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acuity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31초

대비감도함수와 변조전달함수를 이용한 시기능 예측 (Prediction of visual performance using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and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 김상기;박성찬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61-468
    • /
    • 2004
  • 본 논문에서 연구된 정밀모형안은 정시안에서 1.2 시력의 적정한 수차를 가진 모형안임을 확인하였다. 망막의 특성을 생략한 안광학계에 광전달함수를 사용하여 망막에서의 광세기 분포를 조사하여 자각식으로 측정한 임상자료와 비교하였다. 망막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안구의 수차, 회절, 망막 대비감도, Stiles-Crawford 효과, 동공크기를 포함한 대비감도함수를 계산하였다. 모형안에 동공직경 1 mm와 8 mm의 범위에서 정시안과 비정시안에 대해 대비감도함수와 변조전달함수를 비교하여 시력을 예측하였다.

광주지역 남자 고등학생들의 예비검사에 대한 고찰 (Discussion on Preliminary Test for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 유근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95-99
    • /
    • 2007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시기능의 정확한 정보를 알아보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남자 고등학생 619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시행하였다. 예비검사 항목은 문진, 원거리 나안시력 검사, 나안 핀홀시력 검사, 색각시 검사, 입체시 검사, 차폐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눈과 관련된 불편사항은 흐릿한 시력(28.4%)이 가장 많았으며, 조사대상자의 90%이상이 한 가지 이상, 그 중 50% 이상이 두 가지 이상의 불편사항을 호소하였다. 나안시력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76.1%가 0.7 이하의 시력을 나타냈다. 핀홀 시력검사는 나안 핀홀시력이 증진된 경우가 98%로 대부분 증진되었으며, 나안 핀홀시력이 변화가 없거나 저하된 경우는 2%로 조사되었다. 입체시가 정상인 학생은 85.6%, 정상범위 이하는 14.4%로 조사되었다. 색각시 검사는 적-녹 색각이상자의 경우 7.9%로 조사되었으며, 청-황색약과 전색맹은 한명도 없었다. 차폐검사는 조사대상자 중 정위 30.2%, 내사위 8.2%, 외사위 61.5%로 조사되었으며, 사시는 한명도 없었다.

  • PDF

미취학 아동의 시력검진 실태와 시력저하 관련요인 (State of Visual Acuity Test and Factors Related to Vision Deterioration of Preschoolers)

  • 이성화;이해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32-142
    • /
    • 2016
  • 미취학아동의 시력검진실태와 시력저하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2015년 8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다니는 5세~7세의 아동 172명과 그 부모 중 1인 172명을 대상으로, 보호자에게는 설문조사를, 아동에게는 시력측정을 실시하였다. 시력검진 실태는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 서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시력저하 관련요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전체 아동 172명 중 128명 (74.4%)이 시력검진 경험이 있었으며, 77명(44.8%)이 시력저하로 나타났다. 7세 이후에 시력검진을 처음 수행한 경우(OR=7.43, CI=2.84-19.39), 눈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OR=3.08, CI=1.20-7.91), 아동연령이 어릴수록(OR=10.34, CI=3.25-32.85) 시력저하 경향이 높았고, 단말기를 주로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보는 아동인 경우(OR=.08, CI=.02-.26), 시력저하 경향이 낮았다. 미취학아동의 시력저하에는 유전적인 요소도 중요하지만, 눈 이상 증상, 눈검사 시기, 단말기 사용방법, 아동의 연령과 관련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아동 양육기관과 보호자, 검진기관을 대상으로 아동의 눈 이상증상과 단말기 사용방법, 눈검사 시기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시력저하예방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이 필요하다.

