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cera oil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8초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이용한 오징어 가공 부산물로부터 고도불포화 지방산 회수 (Recovery of High Unsaturated Fatty Acid from Squid Processing Waste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Method)

  • 강성실;김병준;전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7-222
    • /
    • 1999
  • 초임계 $CO_2$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 추출은 8.3$\~$13.8 MPa과 $25\~50^{\circ}C$에서 semi-continuous flow extractor로 수행되었다. 그리고 초임계 $CO_2$에 entrainer로서의 $2\%$ (v/v) ethanol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수행되었다. 초임계 $CO_2$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 추출에서 지질의 최고 추출 수율은 조건 12.4 MPa과 $40^{\circ}C$에서 이루어 졌다. 초임계 $CO_2$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 추출에서 최고 용해도는 압력 12.4 MPa $40^{\circ}C$에서 entrainer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 1.48g oil/kg $CO_2$를 나타내었고, entrainer를 첨가하였을 때 압력 12.4MPa $40^{\circ}C$에서 4.85g oil/kg $CO_2$를 나타내었다. 초임계 $CO_2$를 이용하여 추출된 오징어 내장유의 주요지방산조성은 myristric acid (14:0), palmitic acid (16:0), palmitoleic acid (16:1), oleic acid (18:1), arachidic acid (20:0), eicosapentaenoic acid (20:5), docosahexaenoic acid(22:6)이다. 초임계 $CO_2$ 추출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중 비소와 납은 검출되지 않으나 수은은 아주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 PDF

오징어 내장의 지방질조성 (Characteristics of Squid Viscera Oil)

  • 김은미;조진호;오세욱;김영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5-600
    • /
    • 1997
  •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오징어내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장에서의 지방 추출 및 추출지방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양산과 연안산의 총지방량은 각각 $30.50\%,\;30.25\%$였으며 중성지질은 $96.24\%,\;94.82\%$, 당지질은 $2.63\%,\;2.85\%$, 인지질은 $2.37\%,\;2.34\%$으로 나타났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644mg\%,\;1,224mg\%$를 각각 나타내었다. 2) 원양산 및 연안산 오징어의 주요 지방산은 모두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6\omega3$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지방질의 획분조성도 서로 유사하여 품종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두군 모두 free fatty acid 함량이 가장 높은 $44.01\%,\;39.63\%$를 각각 나타내었다. 3) 원양산의 분획별 주요지방산은 중성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5\omega3$, 인지질획분에서 $C16\;:\;0,\;C16\;:\;1\omega7,\;C20\;:\;5\omega3,\;C22\;:\;6\omega3$ 당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5\omega3,\;C22\;:\;6\omega3$으로 나타났다. 4) 연안산의 분획별 주요지방산은 중성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6\omega3$로 나타났으며 인지질획분에서는 $C16\;:\;0,\;C18\;:\;1\omega9,\;C22\;:\;6\omega3$로 당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2\;:\;6\omega3$로 나타났다.

  • PDF

DHA 함유 지질 추출소재로서 수산부산물의 검색 (Screening of by-products derived from marine food processing for extraction of DHA-contained lipid)

  • 김정균;이응호;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15-219
    • /
    • 1997
  • 수산부산물을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서 DHA 함유 지질 추출소재로서 붕장어, 칼치의 내장 및 두부, 꽁치, 포클랜드산 및 뉴질랜드산 오징어의 내장 등과 같은 부산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수산부산물의 건물당 지질함량은 $40.5{\sim}48.0%$이었고, 지질조성은 중성지질이 $92.1{\sim}99.0%$로 추출 소채에 관계없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중성지질은 트리글리세리드가 $50.0{\sim}69.9%$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유리지방산이 $7.8{\sim}20.3%$, 스테롤류가 $3.5{\sim}13.9%$, 탄화수소가 $4.2{\sim}10.2%$ 및 디글리세리드가 $3.5{\sim}9.3%$를 차지하였으며, 모노글리세리드는 2% 내외 이었다. 수산부산물에서 추출한 총지질의 지방산조성 중 폴리엔산의 조성비는 포클랜드산 및 뉴질랜드산 오징어 내장유가 각각 41.0% 및 38.2%로 어류 부산물유의 $27.7{\sim}33.3%$에 비하여 높았다. DHA조성비는 뉴질랜드산 오징어 내장유가 21.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포클랜드산 오징어 내장유(16.3%), 갈치 부산물유(13.9%), 붕장어 부산물유(11.7%) 및 꽁치 부산물유(10.7%) 등의 순이었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지질 추출 소재인 부산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16:0, 18:1n-9, 20:5n-3 및 22:6n-3 등이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Filefish Viscera Oil (말쥐치 내장유의 특성)

