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검색결과 591건 처리시간 0.025초

Biomechanical Effectiveness and Anthropometric Design Aspects of 3-dimensional Contoured Pillow

  • Kim, Jong Hyun;Won, Byeong Hee;Sim, Woo Sang;Jang, Kyung Seok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03-517
    • /
    • 201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3 dimensional contoured pillow through analyzing contact pressure and to suggest its design guidelines through analyzing the posture of head and neck area. Background: The quality of sleep is a very important factor closely related with human's health.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the verification of design factors affecting the posture of the head and neck is needed, and a pillow design that can induce proper posture is required. Method: This study measured the contact pressures of the two reference groups (bead and cotton pillows) as a method to evaluate the design effectiveness of the contoured pillow. This study proposed 3-dimensional design guidelines by drawing anthropometry (head length) affecting cervical curvature angle (CCA)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participants' cervical curvature angles. Results: In the design effectiveness evaluation, the contact pressure of cervical region was higher than that of a reference group (cotton pillow), and contract area increased, and contract pressure decreased in the shape distributing the occipital region's body pressure. This study proposed pillow's cervical supporting height by percentile of a head length [head length (%tile) (cervical supporting height) affecting the posture of the head and neck: 14.6cm (5%tile) (6.2cm), 15.5cm (25%tile) (6.7cm), 16.4cm (50%tile) (7.1cm), and 19.3cm (75%tile) (8.9cm)].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contoured pillow's design effectiveness maintaining cervical angle comfortable to sleep with the shape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e and by reducing the contact load of the occipital region. Also, this study proposed pillow design guidelines based on the 3-dimensional contoured pillow design effectiveness, through which the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pillow design in a systematic method.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s data by which the optimum pillow type and pillow design according to main percentile can be standardized.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사관리 효과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the regulating role of HR management effectiveness -)

  • 김문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2호
    • /
    • pp.139-163
    • /
    • 2019
  • 본 연구는 NCS 기업활용 컨설팅에 참여한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 인사관리 효율성의 조절역할과 조직유효성과 조직성과 간에 대한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용한 설문결과는 통계적으로 최종 활용 가능한 145부에 대하여 SPSS 24.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첫째, 가설 1인 고성과 적업시스템의 특성요인(선발시스템, 평가 보상, 교육훈련 경력기회, 구성원참여제도, 직무안정성)은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는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어 채택이 되었다. 둘째, 가설 2인 조직유효성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나타내어 가설 2는 채택이 되었다. 셋째, 가설 3인 인사관리 효과성이 고성과 작업시스템(선발시스템, 평가 보상, 교육훈련 경력기회, 구성원 참여제도, 직무안정성)과 조직유효성 간의 조절역할을 확인하고자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가설 3을 검증한 결과 선발시스템(H3-1), 평가 보상(H3-2), 교육훈련 경력기회(H3-3), 구성원 참여제도(H3-4), 직무안정성(H3-5)은 조직유효성 간에 인사관리 효과성은 조절역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낸 주요 시사점은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은 조직유효성과 조직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와 조직유효성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냄에 따라 조직성과 향상을 통한 지속가능경영체계의 고도화를 위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조직유효성 향상 위한 인사 교육훈련 체계구축은 조직구성원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실행방안이 요구되었다. 둘째, 인사관리 효과성에 대한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조직유효성 간 긍정적인 요인으로 조절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을 통한 조직유효성과 이들 간 인사관리 효과성의 조절역할 및 조직유효성과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함께 검증한 부분이 선행연구와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의복형 초소형 발광모듈을 이용한 신경근육 자극 시스템 개발 및 임상적 효과 검증 (Development of Neuromuscular Stimulus System using Wearable Ultra-miniature Lighting Modules and its Verification of Clinical Effectiveness)

