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earth pressure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1초

연직보강재의 토압경감 효과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arth Pressure Effect of Vertical Reinforcements)

  • 문경선;이상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7-464
    • /
    • 1999
  • The active earth pressure on the retaining wall is reduced by 3-Dimensional effects of the ground. Therefore, the test was focused on reducing the earth pressure on the retaining wall by inserting the vertical reinforcement in the backfill ground to develope the 3-Dimensional effects. Model tests in sand were peformed to measure the 3-Dimensional effects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on the active earth pressure and its distribution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theories. The size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the geometry of the backfill space, and the wall friction of vertical reinforcement were varied. It was observed that the active earth pressure and its distribution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were affected by the size of the vertical reforcements and wall friction.

  • PDF

현장계측을 통한 원형 수직구 작용하중 분석 (Investigation of Earth Pressure on Vertical Shaft by Field Monitoring)

  • 신영완;문경선;강휴택;이승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3-76
    • /
    • 2008
  • 본 연구는 명확한 설계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국내의 수직구 설계기술 개선을 위하여 수행된 것으로, 국내외 설계기준 및 원형 수직구에 대한 이론적인 토압을 고찰하였고, 시공중인 수직구 2개소에 대하여 현장계측을 수행하여 수직구의 변형 및 작용하중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심도별 토압 및 작용하중분포는 신영완(2007)이 제안한 이론토압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수직구 주변 지반의 비균질, 비등방성에 의하여 편측 변형 및 토압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사 및 풍화암의 편하중비($R_p$)는 단면형상비(H/R)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암반은 35.0%미만의 편하중비($R_p$)를 적용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Earth pressure on a vertical shaft considering the arching effect in c-𝜙 soil

  • Lee, In-Mo;Kim, Do-Hoon;Kim, Kyoung-Yul;Lee, Seok-Wo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1권6호
    • /
    • pp.879-896
    • /
    • 2016
  • A new earth pressure equation considering the arching effect in $c-{\phi}$ soils was proposed for the accurate calculation of earth pressure on circular vertical shafts. The arching effect and the subsequent load recovery phenomenon occurring due to multi-step excavation were quantitatively investigated through laboratory tests. The new earth pressure equation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test results with the earth pressures predicted by new equation in various soil conditions. Resulting from testing by using multi-step excavation, the arching effect and load recovery were clearly observed. The test results in $c-{\phi}$ soil showed that even a small amount of cohesion can cause the earth pressure to decrease significantly. Therefore, predicting earth pressure without considering such cohesion can lead to overestimation of earth pressure. The test results in various ground conditions demonstrated that the newly proposed equation, which enables consideration of cohesion as appropriate, is the most reliable equation for predicting earth pressure in both ${\phi}$ soil and $c-{\phi}$ soil. The comparison of the theoretical equations with the field data measured on a real construction site also highlighted the best-fitness of the theoretical equation in predicting earth pressure.

원심모형실험에 의한 수직구 아칭토압 모사 (A Simulation of Arching Earth Pressure Exerted on Vertical Shafts through Centrifuge Tests)

  • 이대수;김경열;홍성연;김유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073-1080
    • /
    • 2010
  • In this paper, the centrifuge model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sake of measuring three dimensional arching earth pressure while two step excavation of the vertical shaft. The results of the centrifuge model tests were compared to newly suggested arching earth pressure equation proposed by Kim et al(2009) and two dimension earth pressure(Rankine). As the results, Measured arching earth pressure revealed about 35 percentages of two dimension earth pressure(Rankine) and almost same as that of newly suggested arching earth pressure equation.

  • PDF

c-${\phi}$ 지반에서의 아칭현상을 고려한 원형수직터널 토압: I. 이론 (Earth pressures acting on vertical circular shafts considering arching effects in c-${\phi}$ soils: I. Theory)

  • 김도훈;이대수;김경렬;이용희;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17-129
    • /
    • 2009
  • 원형수직터널에서 3차원적인 아칭효과를 고려한 토압산정을 위해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고 실내시험 및 수치해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으나, 다층지반과 c-${\phi}$지반에서의 적용이 어려웠다. 본연구에서는 c-${\phi}$지반에서의 토압 산정을 위해 c-${\phi}$지반에서 적용 가능한 토압계수 산정식을 구하였으며, 기존 토압식을 수정 제안하였다. 점착력이 토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반을 가정하여 각 경우별로 토압을 산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다층지반에서 파괴면을 가정하는 방법으로 토압을 구하였다. 이 논문은 두 개의 연속된 논문(Companion paper)의 첫 번째로서 모델개발을 위한 이론전개를 다루고 있으며, 대형 모형실험에 의한 실증은 두 번째 논문에서 다룰 것이다.

