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ew of nature

검색결과 917건 처리시간 0.052초

학생들의 학교 밖 과학 경험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Out-of-school Science Experience and Their View on the Nature of Science)

  • 강석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78-385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교 밖 과학 경험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학교에서 표집한 6학년 267명, 8학년 281명, 10학년 307명이었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들의 견해 조사에는 과학의 목적, 과학 이론의 정의, 과학적 모형의 성질, 과학 이론의 잠정성, 과학 이론의 기원에 관한 5 문항으로 이루어진 과학의 본성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학생들의 학교 밖 과학 경험은 7 문항으로 구성된 수정본 과학 경험 검사의 하위 범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6학년에서는 학생들의 학교 밖 과학 경험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8학년의 경우, 학교 밖 과학 경험 상위 수준 학생들은 과학적 모형의 성질에 대한 문항에서 현대 인식론적인 견해를 지니고 있었으나, 과학 이론의 잠정성 문항에서는 반증주의적 견해를 지니고 있었다. 10학년 학생들의 경우, 과학의 목적, 과학 이론의 정의, 과학적 모형의 성질에 대한 문항에서 학교 밖 과학 경험 상위 수준 학생들이 하위 수준 학생들에 비해 인식론적으로 세련된 견해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분석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여러 관점의 비교 -전통적 접근, 과학의 특성, 가족 유사성 관점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extbook Analysis Centering on the Consensus View, Features of Science, and Family Resemblance Approach)

  • 조헌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81-694
    • /
    • 2019
  • This study intends to delineat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 science (NOS)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Thus, centering on a science textbook calle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this study analyzes the elements of the NOS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the consensus view, features of science (FOS), and family resemblance approach (FRA). While the consensus view highlights the similar elements of the NOS across the topics, the FOS is concerned about empirical ways for doing science. The FRA rather focuses on socio-cultural aspects of science activities. While the consensus view is useful to reify the features of the NOS, the FRA helps to understand science from various viewpoints. Regarding the philosophical account for three perspectives, all of them are ambiguous to some extent. The consensus view holds contradictory dispositions e.g., relativism vs. (post-)positivism, and critical realism and instrumentalism. The FOS supports empirical tradition but cannot effectively cope with the anomalous situation. The FRA is useful to show up the ways of science in both microscopic (personal) and macroscopic (social) viewpoints. However, the broader concept about science may mislead understanding of the NOS.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s some implication for improving the framework of the NOS and teaching the NOS in the classroom.

차경이론을 통해 본 랜드스케이프 건축과 전통건축에 나타난 자연도입기법 (The Nature-Introducing Techniques in Landscape and Traditional Architecture through Borrowed Landscape)

  • 이영미;천득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12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introducing methods between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dividing them into three; semantic methods, constructive methods and visual methods on the basis of architectural features deduced from Borrowed Landscape theory which is a typical nature-introducing theory in the orient. Thr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can explain the nature-introducing methods of Landscape Architecture by way of the method of the Borrowed Landscape which was frequently used by our ancestors for a long time to Introduce nature in the course of building structures, and we can find several similarities between the Architecture of two fields of both different times and areas. I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for us to be able to confirm the contemporary value of Traditional nature-introducing method through the Borrowed Landscape theory. However, we can fi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in looking at nature. If the Landscape Architecture which emerged recently as a result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nature, maintains the nature view of regarding nature and architecture as equal, the nature view of Traditional Architecture is essentially different in that it is humble and aims to return to nature.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nature-introducing way in Traditional Architecture obviously implies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various architectural trends of 'nature-human', or 'nature-architecture' which appeared breaking the relation of dichotomy. It is the thinking that 'nature and human are continual', and 'human is part of nature'; that is, 'the humbleness to nature'.

현대건축에 나타난 바이오미미크리의 생태적 공간 특성 연구 (Study on Features of Ecological Space of Biomimicry)

  • 최지혜;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116-123
    • /
    • 2011
  • How to see nature and how to define the relation between nature and the human certainly influence fundamental attitude toward nature and any results derived from the attitude. Therefore, in order to figure out a way for how the humans and nature should coexist, the thesis has began a philosophical analysis on the origin of the biomimetics. Based on findings from the analysis, the thesis would work on the features of biomimicry space, presenting related possibilities. For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of the thesis which was an ecological world view, introduced at the end of mechanical world view era, the ideas of Spinoza, Nietzsche, Bergson and Deleuze about nature were quoted. Based on what the philosophers have said, the thesis looks into successful ideas, designs and ways of living that nature has shown by itself. After all,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constantly changing space of the biomimetics by organic forms, autonomous systems and dividing programs. Based on this, nine cases were analyz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rganic forms, autonomous systems and dividing programs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appear simultaneously in harmony. Biomimicry space can coexist with nature and the human is an effective way.