당뇨망막증 환자의 백내장 수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Cataract Surgery in Diabetic Retinopathy)

  • 박영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153-159
    • /
    • 1994
  • 당뇨병을 가진 백내장 환자에 있어서 수정체낭외적출술 및 후방인공수정체삽입술후 당뇨망막증의 경과변화, 시력의 예후, 시력의 예후 및 망막증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인자들에 대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백내장수술을 한 눈의 경우 전체 24안중 11안(46%)에서 망막증이 진행하였으며 수술을 하지 않은 눈의 경우 망막증의 진행을 보인 경우는 4안(17%)이였다. 2. 백내장수술후 시력이 향상되었던 경우는 24안 중 22안(92%)이였으나 이중 0.5이하가 12안, 0.1이하가 3안이였다. 3. 술후 망막증의 진행이 있었던 경우 여자는 11안 중 7안, 남자는 13안 중 4안이였으며 경구 혈당강하제를 사용하는 환자가 인슐린 투여군보다 망막증의 진행이 더욱 많았다. 4. 본 연구의 결과 백내장수술은 당뇨망막증의 진행을 더욱 촉진시키며 경구혈당강하제의 사용, 그리고 여자환자에서 망막증의 진행이 더욱 빈번히 나타났으며 이는 시력의 예후를 나쁘게 하는 인자로 작용하였다.

  • PDF

Nystagmus를 이용한 객관적 시기능 검사에 관한 연구 (Objective Visual Acuity Test Using Nystagmus)

  • 이인범;김민섭;박광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103-105
    • /
    • 2000
  • Optokinetic nystagmus(OKN) testing is an useful tool for assessment of human visual function. Specially, this method has been used for assessing visual function in infants and malingering patients. OKN drum and OKN tape are the common devices currently used for clinical cases. In this paper, we present newly the automated and computerized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of visual acuity in OKN testing.

  • PDF

백내장수술환자 결과 변수들의 시계열적 관찰과 진료결과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Time Series Observations of Outcome Variable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mprovement in the Patient Outcomes of Cataract Surgery)

  • 김한중;박은철;최윤정;강형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2호
    • /
    • pp.175-181
    • /
    • 2001
  • Objectives : To compare the multiple outcomes of patients with cataract surgery at perioperative time,3-4 months and 12 months after surgery and to assess patient outcomes associated with visual improvement(visual acuity of operated eye, visual function-14(VF-14), symptom score). Methods : For this assessment,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389 patients who had undergone cataract surgery for either one eye or both eyes. The surgery was peformed by 20 ophthalmologists who were practicing at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Patients were interviewed and clinical data were obtained. Doctors were question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 forms. Medical records were examined in order to measure variables related to the surgical process such as surgical methods and ocular comorbidity. The survey was 'conducted at 4 stages' : preoperative time(389 cases), perioperative time(344 cases, 88.4%), postoperative 3-4 months (343 cases, 88.2%), and postoperative 12 months (281 cases, 72.2%). After excluding cases with incomplete data, 198 cases were enrolled in the study. Patient outcomes was measured for any improvement in the functional outcomes(visual acuity of operated eye, visual function, symptom score) at postoperative 3-4 months. Results : The visual acuity(operated, weighted average), symptom score, VF-14 score, satisfaction with vis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hown to be improved at the perioperative time, postoperative 3-4 months and 12 mouths. An improvement in the Snellen visual acuity score was observed in 190 patients(96.0%), whereas improvements of the VF-14 score and cataract symptom sure were observed in 151 patients(76.3%) and 179 patients(90.4%), respectively. All three outcome measures demonstrated improvement in 137 patients(09.2%). The improvement of the three functional outcomes at 3-4 months after receiving surgery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visual function and a higher level of cataract symptom score at perioperative time, as well as a greater experience level of the surgeon. Conclusions : In this study, the estimates of the proportion of patients benefiting from cataract surgery varied with the outcome measure of benefit. Preoperative VF-14 score, a measure of functional impairment related to vision, and symptom score may be better measures of the benefit derived from cataract surgery than the change in visual acuity.

