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marginal discrepanc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Evaluation of marginal discrepancy in metal frameworks fabricated by sintering-base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methods

  • Kaleli, Necati;Ural, Cagri;Us, Yesim Olcer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3호
    • /
    • pp.124-130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intering procedures on marginal discrepancies of fixed partial metal frameworks fabricated using different sintering-based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Forty resin die models of prepared premolar and molar abutment teeth were fabricated using a three-dimensional (3D) printer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n = 10) according to the fabrication method of metal frameworks used: HM (via hard milling), SM (via soft metal milling), L25 (via direct metal laser melting [DMLM] with a 25 ㎛ layer thickness), and L50 (via direct DMLM with a 50 ㎛ layer thickness). After the metal frameworks were fabricated and cemented, five vertical marginal discrepancy measurements were recorded in each site (i.e., buccal, facing the pontic, lingual, and facing away from the pontic) of both abutment teeth under a stereomicroscope (×40).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were found among the four axial sites of metal frameworks fabricated by sintering-based CAD/CAM techniques. The HM and L25 groups showed significantly (P<.001) lower marginal discrepancy values than the SM and L50 groups. CONCLUSION. Marginal discrepancy in the sites facing the pontic was not influenced by the type of sintering procedure. All fabrication methods exhibited clinically acceptable results in terms of marginal discrepancies.

발치된 치아에 부착된 수복물의 변연 적합 및 형태 (Marginal dicrepancy and topography of the artificial crown on the extracted abutment)

  • 이정훈;최민호;김민호;강동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8권4호
    • /
    • pp.313-320
    • /
    • 200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discrepancy and topography of artificial crown on teeth extracted due to severe periodontal disease. Twenty specimens were invested into metamethylacrylate resin and cutted into vertical slices along with the long axis of tooth. The selected marginal discrepancy between the outer edge of the crown and the finishing line of abutment was examined by stereo- microscope(Olympus, PM-VSP-3, Japan) at magnification of up to 10, and the topography of finishing margin on crown was observed by stereomicroscopeat magnification of up to $70{\tim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marginal discrepancy between extracted tooth and artificial crown were $50.82{\mu}m$. (2)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microstructure of finishing margins among specimens. Microscopic Structure on finishing margin showed indefinite line, poor fit (open, underextended and overextended), distorted margin, and surface roughnes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c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response of periodontium to the emergence profile of natural tooth and precision of marginal geometry while establishing treatment planning for the reconsruction of the artificial crown.

경사진 상부 형태(sloped marginal configuration)를 가진 임플란트의 특징과 임상적 의미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meanings of the implant with a sloped marginal configuration)

  • 김태형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5호
    • /
    • pp.328-341
    • /
    • 2016
  • An overall reduc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ccurs following tooth extraction and the resorption of the buccal part of the ridge is more pronounced than the lingual part. Thus, the resulting morphology of the healed alveolar ridge is often presenting with a discrepancy in bone height between the buccal and lingual aspects of the ridge. The implant with a sloped marginal configuration that is designed to match the sloped contour of the alveolar ridge provides the opportunity to maintain the buccal-lingual bone discrepancy and soft tissue around the implant. This paper introduces the OsseoSpeed TX Profile implants with sloped marginal configuration and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meanings of those implants.

  • PDF

합금의 종류와 지대주 성분이 바형 유지 장치의 변연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casting alloys and abutment composition on the marginal accuracy of bar-type retainer)

  • 이윤희;송영균;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5-91
    • /
    • 2012
  • 연구 목적: 합금의 종류와 지대주의 재질의 차이가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개의 임플란트 유사체를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아크릴릭 레진으로 포매하여 연구모형을 제작하였다. 바 구조물은 gold UCLA 지대주에 고귀금속 합금(high noble metal alloy)과 귀금속 합금(noble metal alloy)을, 그리고 metal UCLA 지대주에 고귀금속 합금과 비귀금속 합금(base metal alloy)을 이용하여 총 4 종류의 바 구조물을 7개씩 시편을 제작하였다. 주조된 바 구조물을 레진 모형에 장착하고 한쪽 지대나사를 조인 후, 반대쪽 임플란트-지대주 간극의 수직 거리를 앞, 뒤, 측면 3부위에서 입체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결과: 각 군들의 변연오차 평균값은 gold UCLA 지대주에 고귀금속 합금과 귀금속 합금을 사용했을 때 각각 $13.69{\pm}6.74{\mu}m$$267.26{\pm}65.85{\mu}m$이었으며, metal UCLA 지대주에 고귀금속 합금과 비귀금속 합금을 사용했을 때 $26.19{\pm}8.14{\mu}m$$61.90{\pm}33.65{\mu}m$이었다.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변연 적합도의 차이를 분석했을 때 고귀금속 함금을 사용한 군들을 제외하고, 모든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P$<.05). Gold UCLA 지대주-귀금속 합금 조합을 제외하고 모두 $70{\mu}m$ 이하의 수직오차를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 바 유지 장치의 제작에 있어서 고귀금속 합금 대신 비귀금속 합금과 metal UCLA 지대주를 사용하는 것은 임상적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수종의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기반 완전도재관의 적합도 비교 (A comparison of the fidelity of various zirconia-based all-ceramic crowns fabricated with CAD/CAM systems)

  • 김성준;조광헌;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8-155
    • /
    • 2009
  • 연구목적: 최근에는 금속도재관의 심미적 문제로 심미성과 강도가 개선된 코아용 도재 및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 시스템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금속과 유사한 강도를 가지면서 금속의 비심미성을 극복할 수 있는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보철물의 제작이 국내외에서 많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되는 여러 종류의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의 적합도에 대한 임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양한 CAD/CAM 시스템 중 Procera, Cerec inLab, Lava에 의해 제작된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의 변연 적합도와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여 이를 전통적인 방식으로 주조된 금속 도재관의 적합도와 비교 평가해 봄으로써 임상 적용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를 위해 하악 우측 제2소구치에 해당하는 레진치를 삭제하여 인상채득 후, 금속 주모형을 제작하였다. 금속 주모형의 40개의 인상을 채득 후 각 시스템마다 10개씩 총 40개의 crown을 제작하였다. 금속도재관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Procera, Lava, Cerec inLab crown은 zirconia core를 이용하여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하였다. 수직 변연 오차와 내면 간격을 각 그룹마다 금속 주모형에 시멘트 접착 없이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oneway ANOVA와 Tukey's HSD test로 통계 내었다. 결과: 수직 변연 오차는 금속도재관이 $50.6{\pm}13.9{\mu}m$, Procera crown이 $62.3{\pm}15.7{\mu}m$, Lava crown이 $45.3{\pm}7.9{\mu}m$, Cerec inLab crown은 $71.2{\pm}2.0{\mu}m$로 측정되었다. 내면 간격은 금속도재관이 $52.6{\pm}10.1{\mu}m$, Procera crown이$161.7{\pm}18.5{\mu}m$, Lava crown이 $63.0{\pm}10.2{\mu}m$, Cerec inLab crown이 $73.7{\pm}10.7{\mu}m$로 측정되었다. 변연 적합도 측면에서 볼 때 Procera crown, Lava crown, Cerec inLab 그리고 전통적인 금속도재관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적합도 범위($120{\mu}m$) 내에 있었다. 내면 적합도 측면에서 볼 때 Procera crown을 제외한 Lava crown, Cerec inLab, 금속도재관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적합도 범위($140{\mu}m$) 내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