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b index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Interactions between Morpho-Syntax and Semantics in English Agreement

  • Kim, Jong-Bok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7권1호
    • /
    • pp.55-68
    • /
    • 2003
  • Most of the previous approaches to English agreement phenomena have relied upon only one component of the grammar (e.g., either syntax, or semantics, or pragmatics). This paper argues that inter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grammatical components play crucial roles in such phenomenon too (cf. Kathol 1999 and Hudson 1999). The paper proposes that, contrary to traditional wisdom, English determiner-noun agreement is morpho-syntactic whereas subject-verb and pronoun-antecedent agreement are reflections of index agreement (cf. Pollard and Sag 1994). The present hybrid analysis of English agreement shows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 of different components of the grammar in accounting for English agreement phenomena. In particular, once we allow morphology to tightly interact with the system of syntax, semantics, or even pragmatics, we could provide a solution to some puzzling English agreement phenomena. This allows a more principled theory of English agreement.

  • PDF

Adjunct Roles and External Predication

  • Kim,Yong-Beom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2권1호
    • /
    • pp.157-176
    • /
    • 1998
  • This paper claims that beneficiary adjuncts are best analyzed as involving external predication in a version of grammatical framework called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This paper also claims that verbal catefories need to include the attribute INDEX among their semantic components in order to account for the external predication proposed in this paper. This paper distinguishes between recipient and beneficiary reles and assumes that the former is a semantic argument of a verb-type relation and that the latter is an adjunct which makes a semantic contribution as a modifier. This approach achives a unified analysis of modification phenomena of nominal and verbal categories and it can also accomodate Parson's(1990) idea that a verbal category denotes a set of events, not just an event.

  • PDF

이미지 특성을 고려한 자연어 색인 기반의 검색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Search System based on Natural Language Index Incorporating considering Image Characteristics)

  • 김정이;이기욱;이강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37-343
    • /
    • 2006
  • 디지털 카메라의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싸이월드 및 블로그 서비스의 활성화로 인하여 인터넷 상에 다양한 사진들이 떠돌고 있으며, 그 중에서 인물사진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인물사진의 초상권 때문에 활용할 수 있는 인물 사진은 전무한 반면 웹사이트 제작사, 광고 기획자, 기타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표정의 인물사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이용자들에게 초상권의 보호 하에 인물사진을 판매하고, 디자이너들이 요구하는 인물사진을 정확하고 신속한 검색을 보장하기 위해 인물사진과 관련한 색인어를 제시하는 검색엔진을 제안한다. 이 검색엔진은 기존의 명사형만을 지원하는 키워드나 카테고리 외에 명사와 동사를 동시에 키워드로 사용하는 검색이 가능하고 인물의 감성정보, 표정, 복장 등의 다양한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경상 방언 내포문 의문사의 작용역 범주 지각 양상과 반응 속도 연구 (Patterns of categorical perception and response times in the matrix scope interpretation of embedded wh-phrases in Gyeongsang Korean)

  • 윤원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1-11
    • /
    • 2023
  • 경상 방언 내포문 의문사의 작용역 지각 반응 시간과 범주 지각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지각 실험을 위한 자극은 내포문 의문사가 모문 작용역을 갖는 문맥이 주어진 하나의 문장을 40명의 화자가 발화한 것으로, 지각 실험은 24명이 참가하였다. 피험자는 40개의 자극에 대해 모문 작용역(설명 의문문)인지 또는 내포문 작용역(판정 의문문)인지를 선택하게 하는 강제 선택 실험을 3회 진행하고 그 반응 시간을 기록하였다. 모문 작용역 응답 수를 기준으로 자극을 정렬한 후 작용역 응답에 따른 반응 시간을 정렬 순서에 따라 시각화한 결과 모문과 내포문 작용역 응답이 범주적 지각의 결과임이 분명히 나타났으나, 이에 따른 반응 시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화자에 따른 범주 지각 양상으로 볼 때, 작용역 해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형태/통사적 제약과 운율 구조적 완결성으로 보이며, 한 요인의 가중치는 다른 요인의 가중치와 반비례 관계에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언어영역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Functional MRI of Language Area)

  • 유재욱;나동규;변홍식;노덕우;조재민;문찬홍;나덕렬;장기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3권1호
    • /
    • pp.53-59
    • /
    • 1999
  • 목적 : 언어기능의 지도화(language mapping) 및 우세반구 결정에 있어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서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원자 10명(남자 6명, 여자 4명, 오른손잡이 7명, 왼손잡이 3명)을 대상으로 단어생성 과제(명사만들기, 동사만들기)와 판단과제를 이용하여 언어영역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1.5T 초진도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EPI로 BOLD 기법을 이용하여 기능적 영상을 얻었으며, 여앙후처리는 SPM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기능적 영상은 2번의 활성기와 3번의 휴식기를 번갈아 시행하였고 스캔 시간은 각각30초였으며 총 영상획득시간은 162초였다. 유의수준 p<0.001을 기준ㅇ로 자극 과제에 따라 활성화된 뇌영역을 분석하였고 반구별로 활성화된 화소의 수를 측정하여 편재화지수(lateralization index)를 구하였다. 결과 : 왼손잡이 1명을 제외한 9명에서 성공적으로 기능적 영상을 얻었으며 양측 전운동영역(premotor area), 하전두회, 두정엽, 중측두회 등의 여러 영역에서 활성화 신호가 나타났다. 오른손잡이의 경우 편재화지수는 평균 0,64(0.16~1)로 모두 좌측으로 편재화 되었다. 과제별로는 동사만들기 과제가 명사만들기 및 판단 과제에 비해 언어 영역의 활성화가 많았고 편재화지수의 값도 높았다. 결론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언어영역의 뇌기능지도화 및 우세반구 결저에 있어서 유용한 검사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경상 방언 의문문 작용역의 지각 구분 (Perceptual discrimination of wh-scopes in Gyeongsang Korean)

  • 윤원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1-10
    • /
    • 2022
  • 내포문에 위치한 의문사 구는 의문사 억양으로 발화되었을 경우 모문의 작용역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0명의 경상 방언 화자가 모문 작용역으로 해석되는 문맥 속에서 발화한 동일 문장 발화를 자극으로 하여, 그 작용역을 판단하는 지각 실험이 24명의 경상 방언 화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자극당 3회 청취로, 문장당 72개 응답이 수집되었으며, 40개 중 20개의 자극에서 36회 이상의 내포문 작용역 응답이 나타났다. 이는 경상 방언에서 명시적으로 의문사의 작용역을 표시하는 종결어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의문사 억양으로 발화하지 못하는 화자가 다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모문 작용역 응답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운율 단서는 내포 동사와 보문소가 나타나는 어절의 돋들림 크기로, 해당 어절의 fundamental frequency(F0) 정점에서 보문소에 나타난 F0값을 차감한 수치로 계산되며, 이 돋들림이 크면 클수록 내포문 작용역으로 판단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의문사 작용역은 내포문 동사와 보문소가 있는 어절의 돋들림 크기에 기반한 범주적 인지로 나타나며 인지의 경곗값은 실험 참가자에 따라 매우 다르게, 큰 차이를 보이는 결과로 나타났다.