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genc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초

웹 기반의 삼차원 스테레오 카메라 원격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Three-Dimensional Stereo Camera)

  • 김삼룡;임인택;이영란;이정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2호
    • /
    • pp.337-3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극한 환경에 웹-서버에 연결된 삼차원 입체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치하고 안전한 상황실에서 원격지의 상황을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클라이언트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삼차원 입체 영상 카메라의 주시각/초점 및 줌-인, 줌-아우트 그리고 팬/틸트 기능을 제어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환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바 애플릿을 이용하여 설계 및 구현되었고, 그 동작 결과를 테스트하였다.

거리측정이 가능한 단동형 수중 스테레오 카메라의 제어 (Control of an Underwater Stereo Camera Embedded in a Single Canister Capable of Measuring Distance)

  • 이판묵;전봉환;이종무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0-95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the vergence control of a parallel stereo camera and its application to underwater stereo camera to enhance the working efficiency of underwater vehicles that equips with manipulators in seabed operation. The stereo camera consists of two parallel lenses mounted on a lateral moving base and two CCD cameras mounted on a longitudinal moving base, which is embedded in a small pressure canister for underwater application. Because the lateral shift is related to the backward shift with a nonlinear relation, only one control input is needed to control the vergence and focus of the camera with a special driving device. We can get a clear stereo vision with the camera for all the range of objects in air and in water, especially in short range objects. The control system of the camera is so simple that we are able to realize a small stereo camera system and to apply it to a stereo vision system for underwater vehicles. This paper also shows how to acquire the distance information of an underwater object with this stereo camera. Whenever we focus on an underwater object with the camera, we can obtain the three-dimensional images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in real-time.

  • PDF

양안시이상-폭주과다 교정의 임상사례 (Binocular Dysfunction-Case Study of Vision Therapy in Convergence Excess)

  • 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01-106
    • /
    • 2007
  • 본 연구는 폭주과다의 경우 시기능 훈련이 융합버전스와 안정피로 증상에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폭주과다를 가진 대상자는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내사위가 있으며, 수평방향의 복시, 눈의 긴장, 안정피로, 흐림 등의 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실험방법으로는 그 중 폭주과다를 가진 대상자를 1명 선택하여 시기능 훈련과 플러스 가입도를 처방하여 시기능 훈련을 7주 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7주 후 많은 효과가 있었는데, 즉 폭주과다의 경우 시기능 훈련은 증상을 경감시키고, 융합 범위를 증가시키고, 내사위를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므로 양안시이상에서 시기능 훈련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회선수직사위의 프리즘 교정 증례 (A Case of Prismatic Correction for Cyclovertical Heterophoria)

  • 유동식;조현국;문병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7-41
    • /
    • 2008
  • 목적: 이 증례의 목적은 흔치 않은 회선수직사위에 대한 프리즘 처방에 관한 것이다. 방법: 처방 프리즘은 사위도, 융합력, 조절기능 검사등과 같은 양안시 평가에서 수직이향운동의 파괴점의 중앙점으로 하였다. 결과: 수직 프리즘의 처방으로 비록 증상이 따르지 않은 수평사위는 변화가 있었으나 눈의 피로, 두통, 복시 등과 같은 증상은 개선 되었다. 그리고 회선사위는 프리즘 교정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 사례의 프리즘 처방은 회선수직사위의 증상 완화에 유용하였다.

  • PDF

젊은 성인의 조절 및 이향운동 기능장애 분석을 위한 표준 값 (Expected Values for the Analysis of Accommodation and Vergence Dysfunction of Young Adluts)

  • 박상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27-134
    • /
    • 2008
  • 본 연구는 조절 및 이향운동 기능장애 분석을 위한 표준 값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현성사시 및 간헐 사시가 없으며 조절 및 이향운동 기능장애가 없는 54명(평균연령 25.3${\pm}$2.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 편위각을 기준으로 하여 폭주근점,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량을 측정하였고 이후 AC/A비, 상대조절력 및 이향운동 기능을 측정한 후 이 값들을 Morgan의 표준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량은 각각 1.24${\pm}$2.72${\Delta}$, 2.70${\pm}$4.91${\Delta}$이었고 렌즈차 이용법에 의한 AC/A비는 3.92${\pm}$2.17${\Delta}$/D로 Morgan의 표준값과 거의 같은 값을 보였다. 원거리 음성융합성폭주량은 동일한 값을 보인반면, 양성융합성폭주량은 Morgan의 표준값에 비해 7${\Delta}$ 높은 값을 보였다. 근거리의 전체 이향운동의 범위는 Morgan 값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원거리의 전체 이향운동의 범위는 양성융합성폭주여력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상대조절력은 +0.37D 높은 값이었고, 음성상대조절력은 -0.63D 더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 의한 양안시 분석 값들은 Morgan의 표준값이 상당한 근접성 폭주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Morgan 표준값과 비교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원거리 및 근거리 이향운동량과 근접성 폭주량은, 특히 BO limit 값에서 매우 다른 값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만약 Morgan 값을 한국인의 양안시 분석에 그대로 적용한다면 부정확한 양안시 진단으로 유도될 수도 있다. 본 연구의 측정값은 한국인 정상 젊은 성인의 양안시 분석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선택적 안구운동 프로그램이 정상성인의 족저압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elective Eye Movement Program on the Foot Pressure and Balance in Normal Adults)