  • 이응호;김진수;주동식;김풍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6-240
    • /
    • 1992
  • 우리나라 연안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어 가공 부산물로 폐기되고 있는 말쥐치 내장을 효율적으로 식용 화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서 말쥐치 내장지질의 지질성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말쥐치 내장의 총지질함량은 4월에 $34.8\%$로서 최저함량을, 7월에 $59.5\%$로서 최고 함량을 나타내어 연중 $30\%$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계절별 각 구성지방산 조성은 1월에서 5월이 될수록 포화산의 조성은 감소하였으나, 폴리엔산의 조성은 증가하였고 5월부터는 7월로 갈수록 포화산의 조성은 증가하였으나 폴리엔산의 조성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모노엔산의 조성은 년중 $24.6-27.9\%$의 범위로 큰 변화가 없었다. 6월에 어획된 말쥐치 내장의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함랑은 중량비로서 각각 $94.3\%,\;1.6\%$$4.1\%$로 중성지질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중성지질은 트리글리세리드$(88.1\%)$가 주성분이었고 이외에 탄화수소$(4.1\%)$, 스테롤류$(3.0\%)$, 디글리세리드$(2.5\%)$, 유리지방산$(2.3\%)$ 등이 동정되었다. 말취지내장지질에 큰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되는 중성지질의 주요지방산은 16:0, 18:0, 18:1, 20:5 및 22:6등으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특히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말쥐치 내장은 지질이 거의 절반 정도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20:5 및 22:6과 같은 영양적 생리적 효과가 우수한 고도불포화지방산 조성비가 높아, 유지공업의 좋은 자원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참치 내장유 중에서 레시틴의 분리,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2. 레시틴의 이용 (Studies on the Isolation, Refining and Utilization of Lecithin from Skipjack Viscera Oil 2. The Utilization of Lecithin)

  • 김귀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01-907
    • /
    • 1998
  • 고도불포산인 EPA나 DHA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폐기되고 있는 참치 가공 부산물중의 내장지질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정제한 참치 내장중의 레시틴을 각각 첨가하여 어육소시지를 가공한 다음 저장시의 품질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레시틴 첨가어육소시지를 $5^{\circ}C$에서 40일간 저장하여 texture와 관능검사 결과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산화도 측정에서도 산패로 인한 품질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레시틴 자체가 항산화력을 갖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종합적인 판단으로는 모든면에서 $2\%$ 레시틴 첨가제품 (B)이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성인병 예방과 치료 및 학습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EPA나 DHA가 대조제품보다 2배 이상 함유되어 있어서, 참치내장유의 효율적인 이용면에서 $2\%$ 레시틴 첨가 소시지를 제조하여 섭취시 부족한 고도불포화산을 보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적색육 어류의 부위별 지질 조성 및 지방산 함량 (Lipid Content of Different Sec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 이성갑;천성숙;김동수
    • 기술사
    • /
    • 제34권5호
    • /
    • pp.82-88
    • /
    • 2001
  • Mackerel(Scomber japonicus),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and sardine(Sardinops melanosticta) is widely distributed in coastal seawater of Korea, these fishes are not effective utilization as processing material cause by rapid lipid oxidation and off flavour. This study was attempted to lipid distribution in body section, whole body, meat, viscera, skin and hea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oils obtained from these body section. The content of total lipid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were 12.48%, 12.79% and 13.81% respectively, and lipid contents in different body section of mackerel was muscle 2.31%, viscera 3.54%, skin 1.43% and head 5.20%, while in cause of sardine was muscle 4.17%, viscera 3.15%, skin 1.72%, and head4.77%. The major saturated fatty acids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oil were C$\_$16:0/(palmitic acid), C$\_$18:0/(stearic acid), C$\_$14:0/(myristic acid), and monoenoic acids was C$\_$18:0/(oleic acid), C$\_$16:1/ (palmitolic acid), C$\_$22:0/(erucic acid) and C$\_$20:1/(gadoleic acid), in cause of polyenoic acid was C$\_$22:6/(DHA, docosahexaenoic acid), C$\_$20:0/(EPA, eicosapentaenoic acid), C$\_$22:4/(behenic acid), C$\_$18:2/(linoleic acid) high quantity in order. When fresh oil extracted from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was stored for 20 days at 5$\^{C}$, carbonyl and acid value of oil increased with storage day, but peroxide value decreased after 15 days.

