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bility graph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1초

컴퓨터 게임에서의 경로 계획을 위한 캐릭터별 로드맵의 자동 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Character-Specific Roadmaps for Path Planning in Computer Games)

  • 유견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692-702
    • /
    • 2008
  • 게임이나 가상현실공간에서의 경로 계획은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캐릭터들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로드맵 방식이란 이동 가능한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를 사전에 제작하여 경로를 계획하는데 이용하는 방법을 말하며 높은 품질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로드맵이 한번 정해지면 모든 캐릭터가 하나의 지도 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캐릭터들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별로 자신의 크기에 맞는 로드맵을 가지고 경로 계획에 각자 이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캐릭터의 수에 관계없이 전체 지도는 가시성 그래프를 응용하여 1회만 생성하고, 캐릭터의 크기에 따라 이동 가능한 경로를 점진적으로 추가하는 방식으로 제안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별 로드맵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보여주며 이때 수반되는 트레이드오프를 분석한다.

  • PDF

Space Syntax 기법을 이용한 교과교실제 과목영역별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일본 시민중학교 계획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Spatial Planning of Subject-centered Clusters Using Space Syntax Methodology - Focused on the Spatial Planning of Shimin Junior School, Japan -)

  • 이재홍;이현희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5-24
    • /
    • 2017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in what extent subject-centered cluster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message system, which is composed of curriculum, pedagogy and evaluation. For this, Bernstein's pedagogic transmission code(i.e., classification and framing) and school typology(i.e., open-type or close-type) have been explored, and then applied into Shimin Junior School, Japan, in order to find out substantial characteristics between subject-centered clusters. In this case study, VGA(visibility graph analysis), as one of syntactical methodologies in space syntax theory, has been used to measure to what degree they are actually different. Throughout in-depth investig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square of clusters is strongly connected and integrated very well, so that it acts as an anchor place for school life within a cluster. However, it works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message systems. In the subjects like Japanese and Science whose message system are characterized by strong classification and strong framing, integration values are relatively low, and this means that it is hard to expect cross-referencing activities through the subject squares. On the contrary,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defined by weak classification and weak framing shows the highest mean integration values, and this can be expected that there are inter-changeable learning activities in the square.

Testing The Healing Environment Conditions for Nurses with two Independent Variables: Visibility Enhancement along with Shortening the Walking Distance of the Nurses to Patient - Focused on LogWare stop sequence and space syntax for U-Shape, L- Shape and I-Shape NS-

  • Shaikh, Javaria Manzoor;Park, Jae Seung
    • KIEAE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9-26
    • /
    • 2015
  • Purpose: Maximizing human comfort in design of medical environments depends immensely on specialized architects particularly critical care design; the study proposes Evidence-Based Design as an apparent analog to Evidence-Based Medicine. Healthcare facility designs are substanti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study in an effort to design environments that augment care by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being therapeutic. On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t-test is applied to simulate two independent variables of PDR (Pre Design-Research) and POE (Post- Occupancy Evaluation). PDR is conducted on relatively new hospital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to analyse visibility from researchers' point of view, here the ICU is arranged in I-Shape. POE is applied on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to simulate walking on LogWare where two NS are designed based on L- Shape and Seoul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here five NS are functional for ICU Intensive Care Unit,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SICU),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Critical Care Unit (CCU), Korean Oriental Medical Care Unit which are mostly arranged in U-Shape, and walking pattern is recognized to be in a zigzag path. Method: T-Test is applied on two dependent communication variables: walkability and visibility, with confidence interval of 95%.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ses the Nurse Station (NS) typo-morphology, and simulates nurse horizontal circulation, by computing round route visits to patient's bed, then estimating minimum round route on LogWare stop sequence software. The visual connectivity is measured on depth map graphs. Hence the aim is to reduce staff stress and fatigue for better patients care by minimizing staff horizontal travel time and to facilitate nurse walk path and support space distribution by increasing effectiveness in delivering care. Result: Applying visibility graph and isovist field on space syntax on I- Shape, L- Shape and U- Shape ICU (SICU, MICU and CCU) configuration, I-shape facilitated 20% more patients in linear view as they stir to rise from their beds from nurse station compared to U-shape.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U-Shape supply minimum walking and maximum visibility; and L shape provides just visibility as the nurse is at pivot. I shape provides panoramic view from the Nurse Station but very rigorous walking.

18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연설문 네트워크 분석: 단어의 가시성(visibility)과 단어 간 연결성(connectivity)을 중심으로 (Presidential Candidate's Speech based on Network Analysis : Mainly on the Visibility of the Words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Words)

  • 홍주현;윤해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4-44
    • /
    • 2014
  • 이 연구는 제18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던 후보자들의 연설문 담화를 네트워크 관점에서 접근 해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연설문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연설문 담화에서 언급된 단어의 가시성(visibility)과 단어 간 연결성(connectivity)을 살펴보았다. 단어의 가시성은 특정 단어가 얼마나 자주 등장 하는지로, 단어 간 연결성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설문에 언급된 단어 간 상호작용을 그래프로 나타내 파악하였다. 박 후보의 경우 '국민행복'과 '약속'이 핵심 키워드로, 문 후보의 경우 '정권교체'와 '한반도,' 안 후보의 경우 '국민'과 '변화'가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 단어를 중심으로 어떤 단어들이 서로 연결되었는지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단어 간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박 후보의 경우 국민과 대한민국, 국민행복, 신뢰가, 문 후보의 경우 대한민국, 보통사람, 국민, 정권교체가, 안 후보의 경우 국민, 정치, 변화가 단어들 간의 관계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단어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대통령 연설문에 내재된 의미를 실증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는 대통령 후보자의 연설문 담화에 대한 단어 간 연결성을 구조적 측면에서 파악했다는 점에서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의 확장에 기여하였다.

