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or

검색결과 692건 처리시간 0.045초

박물관의 전시소통매체가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ubje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hibition Communication Media on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 김형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1-333
    • /
    • 2015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media on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by setting up 5 sorts of exhibition media as text, docent, virtual museum, website and Smartphone App based on practic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a visitor and an exhibition provid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se 5 sorts of media suggested by this study were found to be able to have an influence on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preferentially affecting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were 'Docent' and 'Website' factors.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it's necessary to more preferentially consider 'Docent' and 'Website' factors than the other factors in order to increase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Third, it'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bigger a visitor's satisfaction, the higher a visitor's intention to re-visit through the verification that a visitor's satisfaction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 visitor's re-visi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this study attempted at an integrated approach by analyzing the relative size of the influence through across-the-board suggestion of influential factors on a museum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The Effects of Self-development, Self-therapy, and Self-presentation Motivations on Quality of Life, Visitor Loyalty, and Omnivorous Cultural Engagement through Visitor Satisfaction in Art Museums: Examining the Moderation Effect of Age and Attitude toward SNS Posting

  • Minyeong Yi;Suna La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126-147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fulfillment of self-motivation including self-development, self-therapy, and self-presentation on the outcomes such as subjective quality of life, omnivorous cultural engagement, and visitor loyalty via visitor satisfaction in art museums. The analyses on 285 valid survey responses demonstrated that fulfillment of self-development and self-therapy needs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visitor satisfaction. The effect of fulfilling self-presentation need on visito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attitude toward SNS posting, while the age factor, based on generations, did not show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It was also found that visitor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s visitor loyalty, including intentions of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creased satisfaction also enhances subjective QOL and omnivorous cultural engagement among art museum visitors, implying promising collaboration among cultural arts institutions. The findings hav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visitor experiences and promoting diverse cultural engagement.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시나리오 생성기의 구조 확장을 위한 Visitor 패턴과 Composite 패턴의 병합 기법 (Integration Method of Composite Pattern and Visitor Pattern for Expanding the Structure of Scenario Generator)

  • 엄재학;곽정훈;성연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91-592
    • /
    • 2014
  • Visitor 패턴은 구조 문제로 새로운 ConcreteElement 클래스가 추가될 때 Visitor 클래스 및 ConcreteVisitor 클래스를 수정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Visitor 패턴을 적용한 시나리오 생성기가 유연한 구조를 가지기 위해서 Visitor 패턴과 Composite 패턴을 병합하여 적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래서 시나리오 생성기에 ConcreteElement 클래스를 추가할 때마다 ConcreteVisitor 클래스의 멤버 함수를 유연하게 추가 및 삭제를 할 수 있는 클래스 구조를 제공한다.

국립공원 탐방예약제 시행에 대한 탐방객 의식 조사 - 설악산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A Survey on the Visitor's Cognition of Visitor Reservation System in National Park - The Case Study of Soraksan National Park -)

  • 이주수;조중현;김용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2-100
    • /
    • 2003
  • 본 연구는 2001~2002년에 걸쳐 설악산 국립공원에서 시범 시행되었던 탐방예약제에 대한 탐방객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탐방예약제가 시행된 기간 중에 설악산 국립공원을 찾은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 방문유형과 이용행태, 탐방예약제의 시행에 대한 인식 등을 주요 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170부의 설문지 중 분석이 가능한 유효표본은 165부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방문유형 등은 다른 국립공원의 탐방객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응답자 대부분은 탐방예약제의 시행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탐방예약제의 도입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또한, 응답자들은 대체로 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서 시행하는 제도(자연휴식년제, 시설물 예약제 등)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방예약제 구간의 확대시행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이 거의 동등하게 나타났으며, 탐방예약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예약 불이행자에 대한 적절한 페널티제도의 도입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Cognition of the Visitor-Reservation System: Focused on Uiryeong-Gil Area in Bukhansan National Park

  • Sim, Kyu-won;Choe, Yunseon;Jang, Jin;Nam, Seungmi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69-7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verify a difference between the years 2014 and 2019 of Uiryeong-Gil, which is operated by the Visitor-Reservation System, in terms of the cognition of system, operational effective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overall cognition of the Visitor-Reservation System, the satisfaction from - prevention for safety for accident, expansion to other parks, number of visitor restriction, and satisfaction with reservation method - increased compared to 2014. Second, among the effects of the Visitor-Reservation System operation, satisfaction shows differences in year-to-year levels in terms of resource protection, resource damage mitigation efficiency, natural experience opportunity, comfort of visit-environment, and prevention of illegal activities.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behavior of the Visitor-Reservation System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revisit inten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differed per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Visitor-Reservation System is no longer the restriction, but the change in cognition for the protection of ecosystems and sustainable visiting in order to expand the Visitor-Reservation System into a sustainable policy.