동아시아·서양의 자연의 의미와 자연관 비교 분석 (Analysis and Comparison of Views of Nature Between East Asia and the Western World and its Meaning)

  • 이유미;손연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85-49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지역과 서양의 자연의 의미와 자연에 대한 관점을 문헌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서양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자연을 규칙적이고 합리적인 것으로 바라보며, 입자론, 기계론적 관점을 취한다. 반면, 동아시아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며 타협적 관용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자연을 계속 변화하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파동론적 입장을 취한다. 서양 자연관의 특징은 자연을 규칙성을 지닌 존재로 보고, 인간 중심의 입장에서 자연을 바라본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물의 구성 요소가 되는 원자나 입자들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인과율적인 법칙을 찾아 자연의 규칙을 밝혀내어 자연을 설명하고자 한다. 동아시아 자연관의 첫 번째 특징은 논리적이고 비타협적인 서양의 자연관과 달리, 서정적인 자연관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천지와 만물, 인간이 서로 조화롭게 연관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다는 유기체적 자연관은 동아시아 철학의 기본이 되는 음양이원론과 오행설의 바탕이 된다. 그리고 또 하나의 특징은 직관적 자연중심 사상이다. 동아시아는 천(天) 중심사상을 갖고 있다. 하늘 아래에서 인간은 차별이 없다. 서양의 과학정신이 매우 엄밀하고 비타협적인데 비하여 동아시아 지역은 관용적이어서, 모든 것을 등가치적으로 다루는 타협적인 관용성이 사고의 패턴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과학 지식과 개념은 개인의 자연관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한국의 학교 과학교육에서는 현대 서양과학의 자연관을 따르고 있으며, 자연관에 대한 인지유형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하지 못한 채 과학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동 서양의 자연과 자연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학교 과학교육에 접목하여 학생들이 갖는 다양한 문화와 과학에 대한 생각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관한 관점 조사 (A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oints of View on Nature of Science)

  • 조정일;주기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0-209
    • /
    • 1996
  • Recent literature in science education has emphasized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teaching. The theme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element for scientific literac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Korean science teachers' points of view on topics related to nature of science, such as definition of scienc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hypotheses, scientific theories and scientific laws, and their construction, scientists, and scientific methods. The relevant 13 items were selected from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VOSTS) by the authors for this study. Most teachers perceived science as an exploratory process or problem solving. Some perceived science as an application of knowledge to make this world a better place to live in. Teachers viewed scientific activities as scholastic and individualistic instead of pragmatic or collective. They did not hold clear understandings of the idea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subject to change. A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teachers thought that scientific ideas develop from hypothesis to theories, and finally to scientific laws. They did not show sound understanding of inventiveness of scientific hypotheses and theories, nor discovery of scientific laws. In summary, teachers' major points of view reflected 'realism'. It suggested that they needed to understand nature of science in the ways which it has been described in recent literature of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teach science with personal and social contexts.

  • PDF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정도 탐색 : 7차 및 2009 개정교육과정사례 분석 (Exploring the level of nature of science and its degree of revising curriculums: The case of the 7th and 2009 revised curriculums)

