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ideo-on-demand (VoD)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134초

Dynamic Client Buffer를 이용한 결합형 Video-on-Demand 서비스 (Hybrid Video-on-Demand Service Using Dynamic Client Buffer)

  • 조성민;김용훈;김태수;박승권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60-365
    • /
    • 2006
  • VoD (Video-on-Demand) 서비스는 가입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서비스의 형태이다. 오늘날은 방대한 양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하고 보다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의 발달이 가속화되고 있고 이는 VoD 서비스의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가입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VoD 서비스의 방법을 찾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NVoD (Near-VoD) 서비스 또는 TVoD (True-VoD) 서비스 만을 제공함으로서 생길 수 있는 단점을 없애고 장점만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의 가입자단에 Buffer를 제공하여 NVoD를 TVoD화 함으로서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필요한 버퍼의 크기를 제시하고 전체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이를 구체화 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udio Equalization in Video-on-Demand Broadcast Content

  • Kwon, Myung-Ky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63-71
    • /
    • 2017
  •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system for audio volume equalization of video on demand(VoD) content and propose the solution for i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VoD users in addition to linear channels. However, viewers ought to sit in an uncomfortable way, adjusting the volume intermittently while they are broadcasted. Sudden changes of volume occur between the broadcasting channels, the programs from the co-channel, or the linear channels and the VoDs. Especially, upsurged dissatisfaction from the televiewers has been found due to the unequalized volume when shifting between the linear channel and the Vo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ultilateral efforts were put forth, such as a system for keeping the volume at a certain level in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has been legislated domestically. It leads success in equalizing linear channel volume. On contrary, too little notice has been taken for distorted volume problem of video on demand(VoD) content.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d applied the volume equalization system into VoD content to achieve uniformization, a similar condition with linear channel(-24LKFS). This suggestion helped uneven current of volume which was in the stage -16 ~ -20LKFS to stable condition by lowering into the stage of -24LKFS. It also brought 20% increase in perspective of volume quality satisfaction level.

VoD 시스템에서 선반입 기법을 이용한 대화식 동작의 설계 (Design of Interactive Operations using Prefetching in VoD System)

  • 김순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1-39
    • /
    • 2010
  • VoD(Video-on-Demand) 시스템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대용량이면서 실시간에 처리되어야 하는 연속 매체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가 차지하는 저장 공간과 전송 대역폭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압축 기법과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보장하기 위한 자원의 예약 기법은 모두 연속 매체를 처리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다. VoD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들에게 영화의 재생뿐만 아니라 고속 전진이나 고속 후진과 같은 대화식 동작도 함께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데 대화식 동작이 야기하는 데이터 요구량의 변화는 디스크 대역폭, 통신망 대역폭, 메모리와 같은 시스템 자원의 관리를 어렵게 한다. VoD 시스템의 경우 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데이터 블록에 대한 선반입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 비트율의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VoD 서버에서 서버의 버퍼를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들을 선반입함으로써 대화식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버퍼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버퍼 관리 기법은 모의실험 결과 수용 사용자 수에서 LRU 기법에 비해 약 34%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주문형서비스(Video on Demand) 광고 규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ulation of Video on Demand Advertisements)