자연휴양림 이용자 만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33개소 국유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Recreation Forest Visitors' Satisfaction on Loyalty : A Case of 33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 전문장;심규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961-969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nceptional structure betwee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acility, natural resources and view, staff service of recreation forest had positive effect on visitor's satisfaction. Reservation system, accessibility, and usage fee of recreation forest was not related to visitor's satisfaction. In addition, visitor's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visitor's loyalty such as revisiting intention and word of mouth. As a result, managers of recreation forest need to enhance visitor's satisfaction, to improve rate of revisiting intention and to incite word of mouth through building management strategy.

Recreation Ecology and Visitor Carrying Capacity Management: Implications for Protected Areas in East Asia

  • Leung, Yu-Fai;Lee, Ju-H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2호
    • /
    • pp.53-58
    • /
    • 2003
  • Ever-growing recreation, tourism and ecotourism worldwide have become a significant factor of resource degradation in many protected areas. Managers of these areas are increasingly challenged to implement policies, strategies and actions that would protect the resource base while providing quality visitor experience. One major issue in managing protected area visitations is that of carrying capacity, or the question of "how much use is too much\ulcorner". Scientific studies of visitor impacts, often known as recreation ecology, has generated a knowledge base that provides valuable input to the visitor carrying capacity management process adopted by the U.S. National Park Service. This paper aims at (a) providing an overview of recreation ecology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in managing visitor carrying capacity, and (b) examining the relevance of recreation ecology to East Asian protected area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visitor capacity issue.ity issue.

얼굴 인식 Open API를 활용한 출입자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Using Open APIs for Face Recognition)

  • 옥기수;권동우;김현우;안동혁;주홍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4호
    • /
    • pp.169-178
    • /
    • 2017
  • 최근 보안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출입자 인식 시스템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출입자 인식 시스템은 출입자를 인식하기 위해서 다양한 생체인식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특성과 강점을 가진 다수의 얼굴인식 Open API 서비스를 통합하고, 그 인식결과를 앙상블 함으로써 인식 성능을 개선하는 얼굴인식 기반 출입자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다양한 얼굴 인식 Open API 서비스를 앙상블 하는 출입자 인식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한다. 성능 측정은 약 5개월 간 수집한 얼굴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측정결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출입자 인식 시스템이 단일 얼굴인식 Open API 서비스를 사용했을 때보다 더 높은 얼굴인식률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경로모형을 통한 엑스포 방문객 만족도 및 재방문 의사에 관한 실증연구: 2009 천안웰빙식품 엑스포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Visitor's Sas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of EXPO Using Path Analysis: Focused on Cheonan Well-being Food Expo)

  • 양종곤;김진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20-1828
    • /
    • 2010
  • 본 연구는 2009년 천안에서 개최된 웰빙식품 엑스포를 토대로 문화관광부에서 제시한 방문객 관점의 만족도 측정지표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2009년 9월 11일에서 20일까지 10일간 개최 장소에서 수집한 설문지 900부를 SPSS12.0과 Amos7.0을 활용하여 확증요인 및 경로모형을 분석하였다. 문화관광부에서 제시한 엑스포 행사내용, 행사구성, 편의시설 운영 및 진행, 행사장 환경 및 상품품질 모두 방문객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인자로 판명되었고, 만족도 측정을 위해 활용된 전반적으로 만족한 방문객은 그렇지 않은 방문객 보다 재방문 의사가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에서 사용된 방문객 만족도 지표는 타 행사에 반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Web 기반 국립공원 탐방 이용량 분석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북한산국립공원 백운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n Analysis Program Based on Web for Visitor Uses in the National Park - A case of Baegundae at Bukhansan National Park -)

  • 심규원;이주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8-15
    • /
    • 2009
  • 본 연구는 체계적인 국립공원 탐방객 관리를 위해 웹을 기반으로 한 탐방 이용량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인력을 활용하여 탐방 이용량을 파악하고 관리하고 있는 방법이 아닌 탐방 이용량을 시간대, 일일, 주간, 월간, 분기, 연도별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하여 분석이 가능하며, 입장 및 퇴장 탐방 이용량을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웹 기반 탐방 이용량 분석 프로그램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탐방객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탐방 이용량 분석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탐방 관리는 물론 공원 관리 및 의사결정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 제공하고 효율적인 공원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