물성 식품에만 존재하는데 본 연구 결과 김 및 미역과 같은 해조류 메뉴는 채식주의자들에게 비타민 B12의 좋은 급원메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분석법 검증 및 품질관리를 통하여 분석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이와 함께 제공된 한국 상용수산물 메뉴의 비타민 B9과 B12 함량데이터는 한국인의 보건영양 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용도가 다른 보리와 밀 3품종의 영양성분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and Wheat Varieties)

  • 최정숙;연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23-229
    • /
    • 2005
  • 보리와 밀의 품종에 따른 영양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보리 3품종(진미찹쌀보리, 서둔찰보리, 두산8호)과 밀 3품종(알찬밀, 탄동밀, 올그루밀)의 영양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보리의 경우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성분은 단백질과 지방(각각 p<0.001), 섬유소(p<0.05)였으며, 단백질은 진미찹쌀보리가 다른 두 품종에 비해 낮았고, 지방함량은 서둔찰보리가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진미찹쌀보리, 두산8호 순으로 나타났다. 밀은 지방(p<0.001) 함량이 차이를 보였는데, 탑동밀이 1.27 %으로 다른 두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보리와 밀의 모든 품종에서 칼륨>인>마그네슘>칼슘>나트륨>철>아연 순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의 경우 칼슘 함량은 진미찹쌀보리가 31 mg%로 다른 두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01), 아연 함량은 두산8호가 1.4 mg%로 가장 높았으며 철 함량은 진미찹쌀보리와 서둔찰보리에서 모두2.9 mg%으로 두산8호에 비해 많았다. 밀의 칼슘 함량은 알찬밀과 올그루밀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인은 을그루밀이 270 mg%로 가장 많았다. 철은 탑동밀에서 5.6 mg%으로 마그네슘은 올그루밀에서 127 mg%로 다른 두 품종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무기질은 칼슘(p<0.001), 인(p<0.001), 철(p<0.01)과 마그네슘(p<0.01)이었다. 보리의 비타민 B$_1$ 함량은 진미찹쌀보리와 서둔찰보리에, 비타민 B$_2$는 서둔찰보리에 유의적으로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1) niacin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밀의 비타민 B$_1$ 함량은 알찬밀이, 비타민 B$_2$는 올그루밀이 가장 많았다. Niacin함량은 탑동밀이 2.81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알찬밀, 올그루밀 순이었다. 지방산 조성은 보리와 밀에서 Cl8:2>Cl6:0>Cl8:1 순으로 보리는 전체의 90%, 밀은 92%를 차지하였다.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보리가 11∼13%, 밀이 21∼27%이며, 다중불포화지방산은 보리가 57∼59%, 밀은 36∼50%로 보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UFA/SFA 비율은 보리의 경우 2.1로 품종별로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밀은 1.0∼1.9 범위로 품종별로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보리와 밀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를 가장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리 품종별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살펴보면 Lysine, valine, tryptophan 함량은 두산8호에서, phenylalanine 함량은 서둔찰보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밀 품종별 Iysine, isoleucine 함량은 탑동밀에서 다소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