  • 이건철;김지혁;김명진;정고운;이재철;김지환;이미화;김지선;배원식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25-436
    • /
    • 201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tatic, dynamic balance performances and foot pressure after eye movement exercise in normal adults. Method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normal 18 males and 18 females subjects.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using random sampling and executed saccadic eye movement, vestibuloocular eye movement, pursuit vergence eye movement exercise respectively.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balance and foot pressure, the subjects were measured before, middle and after eye movement. Balance was examined using the balance master 7.0 version systems. Foot pressure was examined using the gaitview AFA-50. Result : The result are as follows. 1. After first intervention, the difference of the FORM-EC item on MCTSIB variable in the vestibuloocular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5) and after second intervention, the difference of the FIRM-EO(p<.05), FORM-EO(p<.01), FORM-EC(p<.01) items on MCTSIB variable in the saccadic group and FORM-EC(p<.05) item in the vestibuloocular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 2. After first intervention, the difference of the EPE, MXE items in the saccadic group(p<.05) and RT(p<.05), EPE(p<.01) items in the pursuit vergenc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 after second intervention. 3. After first intervention, the difference of the Static A-P(p<.05), L-R(p<.01) and Dynamic A-P(p<.01), L-R (p<.01) items on foot pressure variable in the saccadic group, Dynamic A-P(p<.01) item in the vestibuloocular group and Static A-P(p<.01), Dynamic A-P(p<.05), L-R(p<.01) items in the pursuit vergenc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 4. After first intervention, the difference of the FORM-EO(p<.05), FORM-EC(p<.01) items and after second intervention, the difference of the FIRM-EO(p<.01) item on MCTSIB variable among three group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 Conclusion : Selective eye movement exercise program influences balance control ability and foot pressure of normal adults in positive ways.

무안군 소재 초등학생들의 시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ffects of After Vision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Muan)

  • 장정운;김인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7-142
    • /
    • 2013
  • 목적: 무안군내 초등학교 학생들의 시력상태를 파악하고, 조절력과 버전스 부족 학생들의 시훈련 후의 시기능 향상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무안군내 초등학교 1학년~6학년까지 약 335명을 대상으로 자각적 타각적 굴절검사, 양안시기능검사 실시 후 시기능이상 증상을 호소하는 47명을 대상으로 시기능 훈련 실시 후 각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 학생들의 대부분은 조절력보다는 폭주근점에서 문제를 나타내었다. 폭주근점은 훈련 전 $11.57{\pm}1.850$ cm에서 훈련 후 $5.66{\pm}0.965$ cm로 나타나 약 5.93 cm 정도 폭주근점이 당겨진 것을 알 수 있었고, 근거리의 양성융합 버전스는 훈련 후 사위량의 2배 값인 약 $19.64{\pm}3.66$ $\Delta$를 나타내었다. 조절력은 훈련 전 약 $10.02{\pm}2.566$ D에서 훈련 후 $12.30{\pm}1.397$ D 정도로 개선되어 평균연령 11.27세의 조절력 기대치와 비슷함을 나타내었다. 결론: 조절력과 융합버전스 부족 중에서 특히 폭주근점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조절용이를 포함한 대부분 시기능 항목들도 향상된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시훈련은 많은 효과가 있었다고 사료된다.

Vision Therapy 프로그램의 양안시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Binocular Visual Functions Effect of Vision Therapy Programs : A Meta-Analysis)

  • 이정윤;박천만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1-210
    • /
    • 2015
  • 목적: Vision therapy 프로그램이 양안시기능 개선에 주는 효과를 통계적으로 종합하기 위하여 전체평균 효과크기, 종속변수별 평균 효과크기 그리고 대상특성과 처치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메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의 분석을 위해 vision therapy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 국내 선행연구 14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하였다. 결과: 전체평균 효과크기는 1.207로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양안시이상 유형별 하위영역의 평균 효과크기는 버전스 이상 그룹(2.989)이 가장 높았으며, 조절기능이상 그룹(0.868), 조절기능과 버전스 모두 이상이 있는 그룹(0.692) 순이었다. 대상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중복장애가 없는 양안시이상 그룹(2.509)을 대상으로 실시한 vision therapy가 가장 컸으며, 주당횟수별 평균 효과크기는 주당 7회의 처치 때 2.310으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처치기간에 따른 효과크기는 8주에서 2.019로 양안시기능 개선을 위한 vision therapy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결론: Vision therapy 효과에 대한 각각의 연구결과를 평균 효과크기로 변환하고 이를 객관화하는 방법을 통해 양안시기능 개선을 위한 치료가 효과적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ON CONVERGENCE THEOREMS FOR THE MCSHANE INTEGRAL ON TIME SCALES

  • You, Xuexiao;Zhao, Dafang
    • 충청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3-400
    • /
    • 2012
  • In this paper, we study the process of McShane delta integrals on time scales and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McShane delta integral and Henstock delta integral. We also prove the mono- tone convergence theorem, Fatou's Lemma and the dominated con- vergence theorems for the McShane delta integral.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Digital Holographic Display Technology Trends)

  • 임용준;홍기훈;박민식;김진웅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2권5호
    • /
    • pp.30-38
    • /
    • 2017
  • Digital holography is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the most possible candidates for achieving a real 3D display system in that it can fully record and reconstruct the wave characteristics of light. In addition, 3D display systems based on digital holographic technology do not cause a vergence-accommodation mismatch problem. In this report, the recent trends in digital holographic display technology are described, and recent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fields of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re also briefly repor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