Seismic lateral earth pressure analysis of retaining walls

  • Ismeik, Muhannad;Shaqour, Fath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8권4호
    • /
    • pp.523-540
    • /
    • 2015
  • Based on limit equilibrium principles,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derivation of a new analytical formulation for estimating magnitude and lateral earth pressure distribution on a retaining wall subjected to seismic loads. The proposed solution accounts for failure wedge inclination, unit weight and friction angle of backfill soil, wall roughness, and horizontal and vertical seismic ground accelerations. The current analysis predicts a nonlinear lateral earth pressure variation along the wall with and without seismic loads. A parametric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parameters on lateral earth pressure distribution. Findings reveal that lateral earth pressure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horizontal ground acceleration while it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vertical ground acceleration. Compared to classical theory, the position of resultant lateral earth force is located at a higher distance from wall base which in turn has a direct impact on wall stability and economy. A numerical example is presented to illustrate the computations of lateral earth pressure distribution based on the suggested analytical method.

강성매설관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study on the Vertical Earth Pressure in rigid buried pipe by numerical approach)

  • 박상원;한명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61-666
    • /
    • 2005
  • In this Paper, to calculate vertical earth pressure affected from several factors in case of rigid buried pipe with cohesionless backfill soil. The result from PENTAGON 3D is compared with several equation's result such as the Janssen, Marston, Spangler, Handy's equation. Result of study shows that vertical earth pressure of each equation is affected by backfill width, backfill depth and wall friction. And vertical earth pressure is linearly increased with backfill depth and backfill width. Marston's equation and Handy's equation are overestimated and FEM(Finite Element method) analysis and Janssen's Silo equation are affected by more backfill depth than backfill width.

  • PDF

상재하중의 크기와 이격거리에 따른 강성벽체의 토압분포 (Earth Pressure on a Rigid wall due to Loads Condition and Distance)

  • 오범진;이상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2호
    • /
    • pp.51-60
    • /
    • 2010
  • 자중에 의한 토압은 일반적으로 깊이에 따라 선형비례하여 증가되지만, 상재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토압은 분포형태와 지반상태 및 경계조건에 따라 다르게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변위가 구속된 강성벽체에 연직상재하중에 의한 토압분포를 실험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실내모형토조[30 cm(폭) ${\times}$ 110 cm(길이) ${\times}$ 88 cm(높이)]에 각 2개의 로드셀이 배치된 8개의 토압판으로 구성된 강성벽체를 설치하여 연직상재하중의 크기와 위치(벽체에서 이격거리)를 변화시켜 가면서 토압분포와 토압의 영향범위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연직상재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수평토압은 일정위치에서 최대값을 보이고 깊어질수록 감소하여 한계깊이를 초과하면 무시할 만큼 작아졌다. 수평토압이 최대가 되는 깊이와 한계깊이는 연직상재하중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벽체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지중에 매설된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 산정 (Estimation of Earth Pressures Acting on Box Structures Buried in Ground)

  • 홍원표;윤중만;송영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3-33
    • /
    • 2015
  • 개착식 터널공법으로 시공된 지하철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각종 계측시스템을 적용하여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 이론식으로 산정된 측방토압과 현장에서 계측된 실측토압을 비교 검토하고, 실제 지하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은 주로 성토고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측방토압은 흙막이구조물(버팀보, 흙막이벽)의 존치여부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측정된 지하 박스구조물 상단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은 Bierbaumer의 이론토압에 가장 근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측방토압은 정지토압보다 주동토압에 가깝게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토압계수는 토사층의 경우 평균 0.35정도로 나타났으며 연암층의 경우 평균 0.21정도로 토사층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지하 박스구조물이 토사층에 설치되는 경우,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은 정지토압보다는 주동토압과 정지토압의 평균치를, 암반층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주동토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강설매설관에 작용하는 되메움토 연직토압 (Vertical Earth Pressure on Buried Pipes in Ditches due to Fills)

  • 박상원;도종남;정종주;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1-1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조밀하게 조성된 되메움 지반에서 강성매설관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에 대하여 Janssen, Marston, Spangler, Handy 이론식과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CANDE를 통해 되메움 공간의 저부폭과 되메움 깊이에 대한 영향, 벽면마찰각, 기타 다른 영향인자들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각 이론식들의 비교 점분석결과, 되메움 지반에서의 연직토압에 대한 이론식들은 되메움 저부폭, 매설깊이, 벽면내부마찰각이 주요영향인자로 작용하게 되었다. 또한 CANDE에 의한 해석 결과와 각 이론식들을 비교 분석하면, 동일한 되메움 깊이에서 되메움 저부폭에 따른 연직토압의 크기는 모든 결과에서 동일하게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일정한 되메움 저부폭에서 연직토압의 크기는 매설관의 깊이에 따라 증가하였다. CANDE에 의한 해석 결과와 Handy의 제안식이 좋은 접근성을 보였으며, 각종 매설관 및 박스형 구조물의 토압산정에 널리 사용되는 Marston이론은 설계시 상당히 안전측으로 설계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