  • PDF

Effects of Phospholipid Extract from Squid Viscera on Lipid Oxidation of Fish Oil

  • Hong, Jeong-Hwa;Jeong, Yong-Sil;Kim, In-Soo;Byun, Dae-Seok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78-383
    • /
    • 1995
  • Phospholipid(PL), phosphatidylcholine(PC) and phosphatidylcholine free PL(PCF) were extracted from squid viscera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each fraction on the oxidation of refined fish oil were evaluated.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PC(46.7%) followed by PL(44.8%) and PCF(40.9%). The effects of each phospholipid fraction on stabilizing fish oil were compared by incubating at 40$^{\circ}C$ for 10 days. At the initial period(2 days), changes in peroxide valu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 however, as incubation time was extended, PC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PL and PCF added to fish oils also resulted in increased stability against oxidation. Antioxidative effect of PC at the 5% level was equivalent to 0.05% BHT, 1% catechin and 1% tocopherol.

  • PDF

고등어 내장으로부터 추출한 지질성분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Lipid Extracts from Mackerel Viscera)

  • 변대석;정용실;홍정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8-104
    • /
    • 1995
  • 미이용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고등어 내장으로부터 항산화물질을 추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행하였다. 내장으로 부터 총지질을 추출하여 다시 헥산 추출물, 사염화탄소-메탄올 추출물(1 : 1, 1 : 3, 1 : 9, v/v), 인지질, 포스파티딜콜린(PC), PC를 제외한 나머지 인지질획분(PCF)로 추출하여 $40^{\circ}C$ 항온기에서 10일간 산화억제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헥산 추출물은 총지질이나 사염화탄소-메탄올 보다 산화억제 효과가 낮았고 사염화탄소-메탄올(1 : 1, 1 : 3, 1 : 9, v/v) 추출물은 극성이 높을수록 효과가 컸다. 극성지질인 인지질(PL)과 인지질을 구성하는 포스파티딜콜린(PC)과 그 나머지 획분(PCF=PC free PL)도 모두 현저한 산화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PC가 가장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PC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천연 및 합성산화제와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PC첨가군이 다른 항산화제 보다 2~3배 산화억제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인지질의 항산화작용을 인정할 수 있으며 그 주체는 PC임을 알 수 있다. 수산폐기물로 부터 항산화물질의 이용이라는 대단히 긍정적인 결과와 함께 어유의 산화안정효과에 대단히 큰 영향을 미치리라고 예상된다.

  • PDF

Clinical safety and efficacy of a novel marine source of the long-chain omega-3 fatty acids

  • Park, Joung-Hyun;Musa-Veloso, Kathy;Ji, Ho-Seok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3-50
    • /
    • 2022
  • Squid is a sustainable source of long-chain omega 3 fatty acid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safety and triglyceride-lowering efficacy of refined oil derived from the squid(Todarodes pacificus) viscera.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with elevated fasting serum lipids (i.e., total cholesterol of ≥5.2 mmol/L or fasting serum triglyceride of ≥1.65 mmol/L)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control (n = 52) or squid oil group (n = 52), and participants in the latter group were instructed to consume 3 g of squid oil daily for 60 days. None of the subjects reported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squid oil. Baseline clinical chemistry and hematological parameter values and those toward the end of the treatment period were similar, and all valu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Fasting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control and squid oil groups were similar; however, toward the end of the 60 day study period, these level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quid oil group relative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 0.01). However,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remained unchanged in both groups.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squid oil is a safe source of long-chain omega-3 fatty acids and has beneficial effects on the blood lipid levels. This is the first clinical study on squid oil usage, and suggests that it could be a sustainable source of omega 3 fatty acids.

열처리에 의한 돈 내장근의 중량손실 및 미량 중금속 잔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ing Treatment on the Cooking Loss and Heavy Metal Residues of Porcine Variety Viscera)

  • 양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97-306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ealing loss and the heavy metal residues such as copper, zinc, manganese, cadmium and lead In porcine visceras by inductively coupled argon plasma spectrometer(ICP), and to probe changes when porcine visceras were boiling In water treatment(BWT), heating in autoclave treatment (HAT) and heating In oil treatment (HOT) . The range of heating loss on porcine viscera were BWT(23.11∼34.53%) , HAT(18.48∼28.00%) and HOT(14.20∼25.22%)and the heart tissue were higher and liver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tissues. The total value of heavy metal residues in large intestine, small intestine, heart, kidney, liver and stomach tissue were 11.298${\pm}$5.302 ppm, 27.825${\pm}$8. 177 ppm, 16.756${\pm}$6.334 ppm 21.107${\pm}$6.057 ppm, 25.369 ${\pm}$ 10.164 ppm and 12.611 ${\pm}$5.513 ppm, respectively. Heavy metal residues in porcine visceras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heating methods and the variety viscera, and the change of total heavy metal residues on BWT, HAT and HOT were 4.16∼32.57%, 12.01∼28.09% and 9.60∼25.76%, respectively. The decrease of lead element of mean value were 21.76% and copper, zinc, manganese and cadmium element were 18.00∼ 18.16%. The change of heavy metal residu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porcine visceras(P>0.05), and the thes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mong the three heating method(P < 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