  • 조대근;김기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45-159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시장규모가 급격히 커지고 있는 주문형서비스(Video on Demand) 광고의 심의 규제를 위한 입법 공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해결방안으로 통합방송법(안) 내 유사방송서비스 정의 및 규제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되 공동규제(Co-Regulation) 방식 채택을 제언하고 있다. 유료방송플랫폼 사업자들은 VoD 시청 규모 증가를 발판으로 VoD 광고를 수익모델로 삼아 제공 중에 있는데 실시간방송광고가 엄격한 심의 규제를 받는 반면, VoD 광고는 그렇지 못하다. 그 이유는 방송법을 비롯한 국내 법령에서는 VoD 및 VoD 광고 심의 규제를 위한 법적 근거가 부재하고, 광고 내용에 대한 규제는 사업자간 자율규제체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자 중심의 자율규제체계 하에서는 이용자(특히 어린이, 청소년과 같은 소수계층) 보호에 한계가 있고, 사업자가 광고주 영향력에 취약하며, 규제 실효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VoD 광고의 내용 규제 방향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영국, 캐나다, 유럽연합(EU), 아일랜드와 같은 해외 주요국의 VoD 광고 규제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각 국은 VoD 및 VoD 광고에 대한 법적 근거를 방송법 내지 그에 파생된 법령을 통해 확보하고 있었으며, 방송통신규제 기관 중심으로 심의규제를 하되 공동규제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둘째, VoD 광고 규제의 목적과 영역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VoD 광고 규제의 목적은 이용자 보호이어야 하며, 그 영역은 내용심의로 제언하고 있다. 셋째, VoD 광고규제를 입법론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법적 근거는 일반법인 통합방송법(안)에 마련하되, 공동규제 방식 채택을 권고하였다. 개별법보다는 일반법을 권고한 이유는 VoD 서비스는 유사방송의 특성을 가지며 VoD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유료방송사업자라는 지위 측면에서 통합방송법(안)에서 수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점, 규제기관의 전문성 측면에서 실시간 방송광고를 심의하는 기관이 감독기능 및 지침제 개정 승인권을 보유하는 것이 일관성이 있다는 점에 근거한다. 본 연구가 제안한 VoD 광고에 대한 내용 심의 규제가 가능해진다면 광고 심의의 사각지대였던 VoD 광고 심의를 통해 이용자보호에 보다 충실할 수 있을 것이고, 자율규제체계가 가진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취약성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 이용 행태를 고려한 VoD 서버 부하 분산 방법 (A VoD Load Balancing Algorithm Based on User's Behaviors)

  • 이강용;장욱;조기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9-17
    • /
    • 2010
  • 인터넷의 확산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활성화로 인해 최근 방송과 통신의 융합 서비스인 IPTV가 인터넷 서비스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IPTV 환경에서는 기존의 실시간 방송이나 주문형 비디오 (Video-on-Demand) 뿐만 아니라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나 고품질 디지털 콘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IPTV 가입자수의 폭발적인 증가와 방대한 콘텐츠에 따른 트래픽의 증가는 IPTV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네트워크 자원 관리에 어려움을 발생시키고, 결과적으로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IPTV 환경에서 네트워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VoD 서비스 이용 행태를 고려하여 향후 잠재적인 서버의 부하 및 대기 시간에 대한 예상치를 계산하고 이를 서버 부하 분산에 적용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주문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대역폭 효율적인 하모닉 스태거드 전송 기술 (Bandwidth Efficient Harmonic Staggered Broadcasting Method for Multimedia on-Demand Services)

  • 김홍익;박승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2B호
    • /
    • pp.1076-1086
    • /
    • 2006
  • 일정한 대역폭 내에서 시청자의 대기시간과 요구되는 버퍼의량을 줄이는 것은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시스템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였다. 하지만 기존의 제안된 많은 주문형 비디오 방법들의 높은 복잡도가 구현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와 더불어 주군형 비디오 방법의 복잡도를 줄이는 것도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의 효율성도 높이면서 기존의 주문형 비디오 방법들의 복잡성을 크게 줄인 하모닉 스태거드 전송 (Harmonic Staggered Broadcasting) 방식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하모닉 스태거드 전송 방식은 하모닉 전송 (Harmonic Broadcasting) 방식의 높은 대역폭 효율과 스태거드 전송 (Staggered Broadcasting) 방식의 간단한 구조적 특징을 한꺼번에 가지고 있는 매우 실용적인 주문형 비디오 방법이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방식은 시청자 최대 대기시간이 기존 대역폭 효율이 가장 우수한 하모닉 전송 방식과 거의 일치하고, 시청자 최대 버퍼 요구량은 비디오 분할 계수가 5일 때 비디오 데이터의 25% 정도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주문형 비디오 방식의 복잡성도 함께 줄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하모닉 스태거드 전송 방식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동작과정, 성능 모델,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식의 높은 효율성과 실용성을 제시한다.