  • PDF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이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mittance of Diffusive Blur on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 양석준;최은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5-362
    • /
    • 2015
  • 목적: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이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평균연령 $22.83{\pm}0.50$세의 대학생 30명(남 13명, 여 17명)을 대상으로 Optec$^{(R)}$ 6500으로 시력과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확산적 흐림의 도구로 백내장 시뮬레이터용 확산필름을 사용하였고, 백내장의 진행 정도나 안개의 농도가 반영될 수 있도록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결과: 시력과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은 비례식 $VA(T)=1.84{\times}10^{-2}T-0.65$으로 맞춤되었다. 대비감도는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감소하였는데, 고공간주파수 대역에서의 대비감도가 더 큰 영향을 받아 정상범위를 먼저 벗어났고 대비감도의 정점은 저공간주파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대비감도함수들의 교차점으로부터 대비감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 및 정점공간주파수의 이동을 산출한 결과, 투과율이 약 78.70%이 되면 대비감도의 정점이 6 cpd에서 3 cpd로 이동하는 것으로, 그리고 약 69.71%이 되면 모든 공간주파수에서의 대비감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의 감소는 시력의 저하와 더불어 대비감도의 감소, 정상범위의 이탈 및 정점대비감도 이동 등을 유발시켜 시각적 불편함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백내장이나 안개 운전 시에는 더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유치원 어린이 나안시력과 굴절이상 측정 (A test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to Kindergarten's Children)

  • 강인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7-92
    • /
    • 1998
  • 만 3세에서 5세사이의 유치원 어린이 376명을 대상으로 나안시력측정을 한 결과 3세의 평균 시력을 0.82, 4세의 평균 시력은 0.90, 5세의 평균 시력은 0.92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시력도 발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554명의 유치원 어린이를 대상으로 조절 마비제를 점안하지 않은 상태에서 굴절이상을 타각적으로 측정한 결과 원시안이 1%, 원시성 난시가 14%, 근시가 3%, 근시성 난시가 50%, 혼합난시가 18%, 정시가 14%로 나타났다. 근시의 등가구면도수는 -0.25D미만 25%, -1.00D미만은 51%, -1.00D~-2.00D미만은 20%, -2.00D~-300D미만은 3%로 나타났다. 원시의 등가구면도수는 +0.25D미만은 25%, +0.25D~+1.00D미만은 61%, +1.00D~+2.00D미만은 18%, +3.00D~+4.00D미만은 1%, +4.00~+5.00D미만은 1%로 나타났다.

  • PDF

Fusiform Intracanalicular Ophthalmic Artery Aneurysm;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Choi, Byung-Kwan;Lee, Tae-Hong;Choi, Chang-Hwa;Lee, Sang-We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4권1호
    • /
    • pp.43-46
    • /
    • 2008
  • A 35-year-old man's vision had progressively deteriorated over a 3-month period. His left visual acuity was 5/20. Enhanced orbital computed tomographic (CT) scans revealed a fusiform dilatation of the ophthalmic artery in the left optic canal. Cerebral Angiography revealed a fusiform aneurysm on the left ophthalmic artery in the optic canal, measuring $6.2{\times}4.6\;mm$ in size. Four days after admission, visual acuity dropped to hand-motion. Endovascular treatment was chosen and a microcatheter was guided into the proximal segment of the ophthalmic artery. Using 4 detachable coils, parent artery occlusion was done. Three months after the intervention, the visual acuity in his left eye improved to 20/20. Dramatic recovery of visual acuity is exceptional with an ophthalmic artery trunk aneurysm. When an occlusion of the proximal ophthalmic artery is the only treatment option in such a situation, the endovascular occlusion of the proximal ophthalmic artery is quite feasible in the sense that it does not require any optic nerve manipulation.

당뇨망막병증으로 유발된 유리체출혈(暴盲)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n one Patient with Vitreous Hemorrhage Caused by Diabetic Retinopathy)

  • 정재호;권강;서형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2-119
    • /
    • 2004
  • Objective: To carry out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a patient with vitreous hemorrhage in the left eye caused by diabetic retinopathy and record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Methods: 1. Diagnosis: Fundus photography, Colored paper, Dr. Hahn's standard test chart for 5M, Blood sugar measurement. 2. Treatment: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Indirect moxibustion, Western medicines, Oryoungsan(Crude drug preparations) Results: Oriental treatment using Ohaeng-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Indirect moxibustion resulted in the Unaided visual acuity of 0.1 while it used to be the left eye visual acuity with only light sense I month ago. Looking from Fundus photography result, progress was achieved and diabetic retinopathy was found to be in progress in fluorescein fundus angiography to right eye also by revisiting the patient after treatment. Conclusions: 1. Vitrectomy has many advantages but there are instances where patients do not recover their visual acuity due to compli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e the effect oriental medical treatment through more cases in future. 2 For diabetic retinopathy patients, diabetes must be treated together with visual acu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