  • 박세형;이종실;김인영;김선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33
    • /
    • 2009
  • It can be used easily to reduce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time if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vices are attached to cloth or body. Therefore we developed neuromuscular wearable ultra-miniature lighting modules which can improve the neuromuscular function and verified its clinical effectiveness. The system is based on the ultra-miniature lighting treatment module and there are two types of systems. One of them is designed as an attached type and the other type is combined with clothing. The wearable ultra-miniature lighting module is composed of controller (battery, MCU, bidirectional transmitter and receiver), cable, treatment medium generating device and other peripheral devices. To verify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is device, we observed the difference of the strength of a muscle before and after 650nm and 25mW laser irradiation on the reflex point for 1 to 4 seconds. Among 48 patients having the degenerative osteoarthritis, the muscle strength before and after irradiation of laser was $21.8{\pm}7.99$ and $27.3{\pm}8.43$. According to the result, the muscle strength after treatm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To whom having difficulty in visiting to OPD(Out-Patient Department), doctors medically examine the patients and find the therapeutic point, attachment of this wearable ultra-miniature lighting module can function as self treatment (treating instrument) and treatment assist at home. If doctor can remotely control the patient and take part in treatment, the therapeutic device could contribute to prevention and care devic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Method Subjects and Verification of Teaching Efficacy Effectivenes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 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17-22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초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AI융합교육 전공 교과목 중 'AI융합교육방법' 수강자의 요구와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목을 개발 및 적용하여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AI융합교육방법' 과목을 수강하는 초중등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과 사전 지식 수준, 교육내용 요구를 조사·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AI융합교육방법' 교과목의 영역, 15주의 교수·학습 내용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AI융합교육방법' 과목을 15주간 대상에게 적용하여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에 대한 효과성을 검사하고 분석한 결과,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은 적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의 하위요소 중 정보 수업 가치관, 정보 교수 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향후 학교 현장과의 연계, 타 교과와의 융합 등 교사 전문성 확보를 위한 후속 연구 진행이 필요하며, 교수학습 자료, 인공지능 교육용 플랫폼 등 다양한 자료와 교수학습 방법이 체계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물의 감쇠특성을 고려한 배수관 구조의 EMP 차폐 효과 분석 (EMP Shielding Effectiveness of Water Pipe Structure Considering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 김우빈;김상인;김외득;육종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011-1014
    • /
    • 2017
  • EMP(Electromagnetic Pulse) 공격에 대한 피해를 방호하기 위해 정화조에 사용되는 배수관에는 별도의 금속 차폐 구조물의 추가 설치가 고려된다. 이러한 차폐 구조물은 EMP 공격을 막아주지만, 물에 함께 섞여 흘러오는 불순물이 차폐 구조물을 통과하지 못해 배수관 본연의 역할을 잃게 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추가적인 유지보수 인력을 필요로 한다.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차폐 구조물 없이 물의 감쇠 특성을 고려한 배수관 구조를 제안하였다. 배수관 직경을 100 mm로 고정한 채로 물에 잠기는 깊이를 400 mm부터 800 mm까지 변화시켰을 때, 각각의 차폐 효과는 2 GHz 주변에서 70 dB부터 100 dB까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검증 과정을 통해 추가적인 차폐 구조물 없이 배수관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고, EMP 공격을 차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설계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교통부문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기법 개발 및 탄소저감 효과검증 : 아산탕정지구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Land Use Planning Methods for Carbon Reduction of Transportation : A Case Study of Asan-Tangjeong District)

  • 이우민;박효숙;천춘근;이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38-645
    • /
    • 2016
  • 본 연구는 교통부문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기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토지이용계획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탄소저감 설계요소로 외곽고밀개발, 용도복합을 통한 차량 이동거리 최소화, 보행네트워크 구축, 커뮤니티 회랑을 도출하고 아산 탕정지구에 적용하여 탄소저감 측면에서 개선된 토지이용계획안을 제시하였다. 교통부문 탄소저감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VISUM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교통부문 탄소배출량은 약 17.7%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소저감량은 약 450.7tCO2/yr로 나타났다.