병렬 확장 VoD 서버에 대한 성능 분석 (Simulation of Parallel and Scalable VoD Server)

  • 홍석래;심재홍;최경희;김재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3)
    • /
    • pp.105-107
    • /
    • 1999
  • 최근 컴퓨터와 제반 기술들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루는 서비스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Video on Demand)가 가장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는 VoD 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PASS(Parallel and Scalable Server) VoD 시스템을 제안한다. PASS VoD 시스템은 병렬 비디오 서버로서 SAN(System Area Network)로 연결된 independent proxy 구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PASS VoD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고 PASS VoD 시스템이 scalable 함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Peer-to-Peer Video-on-Demand with Distributed Cache

  • Ren, Jian-Ji;Lee, Jae-kee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55-658
    • /
    • 2007
  •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video on demand (VoD) service to a large number of users via the Internet. 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VoD, which require a large bandwidth for a long playing time. The Peer-to-Peer (P2P) concept is proposed to increase the scalability of the VoD service. Many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to solve this problem. But its success is still quite limited technically, these research have been deployed in a rush, mostly based on practicality and instability. A system which uses a distributed VoD streaming scheme over P2P network is proposed to support media streaming.

  • PDF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의 복잡성와 대역폭 효율을 개선한 Fast Staggered 방식 (Fast Staggered Data Broadcasting and Receiving Scheme for Simple and Efficient Video on Demand Services)

  • 김홍익;박승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7B호
    • /
    • pp.668-678
    • /
    • 2006
  • 정해진 대역폭 내에서 시청자의 대기시간과 요구되는 버퍼의 량을 줄이는 것은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시스템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였다. 하지만 기존의 제안된 많은 주문형 비디오 방법들의 높은 복잡도가 구현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와 더불어 주문형 비디오 방법의 복잡도를 줄이는 것도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의 효율성도 높이면서 기존의 주문형 비디오 방법들의 복잡성을 크게 줄인 Fast Staggered 방식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Fast Staggered 방식은 Fast Broadcasting의 높은 대역폭 효율과 Staggered Broadcasting 방식의 간단한 구조적 특징을 한꺼번에 가지고 있는 매우 실용적인 주문형 비디오 방법이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방식은 시청자 최대 대기시간이 Fast Broadcasting 방식과 거의 일치하고, 시청자 최대 버퍼 요구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제안된 방식은 비디오 분할에 따라서 시청자의 대기시간과 필요한 버퍼량을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에 주문형 비디오 방식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서 조절해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주문형 비디오 방식의 복잡성도 함께 줄일 수 있는데, 제안된 방식은 비디오 데이터 세그먼트 수를 크게 줄이고, 복잡한 채널 관리를 줄였으며, 사용하는 채널의 수도 크게 감소시켰다. 본 논문은 Fast Staggered 방식의 서버 동작과정, 클라이언트 동작과정, 성능 모델,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식의 높은 효율성과 실용성을 제시한다.

VoD 시스템을 위한 동적 작업부하조정기 모델 (A Model of Dynamic Workload Balancer for VoD Systems)

  • 박정윤;김중환;김상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904-913
    • /
    • 2006
  • VoD(Video on Demand) 시스템의 QoS(Quali쇼 of Service)는 클라이언트들의 스트림 서비스 요청이 시스템으로부터 거부되거나 서비스 도중에 손실되는 장애현상의 발생을 줄임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VoD 시스템의 작업과정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동적으로 작업부하(workload)를 조정하여 장애현상의 발생을 줄임으로써 성공적인 스트림 서비스 처리량(throughput)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동적 작업부하조정기 (Dynamic Workload Balancer)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에이전트개념을 사용하여 VoD 시스템과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였으며, VoD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를 하는 에이전시(Agency) 부분과 작업부하 조정에 필요한 조치를 추론하거나 학습하는 인텔리전스(Intelligence)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안된 모델을 VoD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에 실효성이 있는지를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의 결과, 제안된 모델을 적용하면 기존의 방법을 적용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QoS가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