두 가시성 다각형의 교집합과 합집합을 구하는 효율적인 RMESH 알고리즘 (Efficient RMESH Algorithms for Computing the Intersection and the Union of Two Visibility Polygons)

  • 김수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01-407
    • /
    • 2016
  • 단순 다각형 내부의 두 점 p와 q가 주어질 때 다음의 문제를 고려할 수 있다. (1) 다각형에서 p와 q 둘 다로부터 가시적인 점들의 집합을 구하라. (2) p와 q 둘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가시적인 점들의 집합을 구하라. 이 문제들은 두 가시성 다각형 사이의 교집합과 합집합을 구하는 문제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재구성가능한 메쉬(RMESH)에서 이 문제들을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고려한다. 일반적인 두 다각형의 교차 영역을 구하는 알고리즘[1]을 이용하면, 두 가시성 다각형의 교집합을 구하는 문제를 O($n^3$) 크기의 RMESH에서 상수 시간에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두 가시성 다각형의 꼭짓점 개수의 합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성 다각형의 특성을 이용하여 평면 분할 그래프를 O($n^2$) 크기의 RMESH에서 상수 시간에 구축하고, 이를 통해 두 가시성 다각형의 교집합뿐만 아니라 합집합도 O($log^2n$) 시간에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 알고리즘은 기존의 결과에 비해 병렬 알고리즘의 비용을 나타내는 프로세서-시간 곱 지표를 O($n^3$)에서 O($n^2log^2n$)으로 개선한다.

경쟁시장에서 발전업자의 발전설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or Planning of GENCO in the competitive power markets)

  • 김태영;김강원;한석만;강동주;김발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418-420
    • /
    • 2008
  • The GENCO of competition in the market for profit maximization of business development for the study of how to build a facility plan. The total revenue for this thesis may be deducted from the total cost calculations and the cumulative profit, the result of cumulative profit through the profit and loss, and up to the turn-off to find a generator of canonicalization. Fortran, using a model to formally implement the program, and a graph that displays the results to build any power plants is the most efficient visibility of the eye can see.

  • PDF

인간공학적 작업공간 설계를 위한 CAD 응용방안 (Application of an Ergonomic Design of Work space Layout Using 3-Dimensional Human Model)

  • 이면우;이달호;장성록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19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3-dimensional human model, an ergonomic CAD (Computer-Aided Design) system which would be very helphul in ergonomic design. An interactive program was developed, in which a user could change layout, body size, skin volume, and posture of the human model. As an example, effect of inclination of a steering wheel on visibility of a display panel was demonstrated. he result showed that ergonomic design can be aided by the 3-dimensional human model, and by the perspective graph by which design and evaluation process can be carried out more effectively.

  • PDF

동적 장애물 회피를 위한 2단계 경로 계획 알고리즘 (Two Level Path Planning Algorithm to Avoid Dynamic Obstacles)

  • 조수진;김경혜;유견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486-48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로보틱스나 컴퓨터 게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동적인 환경에서 장애물 회피를 위한 경로 계획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전역 경로계획과 지역 경로계획의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고, A*와 가시성 그래프에 의해 구해진 전역 경로를 이동할 때에 동적 장애물을 감지하게 되면 이를 회피하기 위해 포텐샬장으로 지역 경로를 구성한다. 이 알고리즘은 포텐샬장을 A*와 결합함으로써 지역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고 포텐샬장만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비해 시간적인 측면에서도 더욱 효율적이다.

일반화 가시성그래프에 의한 생성 경로를 효과적으로 구현한 조타행동 (Steering behaviors that efficiently implement paths generated by Generalized Visibility Graph)

  • 전현주;유견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B)
    • /
    • pp.190-192
    • /
    • 2006
  • 게임의 장르가 다양해지고 대규모의 온라인 게임이 가능해 징에 따라 게임 환경과 더불어 게임 안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수도 많아지고 있다. 게이머에 의해 움직이는 캐릭터 외에도 여러 종류의 다양한 NPC(Non-Player Character)들이 각각 맡은 임무를 띠고 각기 움직이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NPC들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위해 제안된 일반화 가시성그래프를 이용하여 계획된 경로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한 조타행동(steering behaviors)과 경로 이동 중에 만나는 다른 캐릭터에 대한 NPC들의 조타행동을 정의하고 구현하여 이동에 따른 효율을 실험해 본다.

  • PDF

지능형 장비관제 플랫폼을 위한 경로계획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the Path Planning Module for an Intelligent Equipment Control Platform)

  • 김성근;이동준;이윤수;장정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2호
    • /
    • pp.161-172
    • /
    • 2021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대두와 더불어 각 산업에서는 첨단기술들을 적극 도입함으로써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국토부에서 스마트 건설기술개발사업 추진을 통하여 인프라 건설에 4차 산업혁명 관련 첨단기술을 적용하여 건설업의 생산성 및 안전성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건설기술개발사업의 일부 연구로 수행되었으며, 도로공사 수행시 투입되는 건설장비를 위하여 작업계획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이동경로를 생성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생성된 이동경로는 건설장비 운전자에게 안전하게 효율적인 작업경로를 제시하고, MC 및 MG가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건설장비 이동경로는 Visibility Graph 기반으로 생성되도록 하였으며 실현장을 모델로 하여 어떻게 경로가 생성되는지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