  • 이정원;박영신;정다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7-232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과학의 본성이 강조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 공통과학 교과서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 융합과학 교과서로 교육과정의 발전에 따라 과학의 본성 반영정도와 수준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과학의 본성'의 수준은 과학자들의 과학에 대한 관점을 나타내는 과학적 관점과 일반적으로 생각하거나 과학적 오개념을 나타낼 수 있는 순수한 관점으로, 교수 방법은 명시적 방법과 암시적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그렇게 과학적관점인지 순수한관점인지, 명시적인지 암시적인지의 총 4가지의 경우의 수를 이용하여 정의 하였다. Lederman(2001)의 7가지 정의를 참고한 10가지 항목을 이용해 교과서 안에 반영된 구성요소와 수준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과학의 본성 분석 틀(NOSAT: Nature of Science Analyzing Tool)'을 개발하여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연구결과, 교육과정이 7차 교육과정 공통과학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 융합과학으로 변화함에 따라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반영 정도는 발전보다 오히려 역행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탐구단원을 제외한 7차 교육과정 공통과학의 이론단원에서 명시적인 과학의 본성은 찾기 어려웠고,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2007교육과정 탐구단원에서 볼 수 있었던 과학의 본성마저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의 교육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이 제한적으로 표시될 것이 아니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되 그 방법을 암시적이 아닌 명시적으로 반영하여 직접적인 교수가 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 교과서 집필자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가지고 집필해야 하고, 올바른 교수를 위해서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며,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실천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연모방 건축과 시대적 배경의 관계성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omimicry Architecture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 이정원;김다은;변나향;강준경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17
    • /
    • 2016
  • 자연모방 건축은 오래 전부터 서구에서 논의되어 왔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자연에 대한 인식, 자연모방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바, 자연모방 건축의 특성 등에 차이가 보이고 있다. 이것은 해당 시대의 다양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자연 모방 건축이 가지는 특성을 살펴보고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통해 이러한 흐름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먼저,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자연모방 건축이 지니는 특성을 고찰한다. 고대 그리스, 중세, 르네상스, 근세, 현대에 이르기까지 자연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자연모방 건축의 계획 특성, 자연모방을 통해서 지향하는 바에 관한 내용을 사례들을 통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자연모방 건축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었던 역사적 흐름을 자연관, 사회상, 종교, 과학기술 등 각 시대의 배경과 주요 이슈들을 통해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자연모방 건축과 역사적 배경의 관계를 논의한다.

황야에 대한 인식과 미적 경험의 변화 - 조경의 이중적 자연관과 그 모순 - (Conceptual Shift of Wilderness and Its Aesthetics - A Perspective on the Contradictory View of Nature in Landscape Architecture Tradition -)

  • 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68
    • /
    • 2006
  •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ual shift of wilderness and its legacy to the contradictory view of nature in landscape architecture tradition. In hunting and gathering societies, there was no dichotomy between the cultivated environment and wilderness. 'Wilderness' is a word whose first usage marks the transition from a hunting-gathering economy to an agricultural society. We can identify two archetypal responses to wilderness: classical and romantic. In the classical perspective, wilderness is something to be feared-an area of waste and desolation. The conquest of wilderness and the creation of usable places is a mark of civilization. For the romantics, in contrast, untouched wilderness has the greatest significance; it has a purity that human contact tends to sully and degrade. Wilderness for the romantics is a place to revere, a place of deep spiritual significance, and an object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e Western world, the classical position predominated until the last two hundred years when the romantic concept began to gain more ground. The shift was made possible by the change in the way nature is understood. Modernity and modern science objectified nature. The transition of the concept of wilderness exemplifies the objectification and pictorialization of nature. Wilderness in the modern era is not different from the pastoral landscape which can be controlled by landscape architects.

미분화된 신체형장애를 향부자팔물탕(香附子八物湯)으로 치료한 소음인(少陰人) 환자(患者) 치험례 (A Clinical Study of the 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 Improved with Hyangbujapalmul-tang)

  • 김나영;최인호;임창선;신미란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9-207
    • /
    • 2008
  • 1. Objectives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Mind-Body medicine and it is based on difference of Nature & Emotion(性情) & real purpose(恒心).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Hyangbujapalmul-tang for somatoform disorders and is to drive the importance of psychiatric approach home. 2. Method The subject is about 49-year-old Soeumin patient presumed by 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 based on his nature & emo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symptoms, and we have prescribed Soeumin Hyangsayangyui-tang, Ceongunggyegi-tang, Hyangbujapalmul-tang. Soeumin Hyangsayangyui-tang was prescribed based on oridinary symptoms(素症), Soeumin Ceongunggyegi-tang was prescribed based on real symptoms(病症), Soeumin Hyangsayangyui-tang was prescribed based on Nature & Emotion(性情) & real purpose(恒心). 3. Result and conclusions In result, Hyangbujapalmul-tang based on Nature & Emotion(性情) & real purpose(恒心) showed best positive respons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o somatoform disorders not only in clinical view but also in psychiatric view based on Nature & Emotion(性情) & real purpose(恒心)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