태블릿 PC 기반의 융합형 아동 교육용 기능성 게임 (Tablet PC based Convergence Educational Serious Game for Children)

  • 고정운;이지원;김미혜;정혜경;박성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59-68
    • /
    • 2014
  • 모바일 플랫폼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가 양산됨에 따라 교육용 기능성게임 역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교육용 기능성 게임은 교육적 기술의 적용이 미비하거나 오프라인(Offline) 교육과 연계되지 않는 단독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 효율성이 낮다. 본 논문에서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아동 교육용 기능성 게임 '쌀미미 어드벤쳐'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게임은 이야기, 놀이, 음악, 요리의 4가지 요소를 디자인하여 총 5 단계로 구성하였고 캐릭터와 인터랙션 등을 통한 콘텐츠의 집중도와 흥미를 높였다. 천안 소재 초등학교 3,4학년 126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의 학습 융합과 효율성을 실험한 결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디지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의 연계 학습 측면과 학습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게임 콘텐츠의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들의 오프라인 교육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적용한 효과적인 수업과 학습 방법을 모색 할 수 있을 것이다.

효과적인 모델 기반 안드로이드 GUI 테스팅을 위한 GUI 상태 비교 기법 (A GUI State Comparison Technique for Effective Model-based Android GUI Testing)

  • 백영민;홍광의;배두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1호
    • /
    • pp.1386-1396
    • /
    • 2015
  • 안드로이드(Android) 어플리케이션(앱)의 신뢰성과 사용성 검증을 위해, 앱의 기능 검사와 크래쉬(Crash) 탐지 등을 위한 다양한 GUI 테스팅(Graphical User Interface Testing) 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모델 기반(Model-based) GUI 테스팅 기법은 GUI 모델을 이용해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기 때문에, 기법의 유효성(Effectiveness)은 기반 모델의 정확도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모델 기반 기법의 유효성 향상을 위해서는 테스트 대상 앱의 행위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모델 생성 기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GUI 상태를 정밀하게 구분하는 계층적 화면 비교 기법을 통해 테스팅의 유효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 기법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유효한 모델의 효율적 생성을 가능하게 함을 확인함으로써, 모델 기반 안드로이드 GUI 테스팅의 성능 향상 가능성을 제시한다.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광고 스타파워 효과성 검증 (Verification of advertising star power effectiveness of retired sports players in Korea)

  • 신진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42-250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광고 스타파워 효과성을 검증하여 기업 및 광고 에이전시의 효율적인 광고 모델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이 광고 모델로 선정된 광고를 인지하고 있는 사람들을 표본으로 선정했으며, 206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적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AMOS(ver. 20.0) 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효과성의 유의성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스타파워는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감도는 광고 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타파워는 광고 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타파워는 광고 소비행동에 직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감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됐다.

금속화재 대응 시 간이소화용구 및 약제의 소화 효과성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for Metal Waste Fires)

  • 권진석;김수영;김태선;박태희;김태동;박민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644-655
    • /
    • 2023
  • 연구목적: 금속의 취급 및 가공 공장과 금속폐기물 저장 공장 등에서 금속이 포함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금속화재의 경우는 소화가 어렵고 장시간 소요되므로 대응 시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화재의 발생 현황과 문제점 등을 제시하고 국내에서 사용중인 간이소화용구와 약제에 대한 실험을 통해 효과성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 ISO7165의 D급소화기 실험 중 분말 형태의 실험을 준용하여 순도 99.9%, 입자 150 ㎛ 이상의 마그네슘을 착화하여 5가지 간이소화용구, 소화기 및 약제에 대한 비교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간이소화용구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건조사와 팽창질석, 사용성 검증이 필요한 황토가루를 사용하였고, 국외에서 인증받아 사용중인 D급 소화기와 국내 금속화재 현장에서 사용된 액상의 수산화실리카를 사용하였다. 결론: 본 실험을 통해 소화효과성과 사용편의성, 경제성 측면을 고려한 결과, 팽창질석이 금속 화재 시 가장 적절한 것으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